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지역과 인구
오래 전부터 머이(ມ້ອຍ)족이 라오스에서 거주하는 지역은 후와판(ຫົວພັນ)도 쌈느아(ຊໍາເໜືອ) 지역의 던 마을(ບ້ານດອນ) 이다. 라오스에서 오직 이 곳에서만 거주한다. 이 외에 머이족은 베트남 북부의 호아빈(Hòa Bình)성, 타인호아(Thanh Hóa)성에 거주한다.
라오스에 있는 머이족은 총 789명이고, 여성은 368명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머이족은 베트남 북부 타인호아(Thanh Hóa)성 후와므앙 지역의 후와마 마을에서 1707~1708년에 이주해 왔다. 쌈(ຊໍາ) 강줄기를 따라 나영 마을 (ບ້ານ ນາເຢິງ)에서 1년, 왓빠만 마을(ບ້ານ ວັດປະມານ)에서 3년, 통나합마이 마을(ບ້ານ ທົ່ງນາຮາບໄໝ່)에서 3~4년을 보내며 이곳까지 왔다. 그들의 지도자 (ຕາແສງຮາບ)가 말하길 그들이 정착한 지역은 뒤에 산이 있으며, 큰 강을 끼고 있고, 많은 물고기, 울창한 수풀이 있는 지역이었다. 특별히 절벽에 벌집(ຜາເຜິ້ງ)이 있는 지역이어서, 현재까지도 벌이 많이 있다.
머이족은 스스로도 ‘머이’라고 부른다. 주변의 종족들도 그들을 ‘머이’라고부르고 스스로도 이 이름을 좋아한다. 라오스 정부의 공식 명칭도 ‘머이’이다. 현재 베트남에 있는 같은 종족은 자신들을 ‘므앙(Mường)’이라 부른다.
머이족의 직업
머이족은 라오스에 정착한 때부터 농업을 중심으로 생활했다. 논과 밭에쌀과 맵쌀을 심었고, 다양한 야채들을 계절에 따라서 자연환경에 맞게 재배해왔고, 물소, 소, 돼지, 오리, 닭 등의 가축도 키웠다. 이 외에도 그들은 과실수(ຕົ້ນໄມ້ກິນໝາກ)와 대나무, 그리고 목재 판매가 가능한 나무들(ໄມ້ ອຸສະຫາກໍາ)을 심고 키운다. 이들은 차를 재배하여 판매하기도 하고, 대나무를 이용해 소파, 의자, 책상 등의 수공예 품을 만들어 판매한다. 그들은공동으로 공예 작업을 하고, 여러 행사들을 치뤄 나간다. 여성들은 베틀을 사용해 자신들이 사용할 면제품을 만드는 장인들이며, 또 이것을 제품으로 판매해서 가계의 소득을 창출한다.
마을과 집
머이족은 일반적인 종족들이 거주지나 집 지을 장소를 찾는 것과는 다른 독특함을 가지고 있다. 머이족은 이사할 시기를 고르는데, 달이 뜰 때나 달이 보름달일 때(ເດືອນຂຶ້ນ, ເດືອນເພັງ)를 고른다. 그들은 이때 자신들이 거주할 만한 평탄한 곳을 찾으러 나간다. 그리고 그 장소를 찾으면 그들은 7개의 쌀알을 그 곳에 묻고 가져온 막대를 꽂아 그곳을 표시해 놓는다. 그들은 그곳의 왕래를 금지하고 그곳에서 떠난다. (이런 모습은 그들의 삶이 어떨지, 가축들이 새끼들을 잘 낳을지, 생산 활동이 잘 진행될지 등을 점치는 행위(ການສ່ຽງ)이다.) 후에 그곳이 거주하기 괜찮은지 그렇지 않은지를 와서 살펴보고 다시 돌아가 마을에 보고한다. 거주하기 부적합하면 새로운 장소를 찾아보고, 좋은 장소라고 여겨지면 그곳에 거주할 가족들과 같이 가서 그 곳을 개간하고 집 지을 준비를 하고 각자의 집을 짓는다. 집의 기둥을 고르는 방법은 나무 한 그루를 잘라 두개의 기둥으로 사용하는데, 특별히 벌집이 있던 나무는 사용할 수 없다.
머이족 집의 특징은 흐안한(ເຮືອນຮ້ານ, 기둥 위에 지은 집) 형태이며, 집 기둥은 단단한 나무(ໄມ້ແກ່ນ)로 9개나 12개, 아니면 가족에 따라 그 이상을 사용하기도 한다. 지붕은 건초(ຫຍ້າຄາ)로 덮고, 대나무(ໄມ້ເຮ້ຍ, ໄມ້ຫົກ)로벽을 만들고, 바닥은 대나무(ໄມ້ປ່ອງ)를 잘게 쪼개 이어 붙여 만든다. 집은 3개의 방으로 이루어지는데, 첫 번째 방은 부부가 머무는 방이며 여기에는 가정의 제단(ຮ້ານບູຊາຜີ)이 있고, 남자 아이들과 여자 아이들을 위한 방이 따로 있다. 부엌은 작게 외부에 따로 떨어져 있다. 집에 올라가는 계단은 3, 5, 7, 9의 홀수로 만들고 집의 높낮이에 따라 정한다.
1957~1958년부터 머이족은 좀 더 개량된 재료를 이용해 집을 짓기 시작했다. 지붕은 슬레이트를 사용하고, 벽과 바닥은 널판지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런 방법들은 현재까지 계속 발전해 왔는데, 기와를 사용해 지붕을 덮는 일 등이다. 하지만 머이족은 흐안한(ເຮືອນຮ້ານ, 기둥위에 지은 집)과 베란다(ຊານ, ເຊຍ)를 만드는 것으로 자신들만의 전통성을 유지하고 있다.
의복
머이족은 의복에 있어서 현재까지 자신만의 독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종족 중의 하나이다. 검은색으로 염색한 옷을 입고, 남성들은 검은색 윗도리를 입는데, 커몬(ຄໍມົນ, 목 부분이 동그란 상의)이나, 커램(ຄໍແຫຼມ, 목 부분이 V로 파인 상의)이 있으며, 팔 길이는 필요에 따라 장단을 결정한다.바지는 검은색 쏭후와훗(ໂສ້ງຫົວຮູດ, , 허리를 끈으로 묶는 바지)를 입고 긴바지, 반바지, 그리고 펑퍼짐한 스타일의 바지(ຂາສາມສວ່ນ)가 있다. 남성들은 귀를 뚫거나 문신을 하지 않는다.
여성들은 대부분 스스로 만든 전통 치마(ສິ້ນ)를 입는데, 끝부분에 띤(ຕີນ)이라는 덧붙인 화려한 무늬가 있다. 윗도리는 허리가 짧은 옷(ເສື້ອບໍ່ພໍ)을 입는데, 검은색에 무늬가 있으며, 안쪽에 주머니(ຈັບເງິນໃສ່)가 있다. 여성들이 사용하는 장신구는 팔찌, 발찌, 목걸이, 귀걸이 등이 있고, 이것들은 은, 놋, 구리로 만들어졌다. 다만 지금은 은, 금과 시장에서 파는 물품들로 치장하는 걸 선호한다.
음식
오래 전부터 내려온 전통에 따라, 머이족은 맵쌀과 함께 국, 볶음, 람 (ຫຼາມ), 어(ເອາະ), 차, 항아리술(ເຫຼົ້າໄຫ), 라오카오(ເຫຼົ້າຂາວ, 쌀로 만든 술)를마시고 물담배(ສູບກອກຮີດ)도 즐겨한다. 주된 음식은 생선, 절인생선(ສົ້ມປາ),구이(ປີ້ງ),찜(ໜຶ້ງ), 절인 죽순(ໝໍ່ໄມ້ສົ້ມ) 등이다. 지금은 머이족도 현재 유행하는 음식들을 즐겨 먹는다.
절기 행사
머이족은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자신들의 전통을 후손들에게 물려주며 잘 지켜가고 있다. 쑤쿠완(ສູ່ຂວັນ) 의식은 결혼식, 출산, 건축기념식, 병에서 회복 후, 유학, 손님맞이 등을 할 때에 행한다. 이 행사들은 가족이나, 마을의 기관들이 정한 조건에 맞을 때 연다. 각 행사들은 열릴 때 마다 좋은 날을 고르기 위해, 안 좋은 일을 피하고 복을 가져오기 위해, 공동체성을 세우기 위해, 친척, 이웃들과의 관계를 위해서 등의 의미를 가진다.
특별히 1년 중 가장 큰 머이족의 절기가 있는데, 그것은 2월에 있는 분낀뗏(ບຸນກິນເຕດ) 이다. 이 절기는 이 절기만의 독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베트남에서 열리는 행사와 같은 시기에 열린다. 이 때에는 모든 것이 부족해서는 안 되며, 절기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위해서 꼭 준비해야하는 것들이 있는데, 큰 카오똠(ເຂົ້າຕົ້ມໃຫຍ່), 카오놈(ເຂົ້າໜົມ), 절인 음식들(ປະເພດ ເຄື່ອງດອງ), 절인 생선(ປາສົ້ມ) 등이다. 이 절기는 3 일 동안 치러지는데, 첫째 날은 친척들과 함께 우애를 다지는 날이며, 둘째 날은 달의 신에게 경배하는 날, 그리고 마지막 날은 새해의 첫날이므로 함께 즐겁게 즐기며 이 절기를 마무리 한다.
전통 예술과 문학
머이족의 예술과 문학은 풍성하고 부유하다. 합주노래(ບົດຮ້ອງທໍານອງເສບ), 시조(ກອນຂັບ, ກອນລໍາ), 속담(ຄໍາສຸພາສິດ), 격언(ຄໍາຜະຫຍາ) 등이 남성, 여성 사이를 이어주며, 다양한 자연과 공존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와 더불어, 껑(ກອງ, 북), 컹(ຄ້ອງ, 징), 삐(ປີ່, 플룻 방식의 피리), 써(ຊໍ, 두 줄짜리 바이올린) 등의 전통 악기가 있다.
언어
머이족의 언어는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해 있으며, 그들은 따이 (ໄຕ)족, 따이카우(ໄຕຂາວ)족, 그리고 라오(ລາວ)족의 말을 할 수 있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Moy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Moy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으루(ຢຣຸ, Yrou) 족 (0) | 2025.04.27 |
---|---|
마껑(ມະກອງ, Makong) 족 (0) | 2025.04.27 |
펑(ຜ້ອງ, Phong) 족 (0) | 2025.04.27 |
빠꼬(ປະໂກະ, Pacoh) 족 (0) | 2025.04.26 |
빗(ບິດ, Bid) 족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