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는 동남아시아의 다른 나라보다 농촌의 비중이 큽니다. 전체 인구의 4분의 3 이상이 농촌 지역에 거주하며 생존을 위해 농업과 천연 자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고용 인력의 70% 이상이 농업 부문에 종사하고 있습니다(Bouahom 2010). 채소는 농민의 식량과 소득의 원천이며, 라오스 정부는 농촌 지역의 소득 증대와 영양 개선을 위해 농업 분야에서 채소를 우선적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채소 생산 면적은 2020년 170,900ha에서 2022년 180,957ha로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또한 국내 시장의 높은 수요도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면적 증가로 인해 연간 약 19,828톤(라오스 채소 생산량 30종)에 달하는 많은 양의 채소 종자가 필요했습니다. 반면 국내 공급업체(지방정부, 민간부문, 농가)가 공급할 수 있는 양은 약 3,680톤/년(19%)으로, 약 19,828톤/년(81%)에 달하는 높은 수요를 수입으로 충당해야 하는 상황입니다(HRC 조사, 2022년). 특히 대파 구근(spring onion bulb)은 14,000ha에서 재배하기 위해 연간 16,993톤, 교역액 1,200억 낍 혹은 7500만 달러가 필요하며, 대파의 90% 이상을 주변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팍치와 고수 종자(Coriander seeds)는 팍치 9,520ha, 고수 2,466ha를 재배하기 위해 각각 연간 115톤, 185톤이 필요했습니다. 종자의 80% 이상을 중국, 태국, 베트남 등 주변국에서 수입해야 하는 실정입니다. 또한 무역 규모는 약 230억 LAK(121만 달러), 220억 LAK(117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HRC 조사, 2022년).
채소 종자 필요량
- 채소 종자(17종)는 연간 17,906톤이 필요하나, 라오스 국내 채소 종자는 연간 1,153톤, 6%만 공급 가능하고 94%인 16,753톤은 외국에서 수입해야 함(HRC 조사, 2021).
비엔티안 수도의 OA 및 GAP 채소 그룹은 '135.9kg/년/가구'의 채소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음
- 건기 생산량 24.4kg/6개월/가구 (17%) ,
- 우기 생산량, 111.5kg/6개월/가구(83%)
(출처: 2018년 HRC 설문조사)
대파 관련
라오스의 취약점인 대파 육종(Spring onion breeding), 종자 생산 및 증식, 수확 후 저장, 종자 품질 보증 분야는 라오스에서 해결되지 않은 미개척 분야입니다. (1) 농가 현장에서 대파의 다양성이 확인되지 않고 사용되지 않으며, (2)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여 종자와 구근의 가격이 비싸고, (3) 종자와 구근은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병해충과 기상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라오스에서는 채소 종자 공급을 거의 전적으로 태국, 베트남, 중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4) 공식적으로 등록된 종자 회사가 없고 종자 유통 및 유통 시스템이 열악한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 라오스 농민과 민간 부문은 높은 생산성과 품질의 대파 구근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부족하여 대부분의 종자와 구근의 품질이 좋지 않으며, (6) 종자와 구근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수확 및 수확 후 병해충 관리 기술이 부족하고, (7) 높은 발아력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저장 기술이 부족한 것이 라오스의 일반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습니다.
낮은 생산성과 높은 투자가 라오스 농가의 주요 문제였습니다. 예를 들어 신선한 대파는 태국 농부들과 비교했을 때 생산성이 40%나 낮았습니다. 라오스 농민의 생산성은 925kg/1,600m2, 태국 농민의 생산성은 2,298kg/m2였습니다(2017년 HRC와 2015년 Hatyai University 조사). 또한 투자 비용을 비교한 결과, 태국 농가(2,943,250 LAK/1,600m2)가 라오스 농가(6,775,633 LAK/1,600m2)보다 약 43% 낮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2017년 HRC 및 Hatyai University 조사, 2015년).
- 14,000ha에서 재배하려면 연간 16,993톤의 대파 구근이 필요합니다.
- 거래 가치(Trade value): 1,200억 낍 또는 7,500만 달러.
- 대파의 90%가 주변국에서 수입됨
좋지 않은 생산성을 내는데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
- 채소 생산은 생산성이 낮고, 품질 좋지 않다. 특히 우기 상품은 더 하다.
- 대파의 다양성이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그러한 상태로 농가에서 사용된다.
-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는 종자 및 구근의 높은 가격이 생산 및 제품 원가에 영향을 미친다.
- 라오스 농민과 민간 부문의 지식과 기술이 부족하여 대부분의 종자와 구근의 품질이 좋지 않다.
- 라오스에서는 높은 발아 및 품질을 유지하기위한 저장 기술이 열악하다.
- 종자와 구근의 수확 및 수확 후 품질을 유지하기위한 수확 후 해충 및 질병 관리 기술이 열악하다.
<참조>
- Based on MAF, the 9th Agriculture Development Strategy of Lao government
- Based on National Agenda of Lao government on reduction of importing and promotion of exporting.
- NAFRI, Lao Agriculture and Forestry Research Strategy 2025
- Based on survey of HRC, 2021
- KOPIA Annual Evaluation, 2024.12.19
'[경제] >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농사 / 쌀 - 일반 (0) | 2024.12.19 |
---|---|
대두 (투아르앙, ຖົ່ວເຫຼືອງ) (0) | 2022.07.29 |
벼농사 - 추수와 탈곡 (0) | 2022.05.28 |
벼농사 - 침수, 무르익는 시기 (0) | 2022.05.28 |
벼농사 - 흙 뒤엎기, 모내기 (0) | 2022.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