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종족

응우완(ງວນ, Ngouan) 족

by Dr.Sombuun 2025. 4. 26.

분포 지역과 인구

응우완(ງວນ)족은 라오스에 있는 적은 인구를 가지고 있는 종족 중 하나로캄무완(ຄໍາມ່ວນ)도의 타캑(ທ່າແຂກ), 부아라파(ບົວລະພາ) 지역의 3 마을에만 살고 있다.

라오스에서 응우완족의 인구는 총 886명이며, 그 중 여성이 434명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응우완족은 오래 전부터 라오스의 캄무완도의 부아라파와 타캑 지역의 여러 장소에서 거주하던 종족 중에 하나이다. 프안반(ເພື່ອນບ້ານ) 나라에서 19세기 말엽에 영도자 등완미안(ດືງຫວັນມຽນ) 선조에 의해서 라오스로 이주하였는데 부아라파 지역을 지나 여러 지역으로 흩어졌다. 처음에 이 종족은 밀림, 아주 깊은 계곡 그리고 은밀한 지역에 거주하였다.

프랑스가 라오스를 통치할 때 이 종족은 은밀한 지역에 있었기 때문에 문서 명부 안에 없었는데 나중에 그들은 프랑스에 의해서 평야로 내 몰아졌다. 프랑스 제국 군대가 라오-베트남 국경의 독립군을 평정하는 과정에서 이 종족이 거주하는 곳이 드러나 숲에서 나오게 되었다. 응우완족은처음에 베트남 꽝빈도의 밍후아 지역에 있었고 라오스에서와 같이 응우완족으로 불리었다. 이 종족 자신도 응우완이라고 칭하였고, 다른 종족도 마찬가지로 응우완족이라고 불렀다. 이름의 의미는 발원(發源, 물줄기가 처음 시작하는 곳, ຍອດຫ້ວຍ, ປາຍຫ້ວຍ), 계곡(ຮ່ອມພູ), 산꼭대기(ຍອດພູເຂົາ)이다. 프랑스가 라오스를 통치하기 전에 응우완족의 이름은 달랐는데 ‘가다 또는 어디 가다’의 의미가 있는 ‘위앗띠노(ຫວຽດຕີໂນ)’이었다. 응우완족이란이름은 프랑스가 라오스를 통치할 때 만들어졌다. 

 

응우완족의 직업

경제적인 측면에서 그들은 예전에 무명이나 비단을 짜고(ຕໍ່າຫູກ, ທໍ່ໄໝ), 뽕나무를 심고, 누에를 키우는 능력이 있었다. 남자들은 가족들이 사용하도록 대나무나 등나무를 이용하여 바구니(ກະບຸງ), 용기(ກະຕ່າ), 어롱(ຂ້ອງ), 씨안(ສ່ຽນ), 그리고 파카오(ພາເຂົ້າ, 밥상)도 만든다. 이것과 함께 그들은 의식을 위하여 돼지, 닭을 사육하며, 농사일에 부리기 위해 소와 물소를 키운다. 타캑 지역에 있는 대부분의 응우완족은 고대부터 밭일과 텃밭을 일구며 생계를 유지하였으나, 현재 그들은 직업이 바뀌어 대부분 장사를 하며지위가 상승되었다.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농사일을 계속 하고 있다.

 

마을과 집

마을의 위치와 집을 세울 장소, 그리고 논일, 밭일, 텃밭 일을 할 수 있는적당한 지역을 마을 어른이 찾는다. 집을 세우기 전에 가부를 결정하는  2개의 종이를 잡고, 주술을 하고 지명 부호 깃발을 꽂은 뒤 귀신을 쫓아내거나 귀신에게 집을 세울 지역에서 다른 장소로 떠나가라고 호소한다.

응우완족은 예전에는 집터에 흙을 쌓아 지대를 높였고(ຊູດິນ), 짚으로 지붕을 덮었으며(ມຸງຫຍ້າ), 점토로 벽을 칠하였고, 벽에 침대를 식구에 따라 고정시켰으며, 벽이나 커튼으로 막았다. 한쪽 끝에는 귀신제단 방이 있고, 위에 힝(ຫິ້ງ, 신주단지와 유사)이 있으며, 가까이에 부모의 침대가 있다. 이 외에도 모든 자녀의 침실이 있다. 집을 방문한 손님이 있을 때, 집 안 사람은 귀신제단 방에서 잠잘 손님을 치켜세우고 밖에서 가져온 화로를 큰 방에 놓는다. 현재 그들은 발전하여 기둥 위에 집을 세우고 응용하여 나무집을 지으며, 시대에 맞게 각 가족이 원하는 조건에 따라 여러 형태로 집을 짓는다.

 

의복

응우완족의 의상은 남녀가 긴 바지를 입었고 몽(ມົ້ງ)족 의상같이 상의 팔 길이를 길게 늘여 놓는다. 하얀색과 노란색 옷을 즐겨 입는데, 까만색 천을 남자는 허리에, 여자는 머리에 두른다. 은으로 만든 목 장식과 팔찌를 착용하는데 우아한 문양을 새겨 넣는다. 현재 전통 의상은 이를 보존하려는 원로들 외에 결코 보지 못하는 것이 되었고, 대부분 시장에서 기성품을 사서 입는다.

 

음식과 음료

응우완족의 음식은 다른 종족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지역에서 구할 수 있거나 시장에서 가공된 음식인 랍(ລາບ, 고기나 생선을 익히거나 날 것으로버무린 것), 국, 어(ເອາະ), 구운 것, 목(ໝົກ, 바나나 잎으로 싸서 요리한 것) 등으로 매일의 음식으로 삼으며, 그들 대부분은 찹쌀을 주식으로 먹는다.

 

절기 행사

응우완족의 매년 절기는 마을 사람들이 마헤쌋귀신(ຜີມະເຫສັດ, 능력있는 귀신)을 신봉하고 마을에서 공동으로 마헤쌋귀신의 신당을 건축하며 돌보기 위하여 관리 장로를 선출하여 매달 음력 보름날(ວັນສິນ)에 신당에서 제사한다. 매년 라오스(불교력) 3~4 월 사이에 신성한 것이 마을 사람들을 늘 좋게 하고, 행복하게 하며, 행운이 깃들도록 비호하기 위해 신당을 돌본다. 그 외에도 응우완족은 매년 2번, 분낀뗏(ບຸນກິນເຕດ, 뗏-Tết은 베트남에서 유래한 말로 음력설을 말한다) 절기, 큰분뗏(ບຸນເຕດໃຫຍ່)과 작은 분뗏(ບຸນເຕດນ້ອຍ)을 지킨다.

 

● 큰 분뗏(ບຸນເຕດໃຫຍ່)

매년 음력 1월로 라오스력 3월에 해당하며 베트남과 성격이 같다. 이 절기에는 허카오똠냐이(ຫໍ່ເຂົ້າຕົ້ມໃຫຍ່, 베트남에서는 ‘반뗏- bánh Tết’, 즉 설날에 먹는 떡), 야채절임 종류(ປະເພດເຄື່ອງດອງ), 과자, 생선 젓갈 등이 빠져서는 안 된다. 3일간 진행되는데 첫 날은 가까운 친척과 돈이나 생필품(ປັດໄຈ)을 나누는 날이고, 둘째 날은 달신에게 절하며, 셋째 날은 새해 음식을 먹으며 경축하기위해 모여 즐거워하고, 사회적 위치가 있는 어르신, 부자, 중요한 영향력이 있는 사람의 집을 방문하여 부부에게 축복하는데, 일년 내내 가족이 건강하고 행운이 있으며 승리하기를 기원함으로 의식을 마친다.

 

● 작은 분뗏(ບຸນເຕດນ້ອຍ)

작은 분뗏은 베트남의 음력 5월 5일(단오), 즉 라오력 7월 5일, 단 하루 동안 거행한다. 이 외에도 그들은 매년 라오력 9월 2일을 새롭게 시작되는 날로 정해 쌀과 닭으로 의식을 거행한다. 제사상을 차려놓고 집 귀신에게 바치는데 이 의식은 그날 당일만 한다.

 

전통 예술과 악기

응우완족의 전통 예술은 자신들만의 독특한 것이 있다. 악기연주에 맞춘 노래와 춤(ການຂັບຮ້ອງທຳນອງເພັງ), 리듬있는 구절(ຕູ້ມ, ຜະຫຍາຍ່ອຍ), 피리(ປີ່-ຕົງໂຕຍ), 싸끄와이(ສະໄກວ-ຕົງໂຕຍ), 허투왁(ຮໍທວກ-ກາບກອນ), 픈씁(ພື້ນສືບ) 등이 그것이다.

 

언어

응우완족은 자신들의 언어가 있지만 문자는 없다. 그들은 자신들끼리는 자신들의 언어를 사용하지만, 다른 종족에게는 라오어를 사용한다. 응우완어는 위앗-므앙(ຫວຽດ-ເມືອງ) 지류의 먼-카매 언어군에 속한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Ngouan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Ngouan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07 ງວນ+final.pdf
2.04MB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쌈따오(ສາມຕ່າວ, Samtao) 족  (0) 2025.04.26
싸당(ສະດາງ, Sadang) 족  (0) 2025.04.26
카매(ຂະແມ, Khmer) 족  (0) 2025.04.26
끄리앙(ກຣຽງ, Kriang) 족  (0) 2025.04.26
끄리(ກຣີ, Kree) 족  (0)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