브라오(ເບລົາ, Brao) 족
분포 지역과 인구
현재 브라오(ເບລົາ)족은 라오스 남부인 짬빠싹도의 바찌양짤런쑥(ບາຈຽງ ຈະເລີນສຸກ), 빡썽(ປາກຊ່ອງ), 콩(ໂຂງ) 지역, 앗따쁘도의 싼싸이(ຊານໄຊ) 싸이쎗타(ໄຊເສດຖາ), 싸막키싸이(ສາມັກຄີໄຊ), 싸남싸이(ສະຫນາມໄຊ), 푸웡(ພູວົງ) 지역에 거주한다.
브라오족의 총 인구는 26,010명이고 그중 여성이 13,171명으로, 라오스 전체 인구의 0,4%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브라오(ເບຣົາ)족은 오래 전부터 라오스의 썽(ຊ່ອງ) 마을에 정착한 종족 중 하나다. 그들의 이주 역사나 발원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다. 앗따쁘의 브라오족 원로들의 정보에 의하면 브라오족은 북쪽 씨앙쿠앙의 항아리 평원과 또 다른 지역으로부터 이주하여 까돗(ກາໂດດ)강, 따응아오(ຕາເງົາ) 강, 링(ລີງ)산, 라오스-베트남-캄보디아가 만나는 삼각지에 위치한 싹쑴 (ຊັກຊູ່ມ)평야에 정착하였다.
이들은 자신을 브라오라고 일컫는 것을 좋아하는데, 브라오는 '새가 우는 소리'라는 뜻이다. 다른 종족이 이 종족을 부를 때에 라왜(ລະແວ)나, 루이웨(ລຸຍເວ)라고 한다. 여기서 라왜는 따왜(ຕະແວ)술을 의미한다. 왜(ແວ)와 라왜(ລະແວ)는 루이웨(ລຸຍເວ)에서 온 것인데, 루이웨는 당시 브라오족이 살던 지역에 상주하던 프랑스 지휘관의 이름이다.
브라오족의 직업
과거에 브라오족은 밀림을 개간해 맵쌀 농사를 지었으며, 수렵, 천렵, 산나물 채취와 함께 옥수수, 타로(ເຜືອກມັນ) 등을 재배했다. 또한 이들은 목공예와 수공예의 기술도 뛰어났다. 현대에 와서 여러 지역의 브라오족은 과거에 밭에서 짓던 맵쌀 농사 대신 논에서의 맵쌀 농사를 선호하게 되었다. 농사와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가축을 키운다.
마을과 집
과거에 브라오족의 가옥은 원형구조이며, 집 주위에 울타리를 쳤다. 바나나 나무를 집 입구에 심어 벼락으로부터 집을 보호한다. 난간 근처에 여러 완(ຫວ້ານ, 뿌리줄기와 구근을 가진 외떡잎식물 중 하나)을 심어 가족들이 난간에 너무 깊숙이 기대어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한다. 브라오족의집은 나무를 재료로 기둥 위에 집을 짓는다. 아래쪽은 식당, 주방, 술 마시는 곳, 휴식의 장소로 쓰며, 위쪽은 침실, 창고로 쓴다. 특별히 어느 집이든지 딸이 있는 집은 그 딸이 생활할 수 있는 방 하나를 2층 보다 더 높게 짓는다.
의복
과거에 남자들은 까띠아우(ກະຕ່ຽວ)를 입고, 머리를 묶으며, 상아나 나무로 만든 귀걸이를 사용했다. 가슴, 이마, 볼, 기타 신체 부위에 문신을 새겼다. 일정한 나이가 되면 이를 자르는 풍습이 있고, 팔과 다리에 장식용 끈을 묶는다. 한편 여자들은 씬까도(ສິ້ນກາໂດ)나 검은 천을 두른다. 머리를 묶고 붉고 흰 목화로 장식을 하고 나무나 물소의 뿔로 만든 빗을 머리에 꽂는다. 귀를 뚫고 남자들과 같이 문양이 새겨진 상아로 만든 귀걸이를 한다.
음식
약 60년 전까지만 해도 브라오족은 동물의 사체에 사는 벌레를 즐겨 먹었다. 그들은 사슴, 노루를 죽여 애벌레들이 그 사체에 자랄 수 있도록 놔둔다. 그 애벌레를 볶거나 람(ຫຼາມ)을 만들어 먹었는데, 현재는 더 이상먹지 않는다. 이들은 대나무 안에 쌀을 넣어 찌는 카오람(ເຂົ້າຫຼາມ)을 즐겨먹는다. 음료수로는 시냇물이나 연못의 물이나 술을 마시며 담배를 피운다.
결혼
브라오족의 젊은 남녀는 배우자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있다. 남자가 청혼을 하고, 결혼식은 신부의 집에서 올린다. 결혼 후에 신랑은 아내의 집에 3년 동안 머문 후에 아내와 자녀를 데리고 자신의 집으로 돌아간다. 만약 건강상 아무 이상이 없으면 계속 그 집에 살지만, 만일 집의 혼령 때문에 병이 생기면 아내의 집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그들은 현재도 여전히 같은 방식으로 아내를 맞이한다. 만일 남편이 죽으면 남동생이 형수를 아내로 맞이할 수 있다. 그러나 동생이 죽은 경우에는 형이 제수를 아내로 맞이하지 않는 것이 이 종족 안에서 일반화되어 있다. 이 종족은 아버지의 성씨를 따른다.
전통 예술과 악기
이 종족은 마음을 사로잡는 예술 작품들이 많다. 왕의 출정이야기, 왕과 관련된 설화, 춤과 전통 악기 뿐 아니라 민간 설화가 있다. 예를 들면 야끈드이(ຢະກຶນດືຍ), 야끄릉(ຢະກຼຸງ), 야다오만(ຢະເດົາມານ) 등이다.
언어
브라오족은 문자는 없지만,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하는 구어를 갖고 있다. 모든 브라오족의 구어는 다른 종족의 구어와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서로 의사소통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 자신의 언어 외에도쩽(ເຈັງ)족, 오이(ໂອຍ)족, 으루(ຢຣຸ)족, 야헌(ຍະເຫີນ)족, 싸당(ສະດາງ)족, 라오 (ລາວ)족 언어를 구사할 수 있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Brao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Brao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