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전통문화,절기,축제,놀이61

ຮີດທີ່9 분허카오빠답딘 (ບຸນຫໍ່ເຂົ້າປະດັບດິນ) 허카오빠답딘(ບຸນຫໍ່ເຂົ້າປະດັບດິນ)은 밥(카오, ເຂົ້າ)을 싸서(허, ຫໍ່) 땅(딘, ດິນ)을 장식(빠답, ປະດັບ) 하는 행사(분, ບຸນ) 라는 뜻이다. 허카오빠답딘 축제날에는 감미한 코코넛 우유를 섞은 찹쌀밥을 짓고, 얇고 길게 썬 바나나를 얹어 바나나 잎으로 싸서 쪄내는 카오똠('쌀을 끓이다'라는 의미)을 준비하여 친척과 이웃들에게 나눠준다. 아침 일찍 4-5 시경에 카오똠과 여러가지 과일 및 담배 등을 바나나 잎이나 연꽃잎으로 싸서 집 밖 네 귀퉁이와 계단, 귀신 집, 곳간 및 문에 장식하고 사원에 가서 죽은 조상들을 화장한 재를 넣어둔 탑 앞, 사원의 나무 밑, 담 구석에도 동일하게 장식해 두면 어두울 때 저 세상에서 하루 만풀림 받은 영혼들이 와서 재물을 받는다고 믿는.. 2022. 5. 8.
분쑤왕흐아 (ບຸນຊ່ວງເຮືອ, 보트 경기) 억판싸가 되면, 마음의 기원을 담아 러이까통을 하고,몇 달 전부터 전국에서 준비해 온 각 도의 대표들이 매콩강에 모여서 보트 경기를 진행한다. 이 배 경기를 분쑤왕흐아 (ບຸນຊ່ວງເຮືອ)라고 한다. 라오스 사람들은 어느 지역에서나 전통적으로 배축제를 즐긴다. 이 축제는 벼농사에 필수적인 물을 지배하는 큰 뱀(또는 용)인 ‘나가(Naga)’에게 그 해에 풍년과 지역 보호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라오스인들에게 있어 배축제는 민속적인 축제이면서, 불교신앙과 밀접하게 연결되고 있는 축제이다. 이와 관련된 불교 의식에는 배를 만드는 신성한 나무에서 유래한 배의 정령인 ‘뿌녀냐녀’와 미신적으로 숭배하는 강의 신인 ‘나가(Naga)’에게 제물을 드려 국가의 평화를 기원하였는데, 이 때에 맞춰 열리는 배 축제는 왕.. 2022. 5. 7.
빼땅 (Petangue, ເປຕັງ) 라오스인들이 가장 많이 하는 놀이인 빼땅. 때땅은 프랑스 식민시절부터 유대된 게임이다. 거의 모든 광공서나 마당이 있는 사무실에는 다 있다고 봐야 함. 우리나라의 구슬치기와 유사함. 반대편에 작은 공을 하나 놓고, 그 공에 가장 가까이 큰 공을 붙이면 이기는 게임. # 빼땅, 구슬치기, 남자는 놀고, 여자는 식사 준비, 2022. 5. 7.
라오인의 춤, 흥겨운 라오인 라오스인은 모이면 춤을 추고 술을 먹는다. https://youtu.be/p4QbmRO0Dgo https://youtu.be/ElQcjVRWbcM # 떼 춤, 흥겨움, 2022. 5. 7.
2018년 라오스 삐마이 2018.04.12 축산연구소 삐마이 행사 # 삐마이, 공연, 2022. 5. 6.
맛캔(ມັດແຂນ), 바씨(ບາສີ), 쑤쿠완(ສຸ່ຂວັນ) * '맛캔'은 '손을 묶다'라는 뜻이다. 라오스인은 사람의 몸 속에 쿠완(ຂວັນ. 영혼)이 있으며, 몸은 32개의 쿠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그 쿠완이 빠져 나가면 몸이 아파진다고 믿는다. 그래서 쿠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손을 묶는 의식을 거행한다. 이것이 바로 '맛캔' 의식이다. 맛캔은 아이들의 백일이나, 돌, 회사에서의 이,취임식, 결혼 등 거의 모든 행사에 빠지지 않고 행해진다. * 쑤쿠완(ສຸ່ຂວັນ)은 외부로 나간 혼을 불러들인다는 뜻이다. 어떤 이유로 쿠완이 몸에서 떠났을 때, 몸의 밸런스는 깨지고, 아프게 된다. 이럴 때, 쑤쿠완을 해서 떠나간 쿠완을 부른다. * 바씨(ບາສີ)는 명주실을 손에 묶는 의식을 말한다. 쑤쿠완으로 들어온 쿠완이 다시 나가지 못하도록 손을 묶는.. 2022.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