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주]/의식주(의)
라오스 고대 전통복 모습과 명칭
Dr.Sombuun
2025. 6. 14. 12:56
오른쪽 여성 그림에 있는 라오어 명칭 (위에서부터 아래로)
- ເຄື່ອງແຕ່ງກາຍຮູປນາງ (크앙 때앙 까아이 후웁 낭)
- 해석: 여인의 의상/옷 (직역: 여인 그림의 복장)
- 설명: 그림 전체가 여성의 전통 의상을 나타낸다는 제목입니다.
- ສະດານາງຍອດສັ້ນ (싸다아 낭 여옷 싼)
- 해석: (여인 장식의) 짧은 뾰족한 부분/정상
- 설명: 말씀하신 대로 머리에 쓰는 모자나 왕관의 뾰족한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ຍອດ'은 '정점, 꼭대기, 뾰족한 부분'을 의미합니다.
- ຈອນຫູ (쩐 후우)
- 해석: 귀 장식 (귓불 옆으로 늘어지는 장식)
- 설명: 귀 뒤쪽이나 옆쪽에 달리는 장식으로, 귀걸이와는 다른 형태의 장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ອຸບະ (우빠)
- 해석: 귀걸이 또는 귀 장식의 일종 (꽃봉오리 모양이 많음)
- 설명: 귀 아래쪽 뒤쪽에 달리는 장식으로 추정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주로 불교 미술이나 전통 의상에서 볼 수 있는 귀 장식입니다.
- ກຸນຫົລ ຫຼື ຕຸ້ນຫູ (꾼 혼 또는 뚠 후우)
- 해석: 귀걸이 / 귓불 장식
- 설명: 'ຕຸ້ນຫູ'는 일반적인 귀걸이를 의미합니다. 'ກຸນຫົລ'은 '꾼톤'이라고도 하며, 불상이나 신성한 인물의 귀에 달린 길쭉한 장식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귀 밑쪽에 달리는 장식으로 추정됩니다.
- ໝາກຕັ້ນຄໍແລະກອງສາຍຄໍ (막 딴 커 래 꺼엉 싸이 커)
- 해석: 목에 거는 장식과 목줄 장식
- 설명: 'ໝາກຕັ້ນຄໍ'는 목을 감싸는 장식이나 목걸이의 특정 부위를 의미하며, 'ກອງສາຍຄໍ'는 목걸이 줄이나 목걸이 전체의 장식을 의미합니다. 목걸이 장식 중 하나로 추정됩니다.
- ຫັບອົກ ຫຼື ຫັບຊວງ (합 옥 또는 합 쑤엉)
- 해석: 가슴 장식 / 가슴 가리개
- 설명: 'ອົກ'은 가슴, 'ຊວງ'은 가슴 부위를 의미합니다. 가슴을 덮는 형태의 장식이나 옷감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ພາທຸຣັດ (파아 투랏)
- 해석: 상박 팔찌 (팔 윗쪽에 착용하는 팔찌)
- 설명: 팔 윗쪽에 차는 팔찌의 한 종류로 추정하신 것이 맞습니다. 태국어 'พาหุรัด(파후랏)'과 유사한 형태입니다.
- ປອກແຂນ (뽀억 캐엔)
- 해석: 팔찌
- 설명: 일반적인 팔찌를 의미합니다.
- ຜ້າຄາດ ຮັດອົງຄໍ (파아 캇 핫 옹 커)
- 해석: 허리에 두르는 천 또는 몸을 조이는 천
- 설명: 'ຜ້າຄາດ'는 허리에 두르는 천, 'ຮັດ'은 조이다, 'ອົງຄໍ'는 몸이나 신체를 의미합니다. 치마 윗단을 조이거나 묶는 역할을 하는 천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ສ້ອຍສັງຈາລ (쏘이 쌍짠)
- 해석: (몸을 가로지르는) 사선 장식/띠/목걸이
- 설명: 말씀하신 대로 목걸이와 치마를 이어주는 장식으로, 몸을 사선으로 가로지르는 형태의 장식을 의미합니다. 불상이나 신성한 인물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장식입니다.
- ຕາບຫິດ (따압 힛)
- 해석: (옷에 붙이는) 장식 조각 / 금속판 장식
- 설명: 옷의 장식 일부로 추정하신 것이 맞습니다. 주로 금속이나 보석 등으로 만든 작은 장식 조각을 의미합니다.
- ສາຍຮັດແຂວ (싸이 핫 캐오)
- 해석: 허리띠 / 허리를 조이는 끈
- 설명: 'ສາຍ'는 끈, 'ຮັດ'은 조이다, 'ແຂວ'는 허리를 의미합니다.
- ຊາຍໄຫວ (싸아이 와이)
- 해석: (옷자락의) 흘러내리는 부분 / 늘어진 자락
- 설명: 치마 앞이나 옆으로 늘어져서 장식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치마 장식을 의미합니다.
- ຜູສາ ຫຼື ຜ້ານຸ່ງ (푸우 싸아 또는 파아 누웅)
- 해석: 치마 / 입는 옷
- 설명: 'ຜ້າ'는 천, 'ນຸ່ງ'은 입다(하의를 입다)를 의미합니다. 'ຜູສາ'는 'ຜ້າສິ້ນ' (파아 씬, 라오스 전통 치마)을 다르게 표기했거나, '입는 천'이라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을 수 있습니다. 치마의 특정 부위보다는 치마 자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ປອກຂາ (뽀억 카아)
- 해석: 발찌 / 다리 장식
- 설명: 발찌
왼쪽 남성 그림에 있는 라오어 명칭 (위에서부터 아래로)
- ເຄື່ອງແຕ່ງກາຍຮູປທ້າວ (크앙 때앙 까아이 후웁 타오)
- 해석: 남자의 의상/옷 (직역: 남자 그림의 복장)
- 설명: 그림 전체가 남성의 전통 의상을 나타낸다는 제목입니다.
- ບົວກຸ່ມ (보옥 꿈)
- 해석: 둥근 봉우리/뭉친 봉우리 (머리 장식의 둥근 상단 부분)
- 설명: 머리 장식 꼭대기에 있는 뾰족하거나 둥근 장식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ກ້ຽວສະດາ (끼야오 싸다아)
- 해석: 머리 장식을 감는 부분 / 땋은 장식
- 설명: 머리 장식의 일부로, 머리띠처럼 감거나 땋은 형태의 장식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ເຊິງບາຕຣ (써엉 바앗)
- 해석: 머리 장식의 밑부분/받침 부분 (또는 발우 형태)
- 설명: 머리 장식의 받침대나 아래쪽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ຈອນຫູ (쩐 후우)
- 해석: 귀 장식 (귓불 옆으로 늘어지는 장식)
- 설명: 여성 그림과 동일하게 귀쪽에 달리는 장식을 의미합니다.
- ອຸບະ (우빠)
- 해석: 귀걸이 또는 귀 장식의 일종 (꽃봉오리 모양이 많음)
- 설명: 여성 그림과 동일하게 귀 장식의 끝 부분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ກຸນທົລ (꾼 톤)
- 해석: 귀걸이 / 귀 장식 (길게 늘어지는 형태)
- 설명: '꾼톤'은 불상 등에서 귀에 길게 늘어져 있는 장식을 의미합니다. 머리 장식의 끝부분이나 귀 옆으로 늘어지는 장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ຍົກໄລ່ (녁 라이)
- 해석: 어깨 장식 / 솟아오른 어깨 부분
- 설명: 말씀하신 대로 어깨를 돋보이게 하는 장식, 즉 어깨뽕 같은 형태로 추정됩니다.
- ສ້ອຍຜະສໍ (쏘이 파아 써)
- 해석: (목에 거는) 장식/목걸이
- 설명: 목걸이 장식의 일부분으로 추정하신 것이 맞습니다. 'ຜະສໍ'는 불분명하나 장식의 특정 형태나 재료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ພາທຸຣັດ (파아 투랏)
- 해석: 상박 팔찌 (팔 윗쪽에 착용하는 팔찌)
- 설명: 여성 그림과 동일하게 팔 위쪽에 끼는 팔찌의 명칭입니다.
- ພອະຂັນຄໍ (퍼 캇 커)
- 해석: 목에 거는 칼 / 장식용 칼
- 설명: 'ຂັນ'은 칼을 의미하므로, 장식 칼로 추정됩니다. 목에 거는 형태일 수 있습니다.
- ສ້ອຍສັງຈາລ (쏘이 쌍짠)
- 해석: (몸을 가로지르는) 사선 장식/띠/목걸이
- 설명: 여성 그림과 동일하게 목걸이와 바지를 이어주는 장식으로, 몸을 사선으로 가로지르는 장식입니다.
- ຮັດອົງຄໍ ຫຼື ຜ້າຄາດ (핫 옹 커 또는 파아 캇)
- 해석: 몸을 조이는 천 또는 허리에 두르는 천
- 설명: 'ຮັດ'은 조이다, 'ອົງຄໍ'는 몸, 'ຜ້າຄາດ'는 허리띠/두르는 천을 의미합니다. 바지 윗단을 조이거나 장식하는 부분으로 추정됩니다.
- ສາຍແອວ (싸이 애우)
- 해석: 허리띠
- 설명: 허리띠
- ຕາບທິສ (따압 팃)
- 해석: 방향 장식 / 방향을 나타내는 조각 (혹은 띠의 끝 장식)
- 설명: 'ທິສ'은 방향을 의미하는데, 허리띠 장식으로 쓰였다면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문양이나 띠의 끝부분 장식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허리띠 장식으로 추정됩니다.
- ປອກແຂນ (뽀억 캐엔)
- 해석: 팔찌
- 설명: 일반적인 팔찌를 의미합니다.
- ຜ້ານຸ່ງ ຫຼື ຜູສາ (파아 누웅 또는 푸우 싸아)
- 해석: 바지 / 입는 천 (특히 하의)
- 설명: 'ຜ້ານຸ່ງ'은 하의를 입는 천을 총칭하며, 남성 복장에서는 바지를 의미합니다.
- ສນັບເຜົາ (싸납 파오)
- 해석: 바지/하의를 고정하는 부분 / 바지 안쪽 자락
- 설명: 'ສນັບ'은 받치다, 지지하다의 의미가 있어 바지 밑단을 고정하거나 안쪽 자락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바지 밑단으로 추정됩니다.
- ຊາຍໄຫວ (싸아이 와이)
- 해석: (옷자락의) 흘러내리는 부분 / 늘어진 자락
- 설명: 남성 바지의 앞쪽으로 늘어지는 장식 부분을 의미합니다.
- ຊາຍຢ່ອນ (싸아이 여언)
- 해석: (뒤로) 늘어진 자락 / 늘어뜨린 부분
- 설명: 바지 뒤쪽으로 늘어뜨려진 장식 부분을 의미합니다.
- ປອກຂາ (뽀억 카아)
- 해석: 발찌 / 다리 장식
- 설명: 발찌
총평: 위의 라오어 단어들은 1980년대 라오스 전통 복식에 대한 매우 귀중한 자료입니다. 현대 라오어에서는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고어체나 특정 분야(예: 궁중 복식, 고대 문헌)에서만 사용되는 전문 용어가 섞여 있을 수 있습니다.
supported by Gemini
https://laostudy.tistory.com/609
라오스의 의복 - 전통 치마 씬(ສິ້ນ)
의복과 단장 (ການນຸ່ງຖື-ການແຕ່ງກາຍ)라오스 사람들은 의복과 단장에 대한 오래된 문화가 있으며, 지금은 현대에 맞게 개선되었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다른 나라와 같이 머
laostud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