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종족

으루(ຢຣຸ, Yrou) 족

by Dr.Sombuun 2025. 4. 27.

분포 지역과 인구

으루(ຢຣຸ)족은 현재 짬빠싹도의 빡썽(ປາກຊອງ), 바찌양짜런쑥(ບາຈຽງຈະເລີນ ສຸກ), 빠툼펀(ປະທຸມພອນ) 지역, 쌀라완도의 라오응암(ເລົ່າງາມ) 지역, 쎄껑도의타땡(ທ່າແຕງ) 지역, 앗따쁘도의 싸남싸이(ສະໜາມໄຊ), 싸막키싸이(ສາມັກຄີໄຊ),핫싸이담(ຫາດຊາຍດໍາ)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으루족의 총 인구는 56,411명이고 이 중 여성은 28,932명이다. 라오스 전체 인구의 0.9%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짬빠싹도 빡썽지역과 앗따쁘도 싸남싸이 지역의 장로들의 말에 따르면, 으루족이 처음 정착한 곳은 따남떰벅산(ພູຕະນໍາເຕີມເບີກ)과 까후와이산(ພູ ກະຮວຍ), 그리고 와이산(ພູຫວາຍ)이었다. 이후에 전쟁으로 인해 자연 환경과 사회가 급격히 변화하여, 이들은 바찌양짜런쑥, 빠툼펀, 라오응암, 타땡 그리고 싸남싸이 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기게 되었다.

다른 자료에는 그들은 씨앙쿠앙도의 통하이힌(ທົ່ງໄຫ່ຫີນ)지역에 거주하다가 통롱(ທົ່ງຫຼົງ)과 통와이(ທົ່ງຫວາຍ), 빡썽 (ປາກຊ່ອງ)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이때 적지 않은 사람들이 깽막크아(ແກ້ງໝາກເຂືອ)-와이(ຫວາຍ)마을   (앗따쁘도 싸이쎄타 지역 쎄쑤강)지역으로 이동했었고, 다시 쎄쑤강(ເຊສຸ)줄기를 따라 쎄까만강(ເຊກະໝານ), 쎄껑강(ເຊກອງ)을 지나 쎄남꽁강(ເຊນໍາ ກົງ) 줄기를 따라 이동했다. 또 다른 한 그룹은 쎄껑강 아래 쪽 줄기와 쎄삐얀강 (ເຊປ່ຽນ) 접경지대로 이동해 거주하게 되었다.

이 종족이 자신을 부르는 이름은 ‘으루(ຢຸຣ)’이다. 으루에는 몇 가지 뜻이 있는데, 단단한 연합(ປືກແຜ່ນແໜ້ນໜາ), 강, 낭떠러지, 깊은 구멍, 밀림이다.다른 종족들이 이들을 부르는 이름들이 있는데, ’라웬(ລະເວນ)’은 운명이라는 뜻이고, ‘쑤(ສຸ, ຊຸ)’는 물줄기라는 뜻이다. 현재 이 종족이 불리기 원하는 공식적인 이름은 ‘으루’이다.

으루족은 두 개의 친족집단으로 이루어졌는데, ‘으루껑(ຢຣຸກອງ)’은 고원지대에서 살고, ‘으루닥(ຢຣຸດາກ)’은 쎄껑강 아래쪽 지대에 거주한다.

 

 으루족의 직업

으루족은 여러 지역을 이동하며(ແບບເລື່ອນລອຍ) 밭에서 찹쌀과 맵쌀을 심어왔었다. 하지만 지금은 여러 지역을 이동하던 방식에서 토지를 개간해 고정된 장소에서 농사일을 하는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요즘은 커피를 심어 재배하기도 한다.

 

마을과 집

으루족 집의 특징은 쩽(ເຈັງ)족과 오이(ໂອຍ)족의 집과 비슷하다. 흐안한   (ເຮືອນຮ້ານ, 기둥 위에 지은 집) 형태의 집을 짓고, 바닥과 주위는 널판지 (ແປ້ນ)를 이용하고, 지붕은 건초(ຫຍ້າຄາ)로 덮는다. 기둥은 사각형의 단단한 나무(ໄມ້ແກ່ນ)를 사용하고, 땅으로부터 2.5미터 이상의 높이에 집의 바닥을 만든다. 집의 길이와 넓이는 집마다 차이가 난다. 집의 길이나 크기는 방의 수에 따라 많이 다른데, 최대 5개에서 최소 2개로 구성되어져 있다. 으루족은 집을 지을 때, 일 년 내내 물이 풍성한 계곡이나 강 주위에 집을 짓는다.

현재 으루족은 집을 지을 때 옛 라오 족의 형식을 따라 짓고 있다. 집의 형태는 예전과 같이 흐안한(기둥 위에 지은 집) 형태이고, 집 안에는 부부의 침실과 자녀들의 방이 있으며, 손님을 위한 공간도 있다. 만약 며느리나 사위가 있다면 이들을 위해서는 새로운 집을 짓는다.

 

의복

으루족의 의복과 장신구는 남녀가 비슷하다. 여성은 씬과 긴 팔 윗도리를입고, 머리를 묶으며, 귀를 뚫고 귀걸이를 하지만 치아를 자르지(ຕັດແຂ້ວ)는 않는다. 또 목걸이와 팔찌(ປອກແຂນ), 발찌(ປອກຂາ), 반지(ແຫວນມື), 구슬 (ໝາກປັດ) 등의 장신구를 한다. 남자들은 까띠야우(ກະຕ່ຽວ-똥바지 스타일의바지 아래쪽을 말아 뒷춤으로 넣어 입는 옷)를 입지만, 위에 옷은 입지 않는다(ບໍ່ຫົ່ມເສື້ອ). 또 머리를 길러 머리를 묶으며, 여성들처럼 귀를 뚫어 귀걸이를 한다. 이들은 명절 때나 여러 의식을 할 때 장신구를 착용한다. 현재는 으루족이 입는 옷과 장신구도 라오족과 비슷하다.

 

음식

으루족은 이전부터 맵쌀과 찹쌀을 같이 먹었고, 음식으로는 국, 구이(ປີ້ງ, ຈີ່), 볶음(ຂົ້ວ), 람싸이방마이(ຫຼາມໃສ່ບັ້ງໄມ້ 대나무 통에 물고기를 넣어 절인 음식), 째우(ແຈ່ວ) 등이 있다. 이들은 매운 음식을 선호하고, 자연수(ນໍ້ມດີບ)와, 항아리술(ເຫຼົ້າໄຫ)을 마시고, 어렸을 때부터 담배를 피운다.

 

 신앙

전에 으루족은 두 개의 친족 집단이 있었고, 이 둘은 모두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각 가정은 조상의 귀신(ຜີຜໍ່, ແມ່, ບັນພະບູລູດ), 하늘의 귀신(ຜີຟ້າ), 천상의 귀신(ຜີແຖນ, 상제), 마을 귀신(ຜີບ້ານ), 집 귀신(ເຮືອນ)을 섬겼다. 이들의 마을에는 여러 의식이 있는데, 이런 의식은 질병이 일어나지 않도록 귀신을 달래고 섬기는 역할을 했다. 이 외에도 으루족은 큰 나무, 숲, 비명횡사한 사람(ຄົນຕາຍຫຸງ), 쎄강(ແມ່ນໍ້າລໍາເຊ) 등의 귀신을 섬겼다. 이러한 귀신들은 사람들에게 질병을 일으킨다고 믿었다.

매해 으루족은 파까녕(ພະກະຍອງ), 파흐안(ພະເຮືອນ), 파반(ພະບ້ານ), 파껑캔  (ພະກອງແຂນ), 파껑라(ພະກ້ອງລາ), 파야쑵(ພະຢາສູບ) 그리고 파카오마오(ພະ ເຂົ້າເໝົ້າ)의 명절을 지낸다. 지금은 이들도 전통신앙과 동시에 불교를 함께믿고 있다. 몇몇의 마을에는 라오족과 같은 절이 있는 곳도 있다. 으루족 사람들은 질병이 나면 주술사(ໝໍເຢົາ, ໝໍຜີ)를 불러 치료를 받는다

 

 전통 예술과 문학

으루족은 자신들만의 협주곡(ບົດຮ້ອງທໍານອງເສບ)을 가지고 있고, 전통설화  (ນິທານພື້ນເມືອງ), 각각의 계절에 맞는 열 두 달에 대한 격언(ຄໍາພັງເຜີຍ)들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속담(ຄໍາສຸພາສິດ), 노래(ກອນຂັບ, ກອນລໍາ)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들은 으루족의 언어로 망렁(ມາງຣອງ), 망빠레우(ມາງປະເລວ), 망쯔쑤루와이(ມາງຈູຊຣວຍ), 망빠나(ມາງປະນະ)라고 부른다. 이것들은 이들의 자연 환경을 칭송할 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이 일할 때 함께 발맞추어 나갈 수 있도록 가르침들과 경고를 가지고 있다.

 

 언어

으루족은 20세기 초, ‘옹 꼼마담(ອົງກົມມະດໍາ)’이 돌아오면서 1901~1936년 전쟁에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문자(1963년 완성)를 만들었다. ’씨톤 꼼마담(ສີທົນ ກົມມະກໍາ)’도 1966년 라오텅족의 글자를 대신해 자신들만의 문자를 만들었고, 이것으로 정치 혁명을 잘 완수할 수 있게 되었다. 으루족은 자신들 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포함되어 있다. 으루족의 각 씨족 집단들은 조금씩 다른 언어를 구사하지만 서로 이해할 수 있다. 으루족의 말은 냐헌(ຍະເຫີນ)족과, 오이(ໂອຍ)족, 쩽(ເຈັງ)족, 그리고 브라오(ເບລົາ)족과 비슷하다

 

<원본링크>

 

The identity of Yrou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Yrou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22 ຢຣຸ+final.pdf
1.78MB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멧(ລະເມດ, Lamed) 족  (0) 2025.04.27
라위(ລະວີ, Lavy) 족  (0) 2025.04.27
마껑(ມະກອງ, Makong) 족  (0) 2025.04.27
머이(ມ້ອຍ, Moy) 족  (0) 2025.04.27
펑(ຜ້ອງ, Phong) 족  (0)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