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종족

냐헌(ຍະເຫີນ, Nhaheun) 족

by Dr.Sombuun 2025. 4. 26.

분포 지역과 인구

냐헌(ຍະເຫີນ)족은 짬빠싹(ຈຳປາສັກ)도의 빡썽(ປາກຊ່ອງ), 앗따쁘(ອັດຕະປື)도의 싸막키싸이(ສາມັກຄີໄຊ) 지역에 정착하였다.

냐헌족의 인구는 총 27,779명이고, 그 중 여성이 14,024명이다. 라오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4%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나이드신 분이나 연장자들 그리고 짬빠싹도 빡썽 지역의 짯싼(ຈັດສັນ), 넝맥(ໜອງເມັກ) 동네의 나이반(ນາຍບ້ານ) 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수 있다. 헌녀(ເຫີນຍໍ)라고도 불리는 냐헌(ຍະເຫີນ)족은 몽골(ປະເທດ  ມົງໂກນ)에서 중국의 남부 티벳산맥(ພູເຂົາຕີເບດ)쪽으로 이주해 온 후, 메콩강(ແມ່ນໍ້າ)을 따라 약 2세기에 걸치어 오랜 시간을 내려와 고대부터 현재의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다. 냐헌족은 룸캄(ລຸ່ມຄໍ່າ)지역에 정착했으며, 컴왕국 (ອານາຈັກ ຂອມ)시절에는 앗따쁘의 싸이쎄타(ໄຊເຊຖາ) 지역의 옹깐(ອົງການ), 쏙(ໂຊກ), 쑹(ຊູງ), 러(ຫຼໍ່), 파풋타훕(ພະພຸດທະຮູບ), 파쏭쌘(ພະສົງແສນ), 싸캐(ສະ ແຄະ) 지역에 왕궁(ພາລະຊາວັງ)이라는 건축과 관련된 공공단체(ສ່ວນຮ່ວມ)가 있었다.

18세기 말에 냐헌족은 위의 지역에서 다시 이주하여 푸캄푹(ພູຄຳພຸກ)지역에 정착한 후, 푸루앙(ພູຫຼວງ) 전 지역으로 확장하여 빡쎄보다 더 많은 인원이 그 곳에 거주하게 되었는데, 그 곳은 빡쎄 서쪽의 물이 적은 지역으로 닥란(ດາກຣານ), 닥끄렝(ດາກເກຣງ), 닥은 띠앙(ດາກອຶນ ຕຽງ), 넝멕(ໜອງ ເມັກ), 캄빳(ຄຳປັດ) 등의 지역이다. 

냐헌족은 냐헌(ຍະເຫີນ), 헌녀(ເຫີນຍໍ), 뜽깨(ຕຶງແກ໊ະ) 등 다양한 이름이 있다. '뜽깨'의 의미는 '조용하다(ມິດງຽບ)'라는 뜻이며, '냐헌'의 뜻은 '멀리 날다  (ຫ່າງເຫີນ)'라는 뜻이다. 냐헌족은 이 이름을 좋아하며, 현재 정부에서도 이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냐헌족의 직업

경제적 측면의 삶을 보면, 1960년대 이후로 냐헌족은 황무지를 개간하여 밭을 만들고 맵쌀(ເຂົ້າຈ້າວ)을 심는 것이 주된 일이었다. 이와함께 에너지원이 되는 작물이나 열매로 먹을 수 있는 식물, 여러 종류의 야채를 심었으며, 물소, 돼지, 가금류 등의 동물을 길러 음식으로 먹거나 종교의식(ພິ ທີກຳ) 때 사용하였다. 특히 따오하이(ເຕົາໄຫ), 싸파오너이(ສະເພົານ້ອຍ) 지역의 냐헌족들은 논을 개간하여 맵쌀(ເຂົ້າຈ້າວ)을 주로 심었다. 찹쌀(ເຂົ້າໜຽວ)은 많이 심지 않았는데, 이는 쩽(ເຈັງ)족, 오이(ໂອຍ)족, 브라우(ເບຣົາ)족과 유사하다. 이외에도 커피, 바나나, 파파야 농장을 하거나 여러 종류의 짐승을 길러서 상품으로 시장에 파는 것을 좋아한다. 이들은 옷을 짜지는 않지만바구니 수공예품을 만드는 데는 전문가들이다.

 

 마을과 집

냐헌족의 마을을 세우고 집을 짓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그들은 큰 강이나 혹은 1년 내내 물이 마르지 않는 작은 시내를 따라 마을을 세우는 것을 좋아한다. 또한 땅을 높게 쌓아올려서 우기 때 이슬(ນໍ້າຄ້າງ)이 맺히지 않게 한다. 집을 짓기 위해서 모든 것들을 준비한 후에, 그들은 집을 짓기 위한 손 없는 날(ມື້ຫາຍາມ)을 찾는다. 보통 목요일이나 토요일에 집을 짓는데, 이 두 요일이 자신들의 민족에게 길일(ວັນສີລິມຸງຄຸນ)이라는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집을 지을 때에는 동네 전체에게 알려서 오게한 후, 집을 지을 땅을 둘러서게 한다.  

냐헌족의 집 특징은 옛날과 현재 동일하게 흐안한(ເຮືອນຮ້ານ, 기둥 위에 지은 집)이다. 집은 구획을 나누어서 2~3개의 방을 만든다. 집은 먹나무 (ໄມ້ມອກ)를 얇게 켜서 만든다. 방충망(ມຸ້ງ)은 풀(ຫຍ້າ)로 하며, 바닥에 까는 것은 대나무(ຟາກ)로, 싸는 것은 떵나뭇잎(ໃບຕອງ)으로 한다. 방은 두 부분으로 나누는데, 한 부분은 부모의 공간이고 다른 한 부분은 아직 결혼하지 않은 자식들이 자는 곳이다. 현재는 라오족의 집모양을 배워 적용하여깬나무(ໄມ້ແກ່ນ), 벽돌, 시멘트 등의 재료를 사용한다.

 

의복

냐헌족 의복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예전에 남자는 까띠아오(ກະຕ່ຽວ, 남자들이 허리에 천을 매어 앞으로 늘어뜨리는 의상)를 입었다. 붉은색 천을 가져다가 머리에 둘렀고, 머리카락은 둥글게 말아올렸으며, 귀를 뚫어 귀걸이를 걸었다. 구슬을 사용한 팔찌와 발찌를 했다. 특히 여성은 씬(ສິ້ນ)을 입었는데, 그 길이는 정강이 끝까지 닿았다. 붉은색 천을 가져다가 머리에 둘렀고, 팔찌와 발찌를 했으며, 머리카락은 둥글게 말아 올렸다. 귀를 뚫어 귀걸이를 했는데, 귀걸이는 금을 사용했다.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치아를 자르거나 문신을 하지 않았다.

 

 

음식과 음료

냐헌족은 도기냄비(ໝໍ້ດິນ)나 구리냄비(ໝໍ້ທອງ)에 찐(ຫຸ່ງ) 맵쌀을 좋아한다. 여러 가지의 야채를 넣고 조리한 국(ແກງ), 수프(ຕົ້ມ), 구이(ປີ້ງ), 숯불구이 (ເຜົາ)같은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먹기 좋아하나, 맛은 너무 짜거나, 맵거나, 싱겁지 않은 것을 좋아한다. 아이를 낳은지 얼마 되지 않은 여성은 송어(ປາຄໍ່ກັ້ງ), 장어(ອ່ຽນ), 노루고기(ຊີ້ນຟານ), 야생닭(ໄກ່ປ່າ), 비둘기(ນົກເຂົາ) 그리고 가시가 있는 야채와 같은 음식은 먹지 않는 관습이 있다. 음료로는 보통 자연수(ນໍ້າດິບ)를 강이나 연못(ໜອງ), 웅덩이(ບຶງ)에서 떠먹거나, 항아리술(ເຫຼົ້າໄຫ)을 먹는다. 담배는 담뱃대(ກອກ)를 사용하여 피는데, 어린아이로부터 시작하여 어른 순으로 핀다.

 

 

신앙

냐헌족은 보통 해마다 지내는 절기행사로 분카오마이(ບຸນເຂົ້າໃໝ່)와 분삐마이(ບຸນປີໃໝ່, 설날행사)를 지내며, 동네귀신, 각 달을 담당하는 지역 귀신들을 공양하는 종교의식(ພິທີກຳ)을 한다. 이러한 의식 가운데, 보통 지역수호신(ຜີຫຼັກເມືອງ)을 공양하는 종교의식이 중요시되는데, 이러한 의식을 브라므앙(ບຣະເມືອງ)이라 부른다. 이 의식은 매해 2~3월 사이에 행해진다. 이 행사를 치루기 위해서 동내에 있는 모든 가족은 닭, 오리, 물소, 소, 돼지,백미(ເຂົ້າສານ), 잘 익은 쌀(ເຂົ້າສຸກ), 항아리술(ເຫຼົ້າໄຫ) 양초(ທຽນ), 동네를 하나로 모아 준다는 의미가 있는 꽃(ດອກໄມ້ທີ່ເປັນລັກສະນະລວມບ້ານ) 등을 준비한다. 보통 일반 가족은 대표되는 가족을 따라 진행한다. 승려의 필수품  (ປັດໄຈ)을 준비한 후에, 위에 언급한 행사를 치룰 날짜를 정한다.  

 

전통 예술과 문학

냐헌족의 전통문학예술에 대해 말하면, 비록 그들은 자신들의 민속문화가많지 않으며, 가까이에 있는 다른 민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하더라도,아직도 자신들의 특징과 전통설화, 격언(ຄຳສຸພາສິດ) 등을 보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쿤룬낭우와(ຂຸນລູນນາງອົ້ວ, 사랑이야기) 신화, 깜파피너이(ກຳພ້າ ຜີນ້ອຍ, 깜파와 귀신 이야기) 신화, 씨앙미앙(ຊຽງໝ້ຽງ, 교훈과 해학이야기)신화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사람과 사람, 사람과 동물, 사람과 자연 간의 관계에 대해서 통찰을 주는 격언과 자연이나 남녀의 사랑을 묘사한 시조도 있으며, 껑(ກອງ, 북), 컹라(ຄ້ອງລາ, 징의 일종), 깨오(ເກວ), 놋쇠(ທອງ ເຫຼືອງ)나 구리(ທອງແດງ)로 만든 유안(ຢວນ)과 같은 악기들도 있다.

 

언어

냐헌족은 자신만의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자신만의 언어는 가지고 있다. 이 언어는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들어가며, 고대 카멘어(ພາສາຂະເໝນບູຮານ)어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냐헌족의 구어는 으루(ຢຣຸ)족, 오이(ໂອຍ)족, 쩽(ເຈັງ)족, 브라우(ເບຣົາ)족과 유사하다.따라서 이들 민족 간의 경제적, 문화적 교류가 쉽게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라오어도 잘 구사할 수 있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Nhaheun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Nhaheun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12 ຍະເຫີນ+final(니아흔).pdf
2.02MB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뜨리(ຕຣີ, Tri) 족  (0) 2025.04.26
뚬(ຕູ້ມ, Toum) 족  (0) 2025.04.26
씽문(ຊິງມຸນ, Xingmoun) 족  (0) 2025.04.26
쑤와이(ຊ່ວຍ, Xuay) 족  (2) 2025.04.26
쌈따오(ສາມຕ່າວ, Samtao) 족  (0)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