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지역과 인구
현재 뜨리(ຕຣີ)족은 캄무안(ຄຳມ່ວນ)도의 부아라파(ບົວລະພາ) 지역. 싸완나켓 (ສະຫວັນນະເຂດ)도의 쎄뽄(ເຊໂປນ), 넝(ນອງ), 위라부리(ວິລະບູລີ) 지역 등 라오스 중부지역에 정착하여 살고 있다. 이 외에 베트남의 꽝빈(Quảng Bình)성에도 거주하고 있다.
라오스 뜨리족의 인구는 총 37,446명이고, 그 중에서 여성은 18,819명 이다. 전체 라오스 인구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6%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
뜨리족은 라오스의 민족성을 가지고 있는 민족 중 하나이다. 이들은 라오스에 5,000년 이전의 고대 때부터 정착해 온 종족이다. 이들은 까뚜익 (ກະຕູອິກ)어의 하부 언어군(ສາຂາພາສາ)에 속해 있는 여러 다른 민족과 같은과거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민족들은 짜오짠 아루아이시대 (ສະໄໝເຈົ້າຈັນອາຫຼວຍ)에 미얀마의 홍싸와디(ຫົງສາວະດີ), 씨암(ສະຫຍາມ)의 롭부리(ລົບບູລີ) 지역과 같은 라오스의 북쪽 국경선을 넘어서 이주하였다.
이들은 라오스 역사에 기록할만한 중요한 역할이 있었다. 특히 싸완나켓 및 캄무안 지역의 정치, 군대, 문화, 사회, 경제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조상들이 생각하기에 이로 인해 당시에 혁명적인 시대를 이끌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스스로를 '뜨리(ຕຣີ)'라 불렀고, 다른 민족들을 그들을 뜨리, 쩨리 (ເຈຣີ)로 불렀다. 자신들이 좋아하고, 공식적으로 쓰이는 이름은 뜨리(ຕຣີ) 이다.
뜨리 족의 직업
직업적인 모습을 보면,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삶을 살아가는 방식은 라오족과 뜨리족이 혼재되어 있다. 하지만 중요한 일은 논에 찹쌀과 맵쌀을 심는 것, 채소를 심고 동물을 기르는 것이다. 생산품은 계절에 따라 해마다 순환적인 모습을 보인다. 라오스 달력에 따라 생활하며,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달력과는 다르다. 이와 함께 가족의 수익을 늘리기 위해서 약간의 판매를 한다. 음식(ທັນຍາຫານ)이 될 만한 곡물을 심어 생산하기 전에, (숲이나 강에서) 음식이 될 만한 것을 찾아 먹기도 한다. 그들은 좋은 날과 때를 계산(ໄລ່ມື້ໄລ່ຍາມ)하는데 탁월하다. 어느 날이 좋은 날이고 어떤 때가 좋은 때인지, 안 좋은 날인 므완씬답(ມື້ວັນສິນດັບ), 므후앙(ມື້ຮວງ), 므후아이(ມື້ຮວາຍ), 드안답(ເດືອນດັບ), 드안팽(ເດືອນເພັງ)은 언제인지 등을 계산한다.
마을과 집
뜨리족은 흐안한(ເຮືອນຮ້ານ, 기둥 위에 지은 집)을 짓고 산다. 집의 크기는 작지만 가족의 크기와는 어울린다. 집 안의 구조를 보면, 화로(ເຕົາໄຟ), 보모의 침실, 손님 침실, 아직 결혼하지 않은 아들이나 첫째 딸의 방이 있다. 아직 가족을 이루지 않은 딸들은 마껑(ມະກອງ)족처럼 어머니의 집이나 이혼한 과부의 집에서 잔다.
의복
뜨리족 의복의 특징은 장식(ເອ້ຢ້ອງ)이다. 약 100년전 뜨리족의 남성은 머리가 길었고, 여성처럼 머리를 말아 올렸다.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은 주로 남부 지역의 도(ແຂວງ)에 거주하며, 귀를 뚫고 은이나 납으로 된 귀걸이를 착용하며, 머리를 말아 올려 까쩐(ກະຈອນ)을 달며, 팔찌를 하고, 구슬장식(ໝາກຕຸ້ມ, ໝາກປັດ)을 한다. 남녀 모두 치아를 자르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풍속들은 각각의 민족 역사에 따라 바뀌었다. 현재 옷을 입고 장식하는 문화는 두드러지게 특징적이지는 않다. 결혼할 때 입는 의복은 푸타이(ຜູ້ໄທ)족과 유사하다.
음식과 음료
뜨리족은 찹쌀과 맵고 짠 맛의 국을 좋아한다. 손님이 방문하면 밥을 먼저 먹고 항아리 술(ເຫຼົ້າໄຫ), 독한 술(ເຫຼົ້າເດັດ)을 먹는다. 그들은 집의 대들보(ຂື່ເຮືອນ) 밑에 밥상을 놓지 않는(ບໍ່ໃຫ້ວາງພາເຂົ້າຊື່) 금기사항(ຂໍ້ຫ້າມ ແລະ ຄະ ລຳ)을 가지고 있다.
신앙
뜨리족은 아주 풍부한 전통이 있다. 그들은 주로 두 형태의 믿음이 있다. 평지에 사는 부족들은 불교와 귀신을 믿으며, 아직 깊은 지역에서 삶을 사는 부족들은 조상신, 부모신, 형제신, 자녀신과 같은 귀신을 믿고 있다. 만약 라쁩(ລະປຶບ,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의식)을 하지 않았다면, 결혼을 하지 않는다. 장인이 집들이를 하지 못하면, 하늘귀신(ຜີ ຟ້າ, ຜີແຖນ), 의사귀신(ຜີໝໍ), 치료귀신(ຜີປົວ), 쌀귀신(ຜີເຂົ້າ)도 그들의 집에 아이들이 태어나게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일부 가족은 까짯(ກະຈາດ, 입구가 큰 바구니)귀신, 아냐니앙(ອາຍະຍຽງ)귀신, 오이, 물고기(ປາເຊິງ), 개 등의 귀신을 섬긴다. 어떤 가족은 4개 이상의 귀신을 같이 섬긴다. 이 외에도 그들 지역에서 흔히 섬기는 '마쌕(ຜີມະເຫສັກ)' 이라는 귀신이 있다. 뜨리족은 매년 여러 공식적인 종교의식(ພິທິກຳ)과 좋은 수확을 얻기 위해 귀신을 달래는 제사(ຈໍ້າຜີສະຫຼອງ)를 지낸다. 예를 들면, 판자로 된 집을 지을 때, 숲을 개간하여 밭을 만들 때, 밭에 불을 질러 화전을 할 때, 쌀을 추수할 때, 심은 작물을 거둘 때는 반드시 돼지, 소, 물소 등을 잡아서 제사를 지낸다. 쌀을 추수하여 곳간에 넣을 때는 돼지를 잡고, 사람이 아이를 낳을 때, 소나 물소가 새끼를 낳을 때는 기르고 있는 다양한 가축을 팔아 은이나 금을 산다. 현재는 이러한 전통들이 많이 줄어서 조금 밖에 남아있지 않다.
전통 예술과 악기
뜨리족은 고대부터 전해 내려온 가치 있는 전통 예술이 풍부하다. 시조 (ກອນຂັບ), 노래와 춤(ລຳສະເນີດ), 지혜 및 격언(ຄຳສຸພະສິດ, ຄຳພະຫຍາ) 등이다. 전통 악기도 종류가 다양하다. 예를 들면 징(ຄ້ອງ), 북(ກອງ), 컹라(ຄ້ອງລາ, 징의 일종), 컹쭘(ຄ້ອງຈູ້ມ, 징의 일종), 컹눔(ຄ້ອງນຸມ, 징의 일종), 캔(ແຄນ, 대나무관 하모니카) 등의 악기가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고 있다.
뜨리족은 각 마을마다 어르신 그룹(ພວກເຖົ້າແກ່)과 전통을 해석하는(ລ່າມ) 그룹이 있다. 어르신 그룹은 각 종씨(ຕະກຸນ)를 대표하는 어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사를 하거나 장례를 할 때 다른 종씨와 의사소통을 하는 역할을 한다.
언어
뜨리족은 먼-카매(ມອນ-ຂະແມ) 언어군에 속하는 언어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문자는 가지고 있지 않다. 구어는 마껑(ມະກອງ)족, 까땅(ກະຕາງ)족, 쑤아이(ຊ່ວຍ)족, 따오이(ຕະໂອ້ຍ)족, 빠꼬(ປະໂກະ)족, 까도(ກາໂດ)족 그리고 까나이(ກາໄນ)족 언어와 비슷하다. 따라서 뜨리족은 위에 언급된 민족들의 언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라오어와 다른 외국어도 잘 한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다른 민족과의 경제적인 교류나 문화 교류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원문링크>
https://data.opendevelopmentmekong.net/library_record/the-identity-of-tri-ethnic-group-lao-pdr
The identity of Tri Ethnic Group [Lao PDR] - OD Mekong Datahub
This booklet explains about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Tri ethnic group
data.opendevelopmentmekong.net
'[문화] > 종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오이(ຕະໂອ້ຍ, Ta-oy) 족 (0) | 2025.04.26 |
---|---|
뜨리앙(ຕຣຽງ, Trieng) 족 (0) | 2025.04.26 |
뚬(ຕູ້ມ, Toum) 족 (0) | 2025.04.26 |
냐헌(ຍະເຫີນ, Nhaheun) 족 (0) | 2025.04.26 |
씽문(ຊິງມຸນ, Xingmoun) 족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