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개발 및 기타]/도움의 손길 - 봉사, 나눔13

2025.03 국경없는 수의사회 라오스지부 수의료 봉사활동 국경없는 수의사회 라오스지부 수의료 봉사활동일자: 2025.03.01장소: 싸이타니구 나쌀라 마을활동: 광견병 무료백신, 내외부 기생충 제제 투여점종두수: 총 63두(고양이 28두)나쌀라 마을은 800가구가 넘는 비교적 큰 마을 중 하나다. 하지만 이장님(나이반)과 지인의 열심에도 불구하고 무료 광견병 백신에 대한 호응은 별로 좋지 읺았다. 그 원인에 대해 고민 해 보았다. 봉사활동을 한 날에 마을전체 잔치가 있긴 했지만, 더 근본적인 이유는, 마을 주민들이 개와 고양이의 백신 접종 자체에 큰 관심이 없어 보였다. 도심과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였다. 접종 숫자 자체도 의미가 있겠지만, 이 마을처럼 인식 자체가 낮은 마을에 인식의 수준을 높이는 것도 수의료 봉사 활동의 또 다른 큰 의미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2025. 3. 5.
2025.01.05~10 방비엥 동물 무료 백신 캠페인 대한민국의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대학생 15명)과 라오스 국립대학교 농대 수의학과(대학생 24명)가 함께 방비엥에서 동물 무료 백신 캠페인을 벌였다. 개와 고양이에게는 아래와 같은 사항들을 진행했다.  신체검사를 통한 건강 확인 인수공통전염병인 광견병과 종합백신의 접종 내외부 기생충 구충제 투여 혈액검사를 통한 진드기 매개질환 3종과 심장사상충의 진단 검사 분변검사를 통한 지알디아의 진단 검사소, 물소에게는 구제역 및 출혈성 패혈증 백신과 구충제를 접종하였다. 행사 기간 내에 접종받은 동물의 수는 아래와 같다. 일자대동물 접종수소동물 접종수마을2025.01.077351ບ້ານ ໂພນເພັງ ແລະ ປາກເປາະ2025.01.0860124ບ້ານ ວຽງສະໄຫມ ແລະ ຜາເທົາ2025.01.09 104.. 2025. 1. 12.
2024.10.06~10 국경없는 수의사회 수의료 봉사. 라오스 버리캄싸이 https://youtu.be/3chqlaNPF7c 봉사 개요일시: 2024.10.06~10(3박5일)장소: 라오스 버리캄싸이, 타파밧 지역내용광견병 예방 백신 접종 및 광견병 항체가 조사, 각종 질병 키트 검사라오스 국립대학교 수의학과 학생 대상 임상 교육 및 실습산업동물 진료 및 백신, 질병 키트 검사버리캄싸이 지역 주민에 병아리 기증 (2,000수)참여인원: 총 84명 - 한국 27명 / 라오스 57명 결과O 임상병리 검사 결과- 비엔티안(도심)과 버리캄싸이(시외) 비교 결과 외곽지역에 심상사상충 최초 진단- Ehlichiosis 및 Anaplasmosis 감염률이 외곽 직역인 버리캄싸이가 높은- Borelliosis와 Babesiosis는 두 지역 모두 전체 음성 O 백신접종개: 183두(종합, .. 2024. 11. 5.
라오스 장애인 법 [2018 제정, 전문]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9. 28.
2022.08.25 한국개발전략연구소(KDS), ‘라오스 중북부지역 농촌개발사업’ 착수 http://www.sisa-news.com/news/article.html?no=209974 한국개발전략연구소(KDS), ‘라오스 중북부지역 농촌개발사업’ 착수 [시사뉴스 김남규 기자] (사)한국개발전략연구소(KDSㆍ이사장 전승훈)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ㆍ이사장 손혁상)의 무상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지원하는 ‘라오스 중북부지역 농촌개발사업(2022-2025/1 www.sisa-news.com 2025년까지 한라농촌개발연수원 및 14개 시범마을 지원 [시사뉴스 김남규 기자] (사)한국개발전략연구소(KDSㆍ이사장 전승훈)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ㆍ이사장 손혁상)의 무상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지원하는 ‘라오스 중북부지역 농촌개발사업(2022-2025/1,250만불)’에 착수한다고 25일 밝혔다. 라오스는 메콩.. 2022. 11. 1.
2022.06~07 FAO, 라오스 양계 나눔 코로나19 이후에 라오스는 여러모로 힘든 상황을 겪고 있다. 특히 자연과 벗하여 사는 북부지방에는 먹고 입고 지내기도 힘든 상황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FAO는 라오스 북부지역에 있는 라오인들에게 어떻게 하면 의미있는 지원을 해 줄 수 있는지 조사했으며, 많은 이들이 그래도 부담없이 키울 수 있고, 필요할 때 먹을 수도 있는 토종닭을 지원해 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해서 토종닭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2022년 6월과 7월에 FAO laos에서 북쪽지방의 우돔싸이와 루앙프라방 지역에 1kg 정도의 토종닭을 나누어 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여러모로 힘든 라오스인에게, 태국이나 캄보디아 같은 외국에서 가져온 닭이 아니라, 라오스 내에 있는 토.. 2022.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