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지역과 인구
현재 씽문(ຊິງມຸນ)족은 후아판(ຫົວພັນ)도의 썽(ຊ່ອງ)과 씨앙커(ຊຽງຄໍ້)지역에 정착하여 살아가고 있다. 라오스뿐만 아니라 베트남의 썬라(Sơn La)성과 라이쩌우(Lai Châu)성에도 거주하고 있다.
라오스에있는 씽문족 인구는 총 9,874명이고, 그 중 여성이 4,819명이다.라오스 전체 인구의 0.2%를 차지하고 있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라오스에 살고 있는 씽문족은 베트남에서 이주해 왔다. 19세기 초 베트남의 썬라(Sơn La)성에서 처음 이주해 왔으며, 20세기 디엔비엔푸(Điện Biên Phủ) 전쟁 시절에는 많은 수가 이주해 왔다. 이 전쟁으로 인해 삶이 힘들어져서 강줄기를 따라 숨게 되었으며, 이것이 이주의 원인이 되었다. 그때의 영도자는 타오쯔앙까(ເຖົ້າເຈື້ອງກາ)와 쯔앙완(ເຈື້ອງວານ)이었으며, 이들은 같은 종씨로 씽문족을 이끌었다. 처음 라오스에 들어왔을 때 그들은흩어져서 살았으나, 민주혁명(ການປະຕິວັດຊາດປະຊາທິປະໄຕ) 시절에 현재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으로 모여서 지금까지 살아오고 있다.
씽문족은 여러 이름이 있는데, 그 이름들은 뿌악(ປວກ), 뿌악동(ປວກດົງ), 뿌악다오(ປວກເດົາ), 응앳(ແງດ) 그리고 라오마이(ລາວໃໝ່)다. 이 이름들은 모두 다른 민족들이 붙여준 이름인데, 씽문족은 좋아하지 않는 이름들이다. 그들이 좋아하며, 스스로를 칭하는 이름으로 현재까지 불리는 이름이 ‘씽문’이다. 이 이름은 ‘산에 사는 사람들(ຄົນພູ)’이라는 뜻이다.
씽문족의 직업
씽문족의 경제기반은 밭농사와 쌀 경작이다. 이외에도 짐승들을 기르며, 가족들이 먹기 위해 옥수수, 카사바, 고구마 그리고 야채 등 여러 가지 작물들을 심기도 한다. 씽문족에게는 수공예로 바구니를 짜는 것과 수공예 직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근본적인 믿음이 아직 남아있어, 문제로 지적되고 있기도 하다.
마을과 집
씽문족의 집은 그들의 전통에 따라 짓는데, 주로 기둥 위에 집(ເຮຶອນຮ້ານ)을 지으며, 그 지붕의 모습은 마치 불가마(ໂຕເຕົາ)와 같이 생겼다. 하얀 모기장을 치는 것, 집의 길이 방향에 가로질러 눕는 것 그리고 포장하지 않은 생고기를 가져다가 방 앞에 놓는 것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금기사항이다. 사위의 경우 장인(ພໍ່ເຖົ້າ) 앞에서 등나무의자(ຕັ່ງຫວາຍ)나 대나무로 만든 평상(ສະແນນ) 위에 앉아서는 안 된다.
의복
주변 종족 간 의복장식은 모두 같다. 요즘은 의복을 시장에서 사거나 가까이 있는 종족, 특히 라오족이나 따이(ໄຕ)족과 물건으로 바꾼다.
음식과 음료
예전에 씽문족은 차리기 쉽고, 많지 않은 음식(ລຽບງ່າຍບໍ່ຫຼາຍ)을 먹기 좋아했다. 예를 들면 밥과 국, 목(ໝົກ, 바나나잎을 싸서 요리한 전통요리), 람(ຫຼາມ, 대나무에 넣어서 만든 음식), 어(ເອາະ, 걸죽한 라오스 국물 요리) 등이다. 자연수(ນໍ້າດິບ), 항아리술(ເຫຼົ້າໄຫ), 쌀로 담은 술(ເຫຼົ້າຂາວ)을 마시며, 담배(ສູບຢາເສັ້ນ)를 핀다. 나이가 많은 여성들은 대부분 키아오막(ຄ້ຽວໝາກ, 빈랑열매를 포함한 각종 잎과 열매를 섞어서 씹는 것)을 좋아한다.
신앙
씽문족은 부모신, 숲신, 산신, 동네신 같은 신들을 믿고 숭배하며 제사를 드리는 자신들만의 전통이 있다. 모든 집은 허피(ຫໍຜີ, 귀신이 머무르는 집)를 집 가까이에 만들어 둔다. 하지만 씽문족은 따이담(ໄຕດຳ)족, 따이댕(ໄຕແດງ)족, 끔무(ກຶມມຸ)족 등 다른 여러 민족과 가까이 지내왔기 때문에, 근처에 사는 다른 민족과 비슷한 풍습이 많다.
이외에도 개공식(ພິທີປຸກສ້າງ), 집들이(ຂຶ້ນເຮືອນໃໝ່), 추수감사제(ພິທີກຳເກັບກ່ຽວ ເຂົ້າໃໝ່), 집수호신에게 드리는 제사(ພິທິເຮັດຊວັນບ້ານ)나 마을 수호신(ຊວັນ ເມືອງ)에게 드리는 제사와 같은 종교의식(ພິທີກຳ)과 규례(ຮິດ)를 아직까지 지키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종교의식들은 그들로 하여금 조상신들, 특히 제때에 치료를 받지 못하고 일찍 돌아가신 조상들을 기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전통 예술과 문학
흥(ເບີກບານມ່ວນຊື່ນ)이 씽문족에게 확실히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이긴 하지만, 씽문족의 문학예술은 캅람(ຂັບລຳ. 춤과 노래) 분야에서 특이할 만한 것은 없다. 특히 노래의 가사는 똔(ຕົນ)족의 것이 많다. 주변에 있는 다른 종족의 영향을 받아 문화가 섞이게 되었고, 근대에 들어 다른 종족들과 사회적으로 가깝게 지내고 배우면서 이러한 모습들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언어
씽문족은 자신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분류상으로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한다. 자신들만의 문자는 가지고 있지 않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Xingmoun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Xingmoun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뚬(ຕູ້ມ, Toum) 족 (0) | 2025.04.26 |
---|---|
냐헌(ຍະເຫີນ, Nhaheun) 족 (0) | 2025.04.26 |
쑤와이(ຊ່ວຍ, Xuay) 족 (2) | 2025.04.26 |
쌈따오(ສາມຕ່າວ, Samtao) 족 (0) | 2025.04.26 |
싸당(ສະດາງ, Sadang) 족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