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종족

쁘라이(ໄປຣ, Pray) 족

by Dr.Sombuun 2025. 4. 27.

분포 지역과 인구

쁘라이(ໄປຣ)족은 싸이냐부리(ໄຊຍະບູລີ)도의 서쪽 지역과 태국의 북동쪽에 거주한다. 루앙파방(ລວງພະບາງ)도의 난(ນານ), 쩜팻(ຈອມເພັດ) 지역. 싸이냐부리(ໄຊຍະບູລີ)도의 싸이싸탄(ໄຊສະຖານ), 싸이냐부리(ໄຊຍະບູລີ), 씨앙헌(ຊຽງຮອນ),피앙(ພຽງ), 컨(ຄອນ), 홍싸(ຫົງສາ) 지역이 이 종족의 거주지다.

라오스에 있는 쁘라이족은 인구가 총 28,732명이고 그 중에 여성은     14,473명이며, 라오스 전체 인구의 0.4%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컨삐앗(ຄອນປຽດ) 마을의 부이장인 룽나(ລຸງນາ)와 마을연합회(ແນວໂຮມບ້ານ) 대표인 느앙(ທ່ານ ເນືອງ), 그리고 싸이냐부리(ມ.ໄຊຍາບູລີ)의 마을 연합회 대표인룽녓(ລຸງຍອດ)이 말하기를 이 종족은 과거에 태국의 치앙마이에 거주했었다. 약 100년 전 일어난 전쟁으로 생계가 어려워져 싼맷(ສັນແມດ)과 싼때 (ສັນແຕ)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곳으로부터 확장되어 현재는 싸이냐부리   (ມ.ໄຊຍະບູລີ)의 서쪽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쁘라이(ໄປຣ)라는 이름은 아주 오래 전부터 이 종족을 일컫던 이름이다. 다른 종족들과 라오스 정부에서 지정한 공식적인 명칭도 '쁘라이(ໄປຣ)'다. '루아(ລົວະ)'는 쁘라이족의 알려지지 않은 또 하나의 이름이다. 이 이름은 마을이나 도시에서 손님이 방문할 때 자신들을 소개하기 위하여 스스로 지은 이름이다. 그들은 자신들을 일컬어 '루아(ລົວະ)'라고 하는데 '쁘라이  (ໄປຣ)'라는 의미이다.

 

쁘라이족의 직업

쁘라이족은 찹쌀 농사와 함께 채소(상추, 콩, 감자 등)를 재배하며, 돼지와 닭을 사육한다. 이 가축은 제사의식이나 헷쿠완(ເຮັດຂວ້ນ) 의식에 필요한 제물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외에도 수공업이 발달하였다. 쁘라이족의 생활은 고대 경제의 흔적이 남아 있어 자연친화적이다. 즉 밀림에서의 벌목, 사냥, 산나물 채취가 이어지고 있다.

 

마을과 집

쁘라이족은 바이커(ໃບຄໍ້)로 지붕을 덮고, 히야(ເຮ້ຍ)나무로 벽을 만든다. 만일 딸이 결혼하면 사위가 들어와 살 수 있는 방을 마련한다. 집을 확장하는 이유는 새 집을 지어 분가하지 않기 위함이다. 집에 올라가기 위한 사다리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놓인다. 사다리가 있는 처음 두 방은 응접실이 된다. 한 방은 화로가 있고, 다른 한 방은 없다. 집 내부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중간에는 넓은 나무 판을 이용해 필요로 하는 숫자만큼의 방을 만든다. 모든 침실에는 화로가 있고, 사다리가 없는 곳은 닫혀있다. 사다리가 있는 쪽 마지막 방에는 대형화로가 있고 출입문이 있다.

 

의복

의복에 있어서 그들은 직물을 만들거나 베틀을 스스로 짤 수 없기 때문에 인근의 이웃들과 교환하거나 시장의 가게에서 사서 입는다. 쁘라이족의 의복은 다른 종족들로부터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의상에서의 독자성은 그다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음식

쁘라이족의 음식은 다른 종족들과 마찬가지로 스스로 농사 지은 찹쌀을 주식으로 한다. 그들이 즐겨먹는 음식으로는 깽(ແກງ), 랍(ລາບ), 어(ເອາະ), 람(ຫຼາມ), 쩨오(ແຈ່ວ)가 있고, 음료수로는 막걸리, 술, 생수를 마신다.

 

신앙

쁘라이족은 각 가문에 따른 다른 정령을 숭배하거나 조상신의 은덕을 기릴 뿐만 아니라, 마을 귀신, 도시 귀신을 한 귀신으로 믿고 섬기기도 한다. 마을의 높은 곳에는 작은 산당이 있는데 이곳은 '마을 귀신'과 '도시 귀신'을 섬기는 곳이다. 마을의 주민은 언제든지 이곳에서 제사를 드릴 수 있다.

이들의 절기이다.

  • 5월 절기: 홋남(ຫົດນໍ້າ)- 작물을 준비하는 시기의 행사
  • 8월 절기: 깔러(ກະລໍ)- 마을의 모든 귀신을 섬기는 행사
  • 11월 절기: 카오마오(ເຂົ້າເໝົ້າ)- 추수한 곡식을 창고에 저장한 후 돼지한 마리를 제물로 드림으로 귀신을 곡물창고에 모시는 의식
  • 12월 절기: 분흐안(ບຸນເຮືອນ)

맛캔(ມັດແຂນ) 의식이 있을 때에는 술 한 통과 까쑤아이(ກະຊວຍ) 5개, 양초, 카오놈(ເຂົ້າໜົມ), 카오똠(ເຂົ້າຕົ້ມ)을 제단 위에 올려놓는다.

쁘라이족은 엄격하게 그들의 전통을 지킨다. 그래서 1년에 한 차례씩 제사를 드리고, 여러 번의 절기를 지킨다. 왜냐하면 그들은 혼령이 계절을 따라 다스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생산의 계절에는 '밭의 귀신'에게 9 차례의 제사를 드리는데, 이 제사의식이 이 종족의 문화가 되었다.

'낀덕다이덕댕(ກິນດອກດ້າຍດອກແດງ) 의식'은 쁘라이족에게 있어서 매년 생산계절의 종료를 의미한다. 또한 금기를 지키는 것과 길조와 흉조에 대한 믿음이 있다.

 

전통 예술

위에서 언급된 신앙들이 그들의 문화를 형성하는 틀이 되었다. 예술적 작품으로는 전통 노래들이 있는데, 예를 들면 노래는 캅쌀러(ຂັບສາເລາະ)가 있고, 전통 악기로는 왁(ວາກ), 껑-까러너이(ເກີງ-ກະລໍນ້ອຍ)가 있다.

 

언어

쁘라이족은 문자가 없으나,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하는 자신들만의 구어가 있는데 다음 두 가지 친족어로 구성된다. 두 친족어로 구분되는 것은 양 족의 구어가 약간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밥을 먹다'라는 말을 한 계열에서는 '뽕짜(ປົງຈະ)'라고 하고, 다른 한 계열에서는 '뽕싸(ປົງຊາ)'라고 한다. 아래에 있는 양쪽 모두가 사용하는 숫자는 일치한다.

모이(ໂມຍ), 삐야(ເປຍ), 패뽄(ແພະໂປນ), 썽(ຊອງ), 톨(ໂທລ), 꿍꿀(ກຸງກູລ), 꿍깟 (ກຸງກັຕ), 삐(ປີ), 뚝(ຕຸກ).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Pray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Pray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32 ໄປຣ+final.pdf
2.19MB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ມົ້ງ, Hmong) 족  (0) 2025.04.27
브루(ບຣູ, Brou) 족  (0) 2025.04.27
오이(ໂອຍ, Oy) 족  (0) 2025.04.27
애(ແຢະ, Yae) 족  (0) 2025.04.27
탠(ແທ່ນ, Thaen) 족  (0)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