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종족

끔무(ກຶມມຸ, Khmou) 족

by Dr.Sombuun 2025. 4. 26.

분포 지역과 인구

끔무(ກຶມມຸ)족은 북부지역 전역에서부터 캄무완도까지 분포하고 있다. 퐁쌀리(ຜົ້ງສາລີ)도의 분느아(ບຸນເໜືອ)와 녓우(ຍອດອູ)를 제외한 모든 지역, 루앙남타(ຫຼວງນໍ້າທາ)도의 렁(ລອງ)을 제외한 모든 지역, 버깨오(ບໍ່ແກ້ວ)도, 우돔싸이(ອຸດົມໄຊ)도, 싸이냐부리(ໄຊຍະບູລີ)도, 루앙파방(ຫຼວງພະບາງ)도, 후아판(ຫົວພັນ)도, 씨앙쿠앙(ຊຽງຂວາງ)도, 위앙짠(ວຽງຈັນ)도, 싸이쏨분(ໄຊສົມບູນ)도, 버리캄싸이(ບໍລິຄໍາໄຊ)도, 캄무완(ຄໍາມ່ວນ)도, 수도(ນະຄອນຫຼວງ)의 모든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어떤 지방의 라오족은 이르기를 끔무족은 ‘형님 종족’이라고 한다. 이 종족은 주변 나라인 중국, 베트남, 태국 국경에 근접해 있다.

라오스에 있는 끔무족의 인구는 총 708,412명이며, 그 중 여성이 351,387명이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1%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끔무족은 여러 나라 역사가들의 연구에 의하면 라오스 국민의 민족성을 가진 종족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적 의미는 먼-카매 언어군 안에 속해 있는 모든 종족과 거의 같다. 이 모든 종족은 고대인도 종족으로부터 나온 컴(ຂອມ) 종족과 연결된 후손들이다. 4세기 말에 인도차이나 전역 쑤완나품(ສຸວັນນະພູມ) 중앙지역으로 이주하였다. 쑤완나품 중앙지역이란 라오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중국의 씹썽판나 지역으로 이주하였는데 쿤쯔앙(ຂຸນ ເຈືອງ), 쿤러(ຂຸນລໍ) 전쟁이 일어난 후 일부가 낮은 산림 지역에 남았다. 

이 지역에서 니쿤쯔앙(ຍີ່ຂຸນເຈືອງ) 7형제의 군대가 쫓아내어 일부 끔무족은 메콩강가로 물러났고, 일부는 우강(ນໍ້າອູ)가로, 일부는 빠라오(ປ່າເລົ່າ)지역으로 흩어졌다. 이동의 원인은 쿤쯔앙의 전쟁 때문으로 고대 시대에 약    700년이 넘게 쫓기는 자가 되었다.

끔무족의 가문에 따라 부르는 호칭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처음에는 끔(ກືມ), 커(ເຄີ), 카(ຂະ), 깜(ກໍາ) 이었다. 다른 종족이 그들을 부를때 첫 글자 발음이 분명하지 않았으나, 두 번째 글자는 ‘무(ມຸ)’로 모두가 분명하게 하였다.

호칭은 ‘끔무(ກືມມຸ)’로 통일되었고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이름이 되었다.

끔무라는 말의 의미는 ‘사람(ຄົນ)’인데 이는 오로지 자신의 종족을 의미하고 있다. 끔무족은 여러 친족으로 나뉘는데, 끔무럭(ກືມມຸຣອກ), 끔무우(ກືມ ມຸອູ), 끔무르(ກືມມຸລື້), 끔무크왠(ກືມມຸແຄວນ), 끔무뉴완(ກືມມຸຍວນ), 끔무쯔앙   (ກືມມຸເຈືອງ), 끔무매(ກືມມຸແມ), 끔무까싹(ກືມມຸກະສັກ) 등이다. 끔무족의 각 친족은 지역에 따라서 그 거주지가 정해진다.  

 

끔무족의 직업

끔무족의 주요 경제활동은 목축을 포함한 농업이다. 찹쌀과 매일의 삶을 위한 채소를 심으며, 이 종족의 중요한 행사를 위하여 목축을 한다. 그들이 키우는 가축은 돼지, 개, 소, 물소, 염소 그리고 가금류로 이는 제사 의식에 사용되며 매일의 양식이 된다. 이와 병행하여 끔무족은 시장에 내다 팔거나 가까운 종족과 교환하기 위해 밀림에서 생산되는 것들을 채취한다.

 

마을과 집

끔무족은 산 중턱이나 평야에 거주한다. 그들이 좋아하는 형태로 집을 세우고 기둥 위에 지은 집에서 사는데, 현관(ຊ້ານ), 베란다(ເຊຍ)가 있고, 가족의 구성원 수에 맞게 방을 만든다. 집은 두 개의 방으로 구분되는데 부모를 위한 안쪽 방에는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화로가 있고, 외부의 방은 손님을 위하여 정해놨으며 요리할 수 있는 화로가 있다. 손님이 오면 외부의 방에서 거하며, 낮에는 집을 가로질러 누울 수 없으며 포장하지 않은 생고기는 집에 가지고 들어갈 수 없다. 그리고 잘 때 밑에 까는 매트나 발판을 메고 절대로 마을에 들어갈 수 없다.

 

의복

끔무족의 의복은 면화로 짜고, 닌(ນິນ)나무 액으로 염색하며, 종류에 따라 장식한 그들 나름대로의 독특한 의복이 있다. 현재 여러 씨족은 전통행사때나 전통의상을 만들어 입고 있으며, 평상시에 그들은 시장에서 구입한 기성복을 입는다.

 

음식과 음료

끔무족은 항아리로 찐 찹쌀밥을 주로 먹으며, 음식의 종류로는 작은 쌀 알갱이를 바나나 잎으로 싸서 찐 음식(ໝົກໃສ່ເຂົ້າປຽນ), 여러 재료가 들어있는 걸죽한 스프(ເອາະຫຼາມ), 구운 고기, 국, 고기를 다진 음식(ລາບ)이 있는데, 이 음식들은 고추, 소금, 시트로 넬라유(ຫົວສີໄຄ), 파 등 여러식물(ຜັກ ນາງຕູ່, ຜັກອິ້ນ)로 맛을 내어 맵거나 짜게 먹는다. 음료로는 항아리술과 계곡에서 떠온 자연수를 마신다. 그리고 말린 바나나 잎이나 옥수수껍질에 말아서 담배를 피운다.

 

신앙

풍습에 따라 분끄러(ບຸນເກຣິ) 절기 행사가 매년 1월 말이나 2월 초에 있다. 밭쌀을 추수한 후에 그들은 이 행사를 준비하는데, 무엇보다 먼저 필요한재료를 준비해야 한다. 특별히 음식을 위하여 소, 물소, 돼지, 닭, 땅에 심는 것(쌀, 타로, 구근식물) 그리고 항아리술과 아름다운 의복을 준비한다. 또한 예술 행위, 악기 연주 등을 연습한다.

끔무족의 신앙에 따라서 집 안에 자신의 조상을 섬기는 제단(ຮ້ານບູຊາຜີ)이있다. 종교의식 때 집 귀신으로는 부모 귀신, 조부모 귀신이 있고, 이외에끔무족은 마을 귀신, 지역(읍, 시, ຜີເມືອງ) 귀신과 하늘, 천상(ແຖນ), 숲, 물 정령을 섬긴다. 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귀신은 피뻡(ຜີປອບ, 사람을 잡아먹는다고 함)이다. 그러므로 각 마을은 무당(ໝໍມົນ)이 있어야 한다. 현재 끔무족의 일부는 불교, 기독교 등 다른 종교를 섬기고 있다.

 

전통 예술과 문학

끔무족의 전통 예술과 문화는 풍성하다. 각 씨족은 여러 많은 종류의 춤 (ເຕີ້ມ)이 있고 뻥나무(ໄມ້ປ່ອງ, 속이 빈 나무)로 제작한 악기가있다. 이외에 전통 설화, 지혜서(ຄໍາຜະຫຍາ)가 있고, 종족 전통춤(ບົດຟ້ອນປະຈໍາເຜົ່າ) 칼춤  (ຟ້ອນດາບ)과 탕방춤(ຟ້ອນທັ່ງບັ້ງ, 땅을 찍어 자국을 내어 씨를 심는 길고 끝이 뾰족한 장대로 추는 춤)이 있다.

 

언어

끔무족은 자신의 독자적인 언어가 있으나 문자는 없다. 1980년에 이르러 일부 학자들이 연구하고 응용하여 끔무족의 문자를 만들었다. 현재 이 문자가 있지만 (학자들만 사용하고)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끔무어는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하는데, 끔무족의 각 친족은 (지역에 따라) 언어가 조금씩 다르고, 끔무족은 다른 언어, 예를 들면 라오어, 가까이 있는 일부 종족의 언어를 공부하기를 좋아한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Khmou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Khmou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03 ກືມມຸ+final.pdf
2.09MB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끄리앙(ກຣຽງ, Kriang) 족  (0) 2025.04.26
끄리(ກຣີ, Kree) 족  (0) 2025.04.26
까땅(ກະຕາງ, Katang) 족  (0) 2025.04.26
까뚜(ກະຕູ, Katu) 족  (1) 2025.04.26
롤로(ໂລໂລ, Lolo) 족  (0)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