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지역과 인구
현재 뜨리앙(ຕຣຽງ)족은 쎄껑(ເຊກອງ)도의 닥쯩(ດາກຈຶງ), 타땡(ທ່າແຕງ), 라남(ລະນາມ) 지역. 앗따쁘(ອັກຕະປື)도의 싼싸이(ຊານໄຊ), 싸막키싸이(ສາມັກຄີໄຊ) 지역. 짬빠싹(ຈຳປາສັກ)도의 빡썽(ປາກຊ່ອງ) 지역에 밀집하여 정착해 있다. 이 외에 베트남에도 있다.
라오스에 거주하는 뜨리앙족 인구는 38,407명이며, 그 중에서 여성은 19,427명이다. 라오스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6%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뜨리앙족은 라오스의 민족성(ວົງຄະນາຍາດແຫ່ງຊາດລາວ)을 가지고 있는 한 민족이다. 예전에는 베트남 트아티엔-후에(Thừa Thiên-Huế)성의 남양 지역과 꽝남(Quảng Nam)성의 닥래, 그리고 빠리아오, 헝짜에, 넝짜르앙 지역에 정착하고 있었다.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지역을 침범한 후에, 뜨리앙족은 참지 못할 정도로 심하게 착취를 당했다. 그들은 이 지역에서 분열되어 나와 숲으로 숨었으며, 라오스에 다다를 때까지 계속 이동하였고, 결국 땅뽕(ຕັງປົງ), 땅딸랑(ຕັງຕະລັງ), 후아이빠유(ຫ້ວຍປະຢູ)에 정착하였다. 후아이닥쁘러녓쎄카만(ຫ້ວຍດາກປຼໍຍອດເຊຂະໝານ), 닥쑤앙(ດາກຊວງ), 닥쫀(ດາກ ໂຈນ)에 있었던 일부 무리들은 닥쯩(ດາກຈຶງ)지역으로 올라왔다. 이어진 라오스의 식민시대 때, 프랑스는 이전처럼 그들이 있는 곳을 침범하였고, 그들은 식민지 시대의 착취를 피하기 위해서 한 번 더 숲으로 흩어져 도망갔다. 그들은 서서히 닥쯩(ດາກຈຶງ) 지역 전역에 퍼지게 되었으며, 싼싸이(ຊານໄຊ) 지역과 닥쯔리앙(ດາກຈຣຽງ), 닥쯔루(ດາກຈຣູ), 닥빠둔(ດາກປະດູນ)과 기타 지역까지 흩어져 이동하였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대략 2~3세기가 걸렸다. 고대에 뜨리앙족, 특히 똔(ຕົນ)족은 이름이 없었다. 하지만 먼-카메(ມອນ-ຂະແມ) 언어를 쓰는 다른 민족과 함께 통칭하여 컴(ຂອມ) 혹은 카럼(ຂະຣອມ)이라 불렸다. 씨암시대(ສະໄໝສະຫຍາມ)와 프랑스의 인도차이나반도식민시대에 이르러야 뜨리앙족은 따리앙(ຕະຫຼຽງ), 따롱(ຕະລົງ), 뜨리앙 (ຕຣຽງ), 까쎙(ກະເສງ) 등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이름들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까쎙은 남쎕(ນໍ້າເສບ, 물소리)이나 남쎙(ນໍ້າເສງ)을의미하며, 따리앙(ຕາຫຼຽງ)은 다른 민족의 소리를 차용하여 뜻은 맞지 않으나느낌(ອາລົມ)에 따라 부른 것이다.
따리앙(ຕະຫຼຽງ)과 뜨리앙(ຕຣຽງ)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따(ຕະ)는 룽(ລຸງ, 삼촌)이고, 리앙(ຫຼຽງ)은 허이(ຮ້ອຍ, 100)를 의미하여 100살 된 삼촌(ລຸງ ທີ່ຮ້ອຍ)이라는 뜻이 하나이며, 또 다른 관점은 까리앙(ກະລຽງ)이나 따리앙 (ຕະລຽງ)이 닥리앙(ດາກລຽງ)지역의 냇가(ຫ້ວຍ) 이름이라는 것이다. 그들이 좋아하며, 현재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은 뜨리앙이며, 이 이름은 '듣는다(ຟັງ)'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뜨리앙족의 직업
예전에 뜨리앙족은 숲을 개간하여 밭을 만들고 맵쌀을 심었다. 이와 함께비단과 같은 천을 짜거나 대나무 수공예품을 만들었으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물건, 물건을 생산하기 위한 도구,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한 도구 등을 만들기 위해 철을 가공했다. 옷은 자신이 입는 옷이나 팔기 위한 옷 모두에 장식을 달았다.
현재 뜨리앙족이 사는 많은 지역에서는 논에 맵쌀을 심으며, 탄수화물이 많은 작물을 심고, 단년생이나 다년생 과실수를 심는다. 여러 종류의 가축을 기르며, 오와 열을 맞추어(ຢ່າງເປັນຂະບວນ) 공업용나무(ໄມ້ອຸດສະຫະກຳ)를심기도 한다.
마을과 집
어떤 마을은 대나무(ໄມ້ປ່ອງ)나 통나무(ໄມ້ຈິງ)를 사용하여 집 주위에 높이 약 5미터 정도의 기둥을 두르기도 한다. 문은 두 군데에 내는데, 이 문들을 빠뚜위앙(ປະຕູວຽງ)이라고 한다. 이 문들은 안쪽에서 빗장을 걸 수 있으며, 예전에는 마을간 충돌이 있었기 때문에 도둑이나 무서운 사람(ຄົນຮ້າຍ)으로부터 집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 외에도 사나운 짐승들로부터 보호하려는 의도도 있다. 특히 한밤중에 호랑이가 들어와서 사람과 가축을 잡아먹는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뜨리앙족 집의 특징은 일반적인 형태를 따른다. 방은 3개이며 길이가 4와(ວາ, 양팔을 펼친 길이로 손끝에서 손끝까지), 폭이 3와(ວາ)이다. 기둥은 4쌍이고, 발코니(ເຊຍ)가 있다. 각 기둥은 길이가 3~4와(ວາ)이다. 4개의 대들보(ຂື່)와 4개의 횡목(ຂາງ)이 있으며, 횡목은 길이가 모두 같다. 씨뉴아 (ສີຍົວ)가 16개 있다. 만약 집의 길이가 4~5와(ວາ)라면 천장 끝(ປາຍບົນ)까지는 8~9와(ວາ)이며, 서까래(ຂ້າວ)는 측면 당 15줄(ເສັ້ນ)이 들어간다. 작은 집은 보통 2개의 방이 있다. 뜨리앙족의 집은 화장실(ສ້ວມ)이 있다. 두 세가정이 같이 사는 집의 경우에는 반드시 부부(ຜົວເມຍ)가 자는 곳이 있어야 한다. 만약 한 가정이라면 반드시 부모와 자식들이 자는 곳은 따로 있어야 한다. 모든 집 앞에는 기둥(ຫຼັກເສົາ)이 있는데, 이는 귀신 등에게 공양하기 위해 잡을 물소를 묶어두기 위한 것이다.
의복
뜨리앙족의 장식이 있는 의복은 먼-카메(ມອນ-ຂະແມ)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민족들의 것과 유사하다. 예를 들면, 남쪽지역의 남성은 까띠아오(ກະ ຕ່ຽວ, 남자들이 허리에 천을 매어 앞으로 늘어뜨리는 의상)를 입는다. 윗옷(ເສື້ອ)을 입지는 않지만 빙파패(ບິ້ງຜ້າແພ, 스카프의 일종)나 파비앙(ຜ້າ ບຽງ, 어깨에 걸치는 천), 추울 때는 파까도(ຜ້າກາໂດ, 천의 일종) 등으로 윗옷처럼 몸을 덮는데, 천을 늘어뜨려 종아리까지 닿게 한다. 긴 머리카락은 틀어 올려 목덜미 쪽으로 내린다. 15살이 되면 치아를 자른다(ຕັດ ແຂ້ວ). 만약 돈이 많으면 은, 동, 납, 고슴도치 털(ຂົນເໝັ້ນ)로 만든 목걸이를한다.
여성의 경우 씬(ສິ້ນ)을 입는데, 씬으로 가슴을 조여 종아리까지 내린다. 허리를 조이는 천도 사용한다. 귀는 남성보다 더 크게 뚫는데, 이렇게 하여 큰 귀걸이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머리카락은 길며, 머리를 말아서 앞쪽으로 넘긴다. 구슬을 사용한 팔찌를 차며, 독립할 나이(ກະສຽນອາຍຸ)인 15~18세가 되면 치아를 자른다(ຕັດແຂ້ວ).
음식과 음료
뜨리앙족은 맵쌀을 도기냄비(ໝໍ້ດິນ)에 쪄서(ຫຸງ) 먹는 걸 좋아한다. 국, 채소를 넣어 끓인 것, 고기를 구운 것, 구이, 끓인 것, 익힌 랍(ລາບສຸກ), 덜 익힌 랍(ລາບດິບ) 등을 좋아한다. 전통행사를 할때에는 피가 들어간 랍(ລາບ)을 맵거나 짜지 않게 해서 먹는다. 물은 계곡(ຫ້ວຍຮ່ອງ), 호수(ໜອງບຶງ) 등에서 떠온 자연수를 먹는다. 술은 까니안쌀(ເຂົ້າການຽນ), 카사바 혹은 쌀로 빚어 먹는다. 또한 다양한 야자수 열매의 물을 먹는다. 담배는 밭에 재배하며, 담뱃대를 사용하여 피우지만 많이 피우지는 않는다.
전통 규범
해마다 뜨리앙족은 귀신을 섬기는(ລ້ຽງ) 많은 종교의식(ພິທີກຳ)을 한다. 숲을 개간하여 밭을 만들기 위한 땅을 찾을 때에는 금기사항(ການຄະລຳ)이 있는데, 3일 밤낮 동안 다른 사람(ຄົນອື່ນ)은 집에 들어올 수 없다. 밭에 불을 지를 때에는 불이 꺼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장작(ດົ້ນຟຶ້ນ)을 넣고 주문을 외운다(ເສກມົນ). 6월에는 돼지나 물소의 우리를 만든다.
쌀이 밭에서 발아할 때도 금기사항이 있는데, 다른 사람은 1~3일 동안 집에 들어갈 수 없다. 자신의 밭에서 사용하는 농기구를 가져다가 남에게줄 수는 없지만, 다른 사람 것은 가지고 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그 해에 부자가 된다고 생각한다. 7~8월에는 벼가 누렇게 익는 시기이다. 그들이 심은 작물이 점차 풍성히 익어 가면, 그들은 봉헌하는(ຖວາຍ) 의식인 피티쨍(ພິທີແຈ້ງ)을 한다. 대상은 그 지역의 최고신(ຜີເຈົ້າຖິ່ນ, ເຈົ້າຖານ), 부모귀신(ຜີພໍ່ແມ່)이다. 이는 귀신에게 먼저 먹을 것을 드리고, 사람은 내년에 밭일 할 곳을 찾아 나선다는 의미이다. 10~11월에는 밭에 심은 쌀이 누렇게 익어가는 시기이다. 이때 쌀 창고를 고치고, 큰 항아리, 작은 항아리등 여러 종류의 항아리를 깨끗하게 닦는 의식을 한다.
이와 동시에 뜨리앙족은 절기를 지켜 큰 행사(ບຸນໃຫຍ່)를 치르는데, 이 행사는 3~4월부터 준비를 하며, 해마다 혹은 2~3년에 한번 혹은 5년에 한번 한다. 만약 모든 가정이 80까파(ກະພາ, 등에 메는 바구니) 이상의 추수를 하였다면, 종교의식(ພິທີກຳ)을 거행한다. 물소를 20~30마리를 잡거나 쇠로 만든 창으로 40~50마리를 찌른다. 이렇게 하여 귀신에게 음식을 대접하고, 집 가까이에 있는 동네 손님에게도 음식을 대접한다. 매우 즐거운 일이 있을 때, 그들은 자신의 언어로 ‘분드러돈(ບຸນດຼໍໂດນຣ)’이라고 불리는 의식을 한다. 이 의식은 부유함(ຄວາມລໍ້າລວຍ-ຮັ່ງມີ)에 대한 것을 보여주는데, 시간은 3~4일 정도 소요된다. 이 때는 시끄럽게 떠들며 술을 마시고, 물소 고기를 먹으며 뜨리앙족의 전통 문화를 즐긴다.
전통 예술과 문학
뜨리앙족의 전통 예술문화는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하는 다른 민족들과 같다. 예를 들면 시조(ກອນຂັບ, ກອນລຳ)와 같은 것이 있으며, 파머(ພະເໝາະ), 컹라(ຄ້ອງລາ. 징의 일종), 컹쭘(ຄ້ອງຈູມ, 징의 일종) 등 여러 종류의 악기가 있다. 이 외에도 그들은 많은 전통설화(ນິທານພື້ນເມືອງ)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사람과 자연의 교감, 일을 진행하면서 겪게 되는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내용 등 많은 주제들이 있다.
언어
뜨리앙족은 문자는 없으나 자신의 언어는 있다. 하락(ຮ່າຣັກ)족, 예(ແຢະ)족,라위(ລະວີ)족의 언어와 유사하다. 이 언어는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한다. 뜨리앙족은 자신의 언어 외에 다른 외국어도 잘해서 경제적 교류나 민족 간의 문화교류도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졌다.
<원문링크>
The identity of Trieng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Trieng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빗(ບິດ, Bid) 족 (0) | 2025.04.26 |
---|---|
따오이(ຕະໂອ້ຍ, Ta-oy) 족 (0) | 2025.04.26 |
뜨리(ຕຣີ, Tri) 족 (0) | 2025.04.26 |
뚬(ຕູ້ມ, Toum) 족 (0) | 2025.04.26 |
냐헌(ຍະເຫີນ, Nhaheun) 족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