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종족

까땅(ກະຕາງ, Katang) 족

by Dr.Sombuun 2025. 4. 26.

분포 지역과 인구

까땅(ກະຕາງ)족은 라오스 중,남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쌀라완(ສາລະວັນ)도의 나컨펭(ນະຄອນເພັງ), 콩쎄돈(ຄົງເຊໂດນ), 라오응암(ເລົ່າງາມ), 따오이(ຕະ ໂອ້ຍ), 뚬란(ຕູ້ມລານ), 와삐(ວາປີ) 지역, 짬빠싹(ຈໍາປາສັກ)도의 싸나쏨분(ຊະນະ ສົມບູນ), 폰텅(ໂພນທອງ) 지역, 싸완나켓(ສະຫວັນນະເຂດ)도의 까이썬(ໄກສອນ), 우툼펀(ອຸທຸມພອນ), 앗싸팡텅(ອາດສະພັງທອງ), 핀(ພີນ), 쎄뽄(ເຊໂປນ), 썽컨(ສອງ ຄອນ), 짬펀(ຈໍາພອນ), 쏜부리(ຊົນບູລີ), 싸이부리(ໄຊບູລີ), 타빵텅(ທ່າປາງທອງ), 앗싸펀(ອາດສະພອນ), 싸이푸텅(ໄຊພູທອງ), 파란싸이(ພະລານໄຊ) 지역에 거주한다.

라오스에있는 까뚜족의 인구는 총 144,255명이며, 그중 여성이 72,876명이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2 %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까땅족은 라오 민족성이 깊게 박혀있는 종족이다. 불력 기원 전 짠아루아이(ຈັນອາຫຼວຍ) 시대에 까땅족과 함께 한, 먼-카매 언어군의 모든 종족의 고대 먼(ມອນ) 시조는 북부에 자리 잡았다. 그리고 이동하여 미얀마 먼왕국의 홍싸와디(ຫົງສາວະດີ)와 싸냠(ສະຫຍາມ, 씨암) 왕국의 롭부리(ລົບບູລີ)를 지나 넝(ນອງ), 쎄뽄(ເຊໂປນ) 지역에 정착하였다.

그 후에 한 무리가 이동하여 땅우와이(ຕັ່ງຫວາຍ) 마을에 집을 건축하였고 오늘날의 싸완나켓도의 모든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이와 함께 적지 않은 무리가 쌀라완도의 뚬란(ຕູ້ມລານ), 쌀라완지역으로 이동하였고 짬빠싹도의 여러 지역에 흩어져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그 시대에 까땅족 한 무리는 한 동굴에서 불상을 발견하고 가지고 와서 집 안에 안치하였으나 라오족 사람이 보고 짬빠싹에 안치하겠다고 하며 달라고 하였다. 그 불상을 가져가다가 까오(ເກົ່າ), 폰텅(ໂພນທອງ) 지역에 있는 강을 건널 때 물에 빠뜨렸다.짬빠싹의 통치자는 그 불상을 건지기 위하여 헤아릴 수 없는 인력을 동원하여 잠수 작업을 하다가 수많은 사람이 메콩강에 빠져 죽었지만 그 불상을 되찾을 수 없었다.

그 후 그 시대의 짬빠싹 통치자는 불상을 담당하는 고위관리를 세우고 싸완나켓도 칸타부리(ຄັນທະບູລີ) 지역 탓잉항(ທາດອິງຮັງ)마을에 가서 까땅족을 데리고 오라고 하였다.

그들은 잠수 작업을 할 충분한 인원이 아니었지만 그 불상을 건질 수 있었고 짬빠싹도의 까오와 폰텅 지역 사이에 있는 허파깨오(ຫໍພະແກ້ວ)에 안치하였다. 그때부터 짬빠싹 통치자는 그 불상을 그들에게 주고 관리자가 되게 하면서 이름을 ‘파깨오’ 종족(ຊົນເຜົ່າພະແກ້ວ)이라 하였는데 싸냠(씨암)이 라오스를 침략하여 토지를 점유하는 시대까지 이어졌다. 그들은 그 불상을 까오 지역에서 취하여 그들의 나라 씨암으로 옮기려고 하였다. 그 때 6~7 가구가 (불상이) 그들의 나라로 옮겨지는 것을 동의하지 않았다. 이에 가지고 도망가서 밀림, 발원지역에 숨겼다. 그들은 안정된 삶을 떠나 일제히 평야로 이전하였고 지금까지 모두 8 마을이 존재하고 있다.

이 종족은 스스로를 ‘부르까땅(ບູຣກະຕາງ)’이라 부르며, 다른 종족은 그들을‘까땅’이라 호칭한다. 오늘날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은 ‘까땅’족이다. 까땅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까떵(ກະເຕີງ)’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는 두 개의 가문, 즉 까땅과 파깨오가 합쳐진 것이다. 

  

까땅족의 직업

까땅족의 대부분은 밭일과 찹쌀 농사를 하며 경제적인 면을 유지한다. 이외에도 가족의 생계를 위하여 에너지원이 되는 작물(ພືດທີ່ມີທາດແປ້ງ)이나 여러 채소를 재배한다. 까땅족은 여러 종류의 가축, 즉 소, 물소, 돼지 그리고 여러 종교의식을 위하여 가금류를 키운다. 그들은 농사와 병행하여 대나무나 등나무를 엮어 짜는 수공예 작업과 밀림의 야생 작물을 찾는 일에 능숙하며, 야생 동물을 사냥하여 매일의 양식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마을과 집

까땅족은 그들이 좋아하는 형태로 집을 세우고 기둥 위에 지은 집(ເຮືອນ ຮ້ານ)에서 사는데, 자연에서 구할수 있는 재료를 가지고 간편하고 짜임새 있게 집을 짓는다. 오늘날은 집 짓는 방식이 바뀌어 푸타이(ຜູ້ໄທ)족 가옥 형태와 같은 집에서 산다. 집안의 방은 가족의 구성원 수에 따라 나눈다. 집 안에서의 금기 사항은 대들보 밑에 밥상을 놓지 않는 것이다.

 

 

의복

고대시대에 까땅족 남자들은 까띠아오(ກະຕ່ຽວ, 허리에 천을 매어 앞으로 늘어뜨리는 의상)을 입었고, 머리카락을 길고, 둥글게 묶어서 올렸으며, 귀에 구멍을 뚫어, 은이나 납으로 여성처럼 치장하며, 용감하게 보이려고 문신을 한다. 능력 있게 보이려고 치아를 자르며 물소 가죽신을 신었다. 여성들은 라오스 전통치마인 씬(ສິ້ນ)과 천으로 덮는 상의를 입었고, 머리카락을 둥글게 묶어서 올렸으며, 귀를 뚫고 은과 납으로 치장하고 팔찌를하며, 구슬로 목걸이를 하고, 빈랑 열매(ສີໄມ້ເມືອດ, 씨마이므앗)로 치아를 염색하며, 맨발로 걷거나 물소 가죽 신을 신었다. 피륙을 짜는 법을 알고 난 후에는 남자들은 푸타이족 형식의 짧은 바지를 입는다. 그들의 의복은여자나 남자나 닌(ນິນ)나무 액으로 염색한 검정색 옷을 입는다. 6살 이하의 아이들은 대부분 벌거벗고 다닌다.

 

음식과 음료

까땅족은 찹쌀, 국, 굽고 튀긴 음식, 날고기, 맵고 짠 음식을 즐겨 먹는다.음식에 첨가해 먹는 것은 시트로 넬라유(ຫົວສີໄຄ), 생강, 팍키쿠(ຜັກຂິຄຸ)다. 그들이 즐겨 먹는 음식은 자연으로부터 온 것으로 생선, 야생 짐승, 숲에 있는 식물 등이다. 그들이 키우는 가축은 분라쁩(ບຸນລະປືບ,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의식)같은 특별한 절기 행사 때 먹는다. 먹을 때 지키는 금기 사항과 규칙이 있는데 남편 또는 아내(며느리와 사위)가 있는 자녀는 부모와 함께 먹을 수 있다. 아내와 남편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자녀(ລູກເຕົ້າ) 가족과 함께 부부가 식사할 수 있다.

까땅족은 곡식으로 만든 술과 자연수를 즐겨먹고,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방식으로 물가나 밭에서 재배한 많은 종류의 담배를 흙이나 나무로 만든 담뱃대(ກອກດິນ, ກອກໄມ້)로 피운다.

 

신앙

까땅족의 신앙과 문화의 관습은 브루(ບຣູ)가문의 모든 종족과 유사하다. 그들은 귀신을 믿는 신앙이 있다. 아버지 귀신, 어머니 귀신, 조상 귀신  (집 귀신), 까디앗 귀신(ຜີກະດຽດ, 각 사람을 보호하는 귀신), 출생(ກໍາເນີດ) 귀신, 밥 귀신 등이다. 이 귀신들은 아주 중요한 것으로 만약 잘못을 범했을 경우, 제사를 드리기 위해 까만 물소나 희끗한(ດ່ອນ) 물소를 바쳐야 한다. 귀신 신앙과 병행하여 까땅족은 주문(ອາຄົ້ມ), 주술(ເວດມົນ), 의식법  (ກົນ ກະຖາ)을 배우고, 점쟁이나 주술사를 의미하는 머두(ໝໍດູ), 머냐오(ໝໍ ເຍົາ), 머피(ໝໍຜີ)가 되는 것을 공부하는데, 점쟁이나 주술사는 다른 사람에게 자신을 존경하고 섬기라고 하기 때문이다.

까땅족에게 중요한 연례 절기 행사는 그들 언어로 ‘짜응아(ຈາງະ)’라 하는 새해 행사이다. 이외에도 여러 귀신에게 제물로 물소를 죽여 바치는 종교의식인 ‘라쁩(ລາປືບ,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의식)’이 있다.

  

전통 예술과 문학

전통악기로는 북(ກອງ)이 있고, 까땅족 예술과 문화에는 노래말과 악기연주(ເນືອຮ້ອງທຳນອງເສບ)가 있으며, 고대부터 이어져 오는 운율시와 춤(ກອນ ຂັບລຳ), 제왕시(ກອນພະຍາ), 잠언(ຄໍາສຸພາສິດ) 그리고 전통설화(ນິທານພື້ນເມືອງ)가 있다.

 

 

언어

까땅족의 언어는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하는데, 브루익(ບຣູອິກ) 또는 고대먼(ມອນບູຮານ) 지류로 그들은 뜨리(ຕຼີ), 마껑(ມະກອງ), 쑤아이(ຊ່ວຍ), 따오이(ຕະໂອ້ຍ), 빠꼬(ປະໂກະ)족의 언어와 유사한 까땅족 언어의 문자가 있다. 그들은 라오어를 말할 수 있으며 외국어도 잘 구사한다. 그래서 이러한 종족들과 경제, 문화 교류를 잘 한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Katang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Katang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02 ກະຕາງ+final.pdf
1.59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