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종족

뚬(ຕູ້ມ, Toum) 족

by Dr.Sombuun 2025. 4. 26.

분포 지역과 인구

뚬(ຕູ້ມ)족은 라오스의 버리캄싸이(ບໍລິຄຳໄຊ)도의 싸이짬펀(ໄຊຈຳພອນ), 캄껏  (ຄໍາເກີດ) 지역에 그들의 마을을 이루고 있다. 이 외에 베트남에도 있다.

라오스 뚬족의 인구는 총 3,632명이고, 그 중 여성이 1,767명이다. 라오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1%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뚬족은 중국의 현재 넝쌩냔(ໜອງແສງຍ່ານ)으로 불리는 지역으로부터 이주하여 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메콩강 줄기를 따라 내려왔으며, 일부는 베트남 응에안(Nghệ An)성의 타인쯔앙(Thanh Chương)군, 꼰꾸옹(Con Cuông)군과 다른 지역에 들어왔고, 불력 1353~1373년 경 파응움왕(ເຈົ້າ ຟ້າງຸ່ມ)이 통치하는 란쌍왕국 시대에 짬펀(ຈຳພອນ) 지역에 정착하였다. 무리를 이끌고 온 사람은 쭘쯔아 쑤리냐(ຈູ້ມເຈື້ອ ສຸລິຍະ)이며, 마을을 세우고 3년 후에 그는 베트남으로 돌아갔다. 그 후 그는 베트남에서 쭘쯔아파폼마옹싸(ຈູ້ມເຈື້ອ ພະພົມມະວົງສາ)와 함께 라오스로 다시 돌아왔다. 이후 여러 해에 걸쳐 4형제가 베트남에서 라오스로 넘어와 아래의 지역을 다스렸다.

  1. 똥까름(ທ້າວ ຕົງກະລືມ)은 남싸응오이(ນໍ້າສະໂງ້ຍ) 지역을 다스렸다.
  2. 똥남(ທ້າວ ຕົງນາມ)과 똥싸이(ຕົງໄຊ)는 짬펀(ຈຳພອນ)지역을 다스렸다.
  3. 넷째 남동생(이름은 모름)은 위앙텅(ວຽງທອງ)의 녀이(ຍ້ອຍ) 지역을 다스렸다.

1981년경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지역을 다스리고 있을 때, 뚬족은 베트남의 응에안성에서 라오스로 이주하였다. 꾸이(ທ້າວ ກວຸ່ຍ)가 이끄는 그 무리는 짬펀 지역에서 이미 거주하고 있던 무리와 합치게 되었다. 

뚬족은 뚬(ຕູ້ມ), 뿜(ປຸ້ມ), 펑(ພ້ອງ), 타이짬(ໄທຈຳ), 르하(ລືຮ່າ) 등 많은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에서 올바른 이름이며, 그들이 부르기 좋아하고,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진 이름은 ‘뚬(ຕູ້ມ)’이다. 베트남에서는 ‘토(ໂຖ)’라고 부르는데, 비공식적인 이름으로 깨오(ແກວ), 꺼이호(ກອຍໂຫ), 따이뻥(ໄຕປອງ), 단라이(ດານໄລ), 리하(ລີ່ຮ່າ) 등이 있다. 언어군으로는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그룹의 하위 그룹인 베트남 지방어(ພາສາຫວຽດ-ເມືອງ) 혹은 위앗띡(ຫວຽດຕິກ)에 속한다.

현재 뚬족의 거주지는 예전 프랑스 식민지 시절에 푸깨오(ພູແກ້ວ), 탐깨오 (ຖໍ້າແກ້ວ), 후아이깨오(ຫ້ວຍແກ້ວ)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프랑스제국(ຈັກ ກະພັດຝຮັ່ງ)은 이 지역에 가격이 비싼 유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들은 이 유리 자원들을 캐내서 자신들의 나라로 가져가기를 바랐다. 하지만 그 지역에 살고 있는 뚬족의 리더십 그룹은 이를 알고, 동족에게 작은돌만 나르라고 설득했다. 비밀리에 관리하기 위해서 큰 것들은 동굴의 입구에 두어 물을 먹게 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그 곳의 이름을 ‘뚬(ຕູ້ມ은 돌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역자주)’이라고 바꿨다. 그 이후로 이 지역에 살고 있는 민족들의 이름이 모두 ‘뚬’으로 바뀌게 되었다. 

 

뚬족의 직업

예전에는 밭일이 주된 일이었다. 하지만 이 일이 대대로 이어져온 그 종족의 특징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들은 생산품(ການຜະລິດ)이 나오는 곳을따라 이사했다. 그들은 맵쌀, 타로(ເຜືອກ), 고구마(ມັນ), 옥수수 등을 심고 돼지, 소, 염소, 가금류를 기르기도 좋아하고, 숲에 있는 채소를 캐다가 음식을 해 먹는 것도 좋아한다. 또한 그들은 생계를 위해서 아직도 사냥을 하거나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현재 그들은 농업이 주업이며, 토지를 개간하여 논농사와 순환적 밭농사도 한다. 맵쌀과 찹쌀, 탄수화물이 많은 작물, 과일나무 등 여러 가지 식물을 심는다. 물소, 소, 말, 염소, 가금류를 길러서 노동력을 확충하기도 하고 다른 가족에게 판매하여 경제를 돕기도 한다. 이 외에도 남성들은 아직 대장간일(ຕີເຫຼັກ), 토기 빗기(ປັ້ນໝໍ້), 항아리 빗기(ຫຼໍ່ໄຫ), 대나무 바구니 짜기(ວິຊາຈັກສານ) 등을 한다.

  

마을과 집

뚬족의 각 부족들은 거의 같은 집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집 한 채당 2~2.5미터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앞쪽에는 계단이 있고, 베란다가 약 1~2미터 정도 나와 있다. 베란다에는 쌀을 찧는 기구(ຄົກຕຳເຂົ້າ)가 있고, 문은 두 개가 있는데, 하나는 출입문으로 사용하지만 다른 하나는 절대 열지 않으며 긴급할 때만 사용한다. 출입문 한 쪽에는 화로(ຄີໄຟ)가 붙어있고, 다른 한 쪽에는 바가지(ຄຸນໍ້າ)와 몇 가지 물건들이 있지만 창문은 없다. 내부는 폭도 넓고 길이도 긴데, 한 쪽은 침실로 배정을 한다. 첫 번째 침실은 특별한 창이 있는 문을 가진 귀신방(ຫ້ອງຜີ)이며, 그 다음부터는 부모 침실, 자녀들 침실, 며느리 침실 들이 차례로 붙어있다. 각각의 방에는 작은 화로(ຄີໄຟນ້ອຍ)가 있는데, 이는 겨울에 불을 피워 몸을 따뜻하게 위해서다.

리하(ລີຮ່າ) 부족은 약간 다르게 집을 짓는다. 화로는 집의 가운데에 놓는데,그 위치는 잘 때 발을 놓는 방향의 벽에서부터 약 1미터 떨어진 곳이다. 예전에 뚬족에서 분리되어 나온 몇 부족은 집에 대한 전통을 아주 엄격하게 지키고 있다. 집을 짓기 전에 모든 가재 도구를 다 준비해 놓고, 손 없는 날(ມື້ສັນວັນດີຄັກແນ່)을 찾는다. 집을 짓는 날과 집에 들어가는 날을 같은 날로 정하는데, 절대로 기간을 5일 이상 넘기지 않는다. 어떤 가족은 가재 도구가 부족하더라도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 날에 들어가기 위해서 버려진 집(ເຮືອນຮ້າງ)에 있다가 날에 맞추어 집에 들어간다.

 

의복

뚬족의 남성은 40년 전까지만 해도 손으로 바느질 한 바지를 입었고, 어떤 역할이 주어진 사람은 파쌀롱(ຜ້າສະໂລ່ງ, 격자무늬로 된 남성용 비단 치마)을 입었다. 소매가 길지만 팔이 나오는 옷이나, 담배를 넣을 수 있는 주머니가 있는 소매가 긴 흰 옷을 입었다. 몇몇은 키아오막(ຄ້ຽວໝາກ, 빈랑열매를 포함한 각종 잎과 열매를 섞어서 씹는 것)을 하거나 나무진액  (ຢາງໄມ້)으로 치아를 염색했다. 이렇게 하면 치아를 오랫동안 유지할 뿐만 아니라 아름답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여성은 씬미(ສິ້ນໝີ່, 무늬가 있는 라오스 전통치마)나 일반적인 씬(ສິ້ນ)을 입었다. 윗옷은 수를 놓았고, 앞쪽에 은으로 만든 누에 10마리를 장식 하였으며, 옷소매는 길며 단추가 달렸고, 구슬로 만든 팔찌, 목걸이를 걸었다. 머리는 묶어서 옆으로 내리는데, 어떤 때는 오른쪽으로 어떤 때는 왼쪽으로 내린다. 결혼을 하지 않은 아가씨는 가발을 사용하여 머리를 평상시보다 훨씬 길게 만들기도 한다.

 

음식과 음료

뚬족의 음식 맛은 짜다. 특징이 있는 음식으로는 국, 구이(ປິ້ງ, ຈີ່), 랍(ລາບ,라오스식 다진 고기 음식) 등이 있다. 국에는 보통 물고기를 가장 많이 넣으며, 음료로는 라오댓(ເຫຼົ້າເດັດ, 증류하여 독한 라오스 술), 항아리 술  (ເຫຼົ້າໄຫ) 등이 있다. 또한 자신의 집에서 재배한 긴 담배(ສູບຢາເສັ້ນ)를 피운다.

 

신앙

뚬족의 대다수는 귀신을 섬기나 일부는 불교를 따르기도 한다. 뚬족은 생산(ການຜະລິດ)에 대한 일을 시작하기 전에, 벼를 추수하기 전에, 논일이나 밭일을 모두 마치고 정리한 후에 귀신에게 종교의식(ພິທີກຳ)을 한다. 이러한 의식은 동네 단위로 모두 같이한다. 예를 들면 간청(ການບະ)과 같은 것인데, 신성한 것에게 심은 것들이 예쁘게 잘 자라고, 나쁜 적들로부터 해를 당하지 않게 해달라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다.

벼를 추수하기 전에는 반드시 햅쌀(ເຂົ້າໃໝ່)을 먹는 풍습이 있다. 이는 모든 집에서 동일하게 행해진다. 논일을 다 마치고 난 후에는 쌀 창고(ເລົ້າ ເຂົ້າ)의 문을 여는 의식을 한다. 그리고 지역귀신(ຜີເມືອງ), 동네귀신(ຜີບ້ານ),집귀신(ຜີເຮືອນ), 부모귀신(ຜີພໍ່ແມ່), 악한귀신(ຜີມົນ) 들에게 음식을 공양한다.

불교를 믿는 사람들은 절에 가서는 부처를 공양하고, 집에서는 귀신을 공양하며, 해마다 새해 행사(ບຸນປີໃໝ່)를 지낸다. 새해 행사는 절대로 건너 띄어서는 안 되는 행사로 깐낀뗏(ການກິນເຕດ, 베트남어 ăn Tết)이라고 하며 베트남과 날짜와 모습이 같다. 이외에 결혼식에는 종교의식(ພິທີກຳ)을 하는데, 아래와 같은 특이한 모습들이 있다.

  1. 덩남미앙(ດອງນໍ້າໝ້ຽງ):

양측에서 각각 어른 3~4분(ສອງກໍ້າສອງຝ່າຍເອົາ 3 ເຖົ້າ 4ແກ່)이 나와 행사를 쉬운 형태로 치르자고 합의한다. 이를 피티쑤커(ພິທີສູ່ຂໍ, 결혼 제안의식)라고 한다. 신랑측에서는 바지, 윗옷 그리고 신부측에게 줄 가치있는 물건을 가지고 온다. 이 가치 있는 물건을 지참금(ຄ່າດອງ)이나 그 이외의 것을 타진하는 근거로 생각한다. 이 행사에서 차의 생잎(ໃບຊາດິບ)을 넣어서 끓인 차(ນໍ້າໝ້ຽງ)를 서로 나누어 먹고 나서 헤어진다. 

  2. 덩팍쑤(ດອງຝາກຊູ່)

이 결혼의식은 신랑측 가족에서 진행을 한다. 하지만 아직 완벽하게 신랑이라고 하기는 이른데, 그 이유는 아직까지 돈이나 값진 물건들이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위(ລູກເຂີຍ)는 장인(ພໍ່ເຖົ້າ)과 장모(ແມ່ເຖົ້າ)에게 가서 함께 있어야 한다. 이렇게 4년 이상의 시간이 지나야 독립해서 살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므로, 아내를 데리고 자신의 부모님이 있는 집으로 갈 수 있다. 이 결혼의식에서 예전에는 물고기가 중요한 음식이었으나 현재는 돼지나 닭으로 대치되었다.

  3. 덩딴므아(ດອງຕ້ານເມືອ)

이 결혼예식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아내를 데리고 자신의 부모님이 있는 집으로 돌아가려 한다면, 여러 해 동안 신부집에 머물거나 아이를 2~3명 낳으면 된다. 현재는 이 두 가지 방법에 모두 동의하고 있다. 이러한 결혼 예식은 오후 4시 경이면 마치게 된다. 남편은 아내를 데리고친할아버지와 친할머니가 계시는 집으로 간다. 이 때 신랑은 돼지 두 마리를 잡는데, 돼지의 무게는 50kg이 넘어야 한다. 한 마리는 도축하여 아내의 집에, 또 한 마리는 도축하여 신랑에 집에 준다. 사위가 집에 오기 전에 반드시 지참금(ຄ່າດອງ)을 가져와야 하는데, 최소 오래된 은 접시 두 개(2 ຂັນເງິນເກົ່າ)를 아내의 부모님에게 드려야 한다. 혹자는 이 때에 지참금을 드리기도 하고, 혹자는 2~3년 후나 향후 아내의 부모님을 뵈러 왔을 때 드리기도 한다. 어떤 부모님은 이 돈을 가지고 있다가 손자나 손녀에게 명주실을 묶어줄 때 각각 얼마씩 돌려주기도 한다.

리하부족(ແຊງລີຮ່າ)은 이 의식을 할때, 남자가 물고기 350마리를 구해 와야 한다. 300마리는 종류가 다양해도 상관없는데, 그 중 50마리는 '빠멈  (ປາມ່ອມ)' 처럼 한 종류여야 한다.

  4. 덩쫌파이(ດອງໂຈມໄພ້)

이 의식은 덩딴므아(ດອງຕ້ານເມືອ) 후에 행해지는 가장 마지막 의식이다. 이전 의식이 4시에 끝나면, 며느리가 남편의 부모님이 계시는 집으로 가는 행렬을 한다. 며느리는 특별히 마련된 길을 통해 집 위층으로 올라간다. 집으로 들어간 후에 며느리는 집귀신(ຜີເຮືອນ)을 제압하기 위해서 문을 세 번 두드린다. 그러고 나서 며느리는 집에서 내려와서 돼지를 죽이기 위해도끼로 3번을 내리친다. 돼지는 소리를 칠 것이다. 이 때 행사에 같이 온 사람들은 함께 큰 소리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며느리(ລູກໄພ້)는 돼지를 죽여서 집의 귀신(ຜີເຮືອນ)을 대접해라." 돼지는 죽게 되겠지만 죽지 않아도 상관없다. 다른 사람이 이어서 도축하는데, 칼로 목을 따서 죽이지는 않는다. 그 돼지는 묶어서 집귀신(ຜີເຮືອນ)이 있는 침실 아래 쪽 1층 공간 (ຕະລ່າງ, 라오 전통집의 1층)에 놓아둔다. 돼지는 무게가 50kg 이상 이어야 한다.

덩쫌파이(ດອງໂຈມໄພ້)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며느리는 집귀신(ຜີ ເຮືອນ)에게 돌아간다. 그리고 집귀신은 발코니(ເຮືອນຊານ)의 일 모두를 며느리에게 위임하여 관리하게 한다. 이 결혼식은 위에 언급한 돼지를 같이 사용하는데, 밥상(ພາເຂົ້າ)은 9개를 차리고, 각각의 상에는 9개의 고기 덩어리가 있어야한다. 음식은 많은 종류를 차려도 괜찮다. 밥상을 가져다가 정령(ຂວັນ)에게 올리는데, 2개의 상을 겹쳐서 놓는다. 집 안의 귀신을 공양하기 위해서 집 안에 7개의 상을 차린다. 그리고 난 후에 손님을 대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통 예술과 문학

뚬족은 자신들의 문학예술이 있다. 예전에 그들은 격언(ຄຳຜະຫຍາ, ຄຳ ສຸພະສິດ)과 전통설화(ນິທານພື້ນເມືອງ)가 있었다. 이러한 것들은 그들이 노동하고, 이주 할 때의 당시 그들의 삶에 대해 조명해 주는 것들이다. 이 외에도 뚬족은 시조(ກອນຂັບ, ກອນລຳ)와 합주(ທຳນອງ)가 아직까지도 있다. 특히 합주는 곡조가 매우 흥겨우며, 구애(ກ້ຽວພາລາສີ)와 해학(ຢອກໄຍ)의 내용을 가지고 있다.

예전에는 춤과 노래(ລຳ)를 할 때에 뚬족어로 했었는데, 현재는 라오어로 대체 되었다. 뚬족은 전통 문학예술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새로운 세대로 이어져 내려오지는 못했다. 

  

언어

뚬족, 특히 똔족(ຊົນເຜົ່າຕົນ)은 자신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문자는 가지고 있지 않다. 그들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자신들의 민족 안에서는 뚬족어를 사용하며, 다른 민족 간에 사고 파는 등의 교환의 일을 할때는 라오어를 사용한다. 이 외에도 뚬족은 베트남어도 유창하게 구사한다.

현재 뚬족어는 라오어와 유사하기 때문에 라오어가 많이 혼합되어 있다. 그래서 혼용하여 많이 사용한다. 뚬족어는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하며 하위군에 베트남 지방어가 속해 있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Toum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Toum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13 ຕູ້ມ+final(뚬).pdf
2.27MB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뜨리앙(ຕຣຽງ, Trieng) 족  (0) 2025.04.26
뜨리(ຕຣີ, Tri) 족  (0) 2025.04.26
냐헌(ຍະເຫີນ, Nhaheun) 족  (0) 2025.04.26
씽문(ຊິງມຸນ, Xingmoun) 족  (0) 2025.04.26
쑤와이(ຊ່ວຍ, Xuay) 족  (2)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