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개발 및 기타]/국제개발, NGO

빈곤지수의 허점

by Dr.Sombuun 2023. 5. 4.

최빈국이라는 라오스에 처음 왔을 때, 라오스인들이 사는 모습이 생각보다 가난해 보이지 않아서 좀 놀랐던 기억이 있다. 라오인들은 평온해 보였고, 그렇게 가난해 보이지도 않았으며, 행복해 보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한 국가의 빈곤수준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전체 인구 중 빈곤선 이하의 인구비율을 측정하는 것이다. 빈곤선은 구체적인 기준값을 이용하는데,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 Development Programme, UNDP)을 예로 들면 1일 소득액 1.25달러 혹은 2달러를 기준으로 잡고 있으며, 그 밖에도 국가별로 자체적인 빈곤선을 설정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제지표에 대한 또 다른 비판은 이 자료들이 공식적인 경제 부분만을 다루고, 자급적 농업과 같이 더 개발도상국답다고 할 수 있는 비공식적인 부분의 가치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많은 주부들의 무보수 가사 노동은 계산되지 않는 성차별적 편견을 반영한다고 생각한다.

 

즉, 라오스와 같이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에는 자급자족의 부분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1일 소득액은 적을 수 있지만, 먹고 사는데는 생각보다 많이 힘들지 않아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경우, 소득이 분명히 가난과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주요 내용 출처> 

배리 베이커, ⌜국제개발 협력 개론⌟ 2018, 푸른길 출판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