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종족

쌈따오(ສາມຕ່າວ, Samtao) 족

by Dr.Sombuun 2025. 4. 26.

분포 지역과 인구

쌈따오(ສາມຕ່າວ)족은 라오스 북부인 루앙남타(ຫຼວງນໍ້າທາ)도의 위앙푸카    (ວຽງພູຄາ), 나래(ນາແລ), 남타(ນໍ້າທາ), 렁(ລອງ) 지역, 버깨오(ບໍ່ແກ້ວ)도의 후아이싸이(ຫ້ວຍຊາຍ) 지역에 정착하여 거주하고 있다.

쌈따오족의 인구는 총 3,417명이고, 그 중 여성이 1,680명이다. 라오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1%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역사는 다음과 같다. 쌈따오족의 근원은 중국 남쪽에 있는 씹썽판나(ສິບ ສອງພັນນາ)지역과 씨앙훙(ຊຽງຮຸ່ງ) 지역의 고원이다. 지역군주(ເຈົ້າຫຼວງ)인 쌩캄(ອົງແສງຄຳ)에 의해 다스려졌고, 파냐웡(ພະຍາວົງ)과 짜오쌩(ເຈົ້າແສງ)이 그 뒤를 이었다. 씹썽판나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미얀마에 있는 쌈푸빵싸이  (ສາມພູປາງຊາຍ) 라는 마을로 옮긴 것이 이주의 원인이 되었다. 그 이후로 쌈따오족은 끔무(ກຶມມຸ)족, 빗(ບິດ)족, 라맷(ລະເມດ)족과 같은 시기에 라오스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  

이 민족은 자신들을 스스로 ‘쌈따오(ສາມຕ່າວ)’족이라고 불렀다. 다른 민족들도 그들이 좋아하는 이름으로 불러주었고, 현재 공식적인 이름으로도 사용되고 있어서, 이 민족의 이름은 ‘쌈따오’족이 되었다. 그 이름의 의미는, 퐁쌀리(ຜົ້ງສາລີ)도의 역사책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쌈따오(ສາມຕ່າວ)’는 사십 만개의 말안장 시대(ສະໄໝສີ່ແສນ ອານມ້າ)에 있었던 작은 세 나라(ສາມ ອານາຈັກນ້ອຍ)의 세 명의 장자(세 명의 군주) 이름이다. (이 시기가 싹디나 시대[ສະໄໝສັກດີນາ]인데, 이때 미얀마가 라오스를 침략했었다)

쌈따오족은 아직 이렇다할 역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예전에는 끔므(ກຶມມຸ)족과 같은 족속으로 끔무족의 일부였던 때가 있었다. 끔무족은 현재 큰 민족으로, 자신만의 언어도 가지고 있다. 그룹의 장자격인 끔무족은 자신들의 언어를 다른 민족에게 전파해 주기도 했다. 그런데 그 이후에 끔무족과 쌈따오족 사이에 다툼이 있었다. 다툼은 마무리되어 이전과 같이 돌아왔지만, 더 이상 같은 민족으로 있길 원치 않아서 민족 간의 분리가 이루어졌고, 그때까지 가지고 있던 그들의 언어와 관습을 버리고 다른 민족의 것들을 흉내 내었다. 귀신을 섬기다보니 신을 모시는 제사장 계층(바라문, ພາມ)을 섬기게 됐고, 그러한 제사장(바라문)들을 섬기는 종교(브라만교, 힌두교의 전신)를 받아들이면서 불교를 믿게 되었다. 쌈따오족은 더이(ດອຍ)족과 통합되어 한 민족이 되었다.      

 

쌈따오족의 직업

경제 활동을 위해, 쌈따오족은 주로 밭을 메거나, 찹쌀을 심는 것과 같은 농업과 관련된 일을 한다. 이러한 일 이외에도 자신들 가족의 일상을 위해서 야채와 같은 것들을 심기도 한다. 남성들은 수공예로 바구니를 짜는일, 가정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도구를 만들기 위해서(대장장이 일 같이) 철을 다듬는 일, 농기구 관련된 일 등을 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믿음이 있다. 또한 여성들은 의복을 만들기 위해 비단천을 짜야 한다는 근본적인 믿음이 있다. 그들이 주로 기르는 가축은 양(ແກ່?), 물소, 돼지 그리고 조류이다.

  

마을과 집

쌈따오족은 기둥 위에 지은 집(ເຮືອນຮ້ານ)을 좋아한다. 집을 지을 때는 그들만의 모양이 있는데, 발코니(ຊານ, ເຊຍ)와 방을 만들고 올라가는 계단을 3, 5, 7, 9개로 만든다. 집 안의 방을 만드는 방법은 르(ລື້)족과 거의 유사하다. 건축자재는 실제로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가정에서의 금기사항(ການຄະລຳ)은 외부사람이 침실에 먼저 들어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의복

쌈따오족의 의복은 다음과 같다. 여성은 쓰아빠이(ເສື້ອປ້າຍ, 여성 정장옷)라는 옷을 입으며, 옷의 말단이나 상의의 끝자락에 패턴이 있다. 소매 끝에는 얇은 줄(ແຄບລາຍ)이 있다. 전통치마인 씬(ສີ້ນ)은 여러 색의 많은 꽃무늬가 섞여 있다. 파란색의 두건도 두른다. 남성은 목 주위와 주머니 입구   (ປາກຖົງ)에 무늬가 들어가 있는 상의를 입으며, 바지는 검은색의 기장이 긴 옷을 입는다.

 

음식과 음료

쌈따오족은 찹쌀, 랍(ລາບ, 라오스식 다진고기 요리), 구이(ປີ້ງ, ຈີ່) 그리고 맵거나 짠 어(ເອາະ, 걸쭉한 스프) 등을 좋아한다. 술과 자연수(ນໍ້າດິບ)를 마시며, 담배와 키아오막(ຄ້ຽວໝາກ, 빈랑열매를 포함한 각종 잎과 열매를 섞어서 씹는 것)을 좋아한다. 

 

신앙

여러 다른 민족과 함께 교류하며 지내왔기 때문에, 그들은 불교, 브라만교(ພາມ), 귀신 등을 믿게 되었다. 이러한 모든 것은 문화가 되었는데, 가까이서 교류하며 지내던 다른 민족의 특징을 조금씩 가지고 왔다. 그 예로, 그들이 사는 동네에는 와아람사원(ວັດວາອາຣາມ)이라는 절과 어린 남자승려(ພະສົງສຳມະເນນ)가 있다. 이와 함께 부모귀신, 집귀신, 동네귀신, 강귀신, 숲귀신, 정령 등의 귀신을 섬기는 정령숭배신앙(ໄສຍະສາດ)도 여전히 존재한다.

매 해마다(ໃນປີໜຶ່ໆ), 그들은 라오스 달력에 따라 매달 있는 절기행사(ບຸນ)를 즐긴다. 그 행사들은 분쑤쿠완카오(ບຸນສູ່ຂວັນເຂົ້າ), 분카오찌(ບຸນເຂົ້າຈີ່), 분파왯(ບຸນພະເຫວດ), 분삐마이(ບຸນປີໃໝ່), 분카오판싸(ບຸນເຂົ້າພັນສາ), 분카오빠답딘(ບຸນເຂົ້າປະດັບດິນ), 분카오쌀락(ບຸນເຂົ້າສະຫຼາກ), 분억판싸(ບຸນອອກພັນສາ) 등으로, 이 중 분억판싸는 젊은 남자승려가 절에서 나오는 절기이다.

 

전통 예술과 문학

쌈따오족의 예술과 문화는 운율시(ກອນຂັບ), 춤(ການລຳ), 노래(ເພັງຮ້ອງ), 멜로디(ທຳນອງເສບ), 산문시(ຄຳກອນ), 격언(ຄຳພະຫຍາ, ສຸພາສິດ), 설화(ນິທານ)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각 시대의 사회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악기로는 북(ກອງ), 피리(ປີ່), 호금(ຊໍ), 징(ຄ້ອງ), 피리(ຄຸຍ) 등이 있다.

 

언어

쌈따오족은 자신의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자신만의 언어는 가지고 있다. 이 언어는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한다. 이 언어군에 해당되는 언어를 가지고있는 민족은 쌈따오족을 비롯하여 라오르(ລາວ ລື້)족, 뉴안(ຍວນ)족, 빗(ບິດ)족 그리고 끔므(ກຶມມຸ)족이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Samtao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Samtao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09 ສາມຕ່າວ+final(쌈따오).pdf
2.03MB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씽문(ຊິງມຸນ, Xingmoun) 족  (0) 2025.04.26
쑤와이(ຊ່ວຍ, Xuay) 족  (2) 2025.04.26
싸당(ສະດາງ, Sadang) 족  (0) 2025.04.26
응우완(ງວນ, Ngouan) 족  (0) 2025.04.26
카매(ຂະແມ, Khmer) 족  (0)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