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종족

쩽(ເຈັງ, Cheng) 족

by Dr.Sombuun 2025. 4. 27.

분포 지역과 인구

쩽(ເຈັງ)족은 앗따쁘도의 싸남싸이(ສະໜາມໄຊ), 싸이쎗타(ໄຊເສດຖາ) 지역에 정착하여 거주하고 있다.

쩽족의 총 인구는 총 8,688명이고 이 중에 여성은 4,435명이며, 라오스 전체 인구의 0.1%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학자들의 고찰과 쩽족의 증언에 의하면 이 쩽족은 아주 오래 전에 라오스의 앗따쁘도에 정착한 종족 중 하나이다. 혹자는 쩽족의 발원지가 앗따쁘라고 말한다. 쩽족은 앗따쁘에서 수세기에 걸쳐 살았는데 이들은 다른 도나 접경 국가에 거주하지 않고 오직 앗따쁘에서만 살고 있다. 

이들은 과거에 밀림에서부터 라오스-베트남 국경 근처의 짜농리얏산(ພູ ຈະນົງຣຽດ)에 이르는 곳에서 밭농사를 지었다. 현재는 앗따쁘의 싼싸이    (ຊານໄຊ), 싸이쎗타(ໄຊເຊດຖາ) 지역 그리고 짜니얏팜왕후(ຈະນຽດພາມວັງຮູ)와 왕몬(ວັງມົນ), 푸웡(ພູວົງ) 지역에 이르는 쑤강(ເຊຊູ) 지류 지역의 냐뿌산(ພູ ຍະປູ)에까지 이른다.

그들이 쑤강 지류 인근에 거주하는 동안 브라오(ເບຣົາ)족, 으루(ຢຣຸ)족과 함께 쑤강 지류 중간 지역의 옹깐(ອົງການ) 지역에 소재한 석조사원(ຜາສາດ ຫີນ)을 건축하여 깜마타 신(ພະກຳມະທາ)에게 봉헌하는 일에 관여했다. 옹깐군의 군수의 딸이었던 낭 씨파껫(ນ. ສີພະເກດ)에게 선물로 드려졌던 이 사원은 짬빠싹도의 왓푸사원과 같은 시대에 건축되었다.

프랑스가 라오스를 통치하는 동안 프랑스인들은 금이나 은으로 만들어진 값진 보물들을 탈취했을 뿐만 아니라 그 장소를 철저하게 파괴했다. 쎗타티랏왕의 재위 기간에 쩽족 인구의 절반은 와아함사원(ວັດວາອາຮາມ)을 본래의 상태로 복구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앗따쁘도의 싸이쎄타군에 속하는 루앙사원(ວັດຫຼວງ)과 탓사원(ວັດທາດ)도 이들에 의해 보존되었다.

쩽족은 앗따쁘에 거주하는 브라오(ເບຣົາ)족, 으루(ຢຣູ)족, 냐헌(ຍະເຫີນ)족, 오이(ໂອຍ)족과 같은 뿌리에서 시작되었다. 쩽이라는 호칭은 그들의 전통 공예인 '조각과 도색' 이라는 의미를 지닌 쩽쭈와르(ເຈັງຈົວຼຣ)에서 왔다. 이 종족에게 '쩽'이란 이름을 지어준 이는 란쌍왕국을 세운(불기 2091~2114)싸이쎗타왕이다. 이 종족은 다른 종족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예술적 독자성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왕은 그들로 하여금 와아함사원을 보수할 때마다 쩽족의 예술적인 도안을 따라 수리하도록 명하였다.

 

 쩽족의 직업

쩽족의 농업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것은 찹쌀 농사와 가축 사육이었는데 많은 가축들은 정령들에게 바치는 희생제물이 되거나 쿠완 의식의 제물로 사용되었다. 주로 돼지와 닭을 즐겨 키웠으며, 조상들이 해오던 사냥, 산열매와 산나물 채취 등으로 살아간다. 

 

 마을과 집

쩽족의 가옥 구조는 두 가지인데, 집 한 채만 짓는 구조와, 같은 구조의 집을 두 채 나란히 짓는 구조이다. 출입문이 한 쪽 끝에 있고, 다른 방향에 특별한 문을 둔다. 창문은 만들지 않으며, 한 쪽 집은 손님을 위한 침실 용도와 제사의식을 진행하는 방으로 사용한다. 또 하나의 집 안에는 주방과 침실이 있다. 위급할 때 사용하는 1~2m 길이의 별채를 따로 두기도 한다. 물을 보관하는 항아리를 두고, 쌀은 집 밖에서 찧는다.

집 안쪽에는 벽이없는 넓은 공간이 있다. 잠잘 때에는 부모가 특별한 문 쪽에 눕고, 자녀들이 차례대로 눕는다. 딸들은 출입구 쪽에 눕는다. 만일 큰 아들이 없으면 그 다음 아들이 눕는다. 과거에는 가옥의 앞 면의 네 곳에 여러 문양을 새겨 넣었다.

 

의복

쩽족은 다른 종족과 유사한 의복을 입는데, 예를 들면 화려하지 않은 평범한 옷을 입고, 구슬로 만든 장식물을 걸치고, 남자들은 긴 머리를 묶는다. 귀걸이를 하고, 어떤 이는 문신을 새겨 넣기도 한다. 여자는 씬까도  (ສິ້ນກາໂດ)와 일반 씬(ສິ້ນທຳມະດາ)을 입고, 구슬로 장식한 옷과 함께 일반 옷을 입는다. 장식을 위해 팔찌와 발찌를 착용하고, 구슬로 만든 목걸이와 귀걸이로 단장한다.

 

음식

쩽족은 과거에 찹쌀밥과 람(ຫຼາມ)을 즐겨 먹었고, 전통 축제 때에는 술을 마신다. 시냇물을 식수로 사용하며, 직접 재배한 담배잎으로 담배를 만들어 피운다.

 

 신앙

어떤 마을에는 불교와 함께 정령을 섬기는 신앙이 공존하고, 또 어떤 마을에는 오직 귀신만을 섬기기도 하는데 약 100여 년 전부터 귀신을 철저하게 섬기고 있다.

각 신이 생산하거나 관여하는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월별로 분류하면,

1월~3월 나무의 신(ພະສັກເຂົ້າ), 4월~6월 벼의 신(ພະເຂົ້າເຫມົ້າ), 10월~11월 쌀 창고의 신(ພະເລົ້າເຂົ້າ), 12월~2월에는 삶은 닭이나 오리 1마리, 항아리술 1동이, 꽃, 초 5자루, 접시 8개 등을 신에게 드린다. 이 의식은 자손들에게 은혜를 베풀고 마을공동체를 형성하도록 해준 조상들의 혼령에게 감사를 드리기 위한 것이다.      

 

전통 예술과 악기

전통 악기로는 징의 한 종류인 컹쭝, 컹라(ຄ້ອງຈູ້ງ, ຄ້ອງລາ) 그리고 따니얀 (ຕະຫນ່ຽນ), 캔(ແຄນ, 대나무관 하모니카), 까짭삐(ກະຈັບປີ່, 거북 모양의 만돌린), 캅람쯔앙(ຂັບລຳເຈືອງ)과 깐펀뱁뗀싹(ການຟ້ອນແບບເຕັ້ນສາກ, 앞뒤로 점프하며 노는 춤) 등이 있다. 이것 외에도 전통설화, 전래동화, 격언 등이 전해진다.

 

 언어

쩽족은 문자는 없으나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해당하는 자신들의 구어가 있다. 이들의 언어는 브라오(ເບຣົາ)족, 냐헌(ຍະເຫີນ)족, 오이(ໂອຍ)족의 언어와 유사하여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기타 종족과의 의사소통은 라오어로 한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Cheng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Cheng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26 ເຈັງ+final.pdf
1.42MB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두(ເອີດູ, Erdou) 족  (0) 2025.04.27
브라오(ເບລົາ, Brao) 족  (0) 2025.04.27
하락(ຮ່າຣັກ, Harak) 족  (0) 2025.04.27
라멧(ລະເມດ, Lamed) 족  (0) 2025.04.27
라위(ລະວີ, Lavy) 족  (0)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