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84

딸랏라오 (ຕະຫລາດລາວ) - 남부터미널 옆 남부터미널 옆에는 코라오에서 관리하는, 라오스에서 가장 크다는 '딸랏 라오'가 있다. 한번 가 봐야지 하고 벼르다가, 2024.12.09에 가 보게 되었다.  위치: https://maps.app.goo.gl/uNbzEecZgEW4qeVz6 Taladlao · 2MJ6+44, Vientiane, 라오스★★★★☆ · 시장www.google.com 2024. 12. 30.
파싸이 동물병원(Faxai Animal Clinic) - 2024.12 통깡으로 이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2. 29.
허탐마싸파(ຫໍທັມມະສະພາ) - 법회장 '허 탐마사파(ຫໍທັມມະສະພາ)'는 비엔티안 수도의 탓루앙 사원 경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9년에 종교 시설 및 각종 의식 장소, 승가(僧伽)의 행사를 위한 장소로 사용하기 위해 건설되기 시작했습니다.2005년에는 탐마사파 지붕에 첨탑을 올리는 의식이 거행되었습니다.2009년에는 태국 나콘랏차시마 주 단쿤톳 군 반라이 사원의 쿤 파리수토 스님(พระเทพวิทยาคม หลวงพ่อคูณ ປະຣິສຸທໂທ)이 제자들의 신앙심을 모아 당시 건축 자금 마련을 위한 단합 카티나(ผ้าป่า, 탁발의 일종)를 봉헌했습니다.2010년에는 이 탐마사파 본당에 모셔진 주존불(พระประธาน) 모시는 봉헌식이 있었습니다. 허탐마사파(ຫໍທັມມະສະພາ): 탐마사파는 불교 용어로, '법의 전당' 또는 '법회장.. 2024. 12. 29.
2024.12 몽족 설 (분낀찌앙, ບຸນກິນຈຽງ) - 비엔티안, 라오스 https://laostudy.tistory.com/506 몽족 설 (분낀찌앙, ບຸນກິນຈຽງ)분낀찌앙은 몽족의 가장 중요한 전통 명절이다. ‘낀찌앙’은 라오스 불교력으로 1월이란 뜻이며, 이 때에 해당하는 그 해의 11~12월에 모든 추수를 마친 후에 지역 별로 날을 laostudy.tistory.com 수도 비엔티안에서는 해마다 12월이 되면, 큰 공터를 빌려서 몽족 설인 분낀찌앙을 한다. 몽족 의상도 해마다 패션이 있을테니, 해마다 방문하여 패션의 흐름을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참고로 2016년 므앙문의 분낀찌앙과 분낀찌앙의 대략적인 내용은 위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행사장의 위치는 아래와 같다. > https://maps.app.goo.gl/8uKovDxKuXQ5U9hf7 몽족 설축.. 2024. 12. 29.
농업 - 쪽파, Spring onion https://laostudy.tistory.com/1016 신선 채소 일반라오스는 동남아시아의 다른 나라보다 농촌의 비중이 크다. 전체 인구의 4분의 3 이상이 농촌 지역에 거주하며 생존을 위해 농업과 천연 자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고용 인력의 70% 이상이 농업laostudy.tistory.com 쪽파 관련라오스의 취약점인 쪽파 육종(Spring onion breeding), 종자 생산 및 증식, 수확 후 저장, 종자 품질 보증 분야는 라오스에서 해결되지 않은 미개척 분야입니다. (1) 농가 현장에서 쪽파의 다양성이 확인되지 않고 사용되지 않으며, (2)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여 종자와 구근의 가격이 비싸고, (3) 종자와 구근은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병해충과 기상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 2024. 12. 19.
벼농사 / 쌀 - 일반 쌀은 라오스 사람들에게 안정적인 식량이며, 라오스 사람들의 삶입니다. 주로 외딴 지역에 거주하는 라오스 사람들의 칼로리 섭취의 대부분은 쌀을 통해 이루어지며, 라오스 사람들은 도시에서는 1인당 연간 약 160kg, 지방에서는 1인당 연간 200kg의 도정 쌀(milled rice)을 소비합니다. 따라서 라오스의 식량 안보를 위해 연간 약 250만 톤의 쌀을 생산해야 700만 명의 국민을 먹여 살릴 수 있습니다. 라오스는 2000년 이후 쌀을 자급자족하고 있지만, 불리한 쌀 재배 환경의 영향으로 쌀 생산량 변동이 심해 2018년, 2019년, 2020년 라오스 정부는 국내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주변국으로부터 도정 쌀(milled rice)을 수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쌀 가격은 2018년 2,500킵/.. 2024. 12. 19.
2024년 분탓루앙(탓루앙 축제, 2024.11.13~15) 코로나19이후, 한해한해 분탓루앙 행사는 점점 이전의 규모로 돌아가는 것 같다. 올해도 역시 많은 인원이 전국에서 몰려 들어서 함께 기쁨을 나눴던 것 같다.  올해(2024년)에는 수요일(13일)부터 금요일(15일)까지 행사가 진행 되었으며, 목요일인 14일 오후 1시 경에는 해파쌋픙을 했고, 당일 저녁에는 대대적인 탑돌이가 진행된 듯 하다.마지막 날인 15일 금요일은 탓루앙 일대가 큰 주차장이 된 듯 보였다. 특히나 아침에는 대대적인 탁발 행사가 진행된 것 같다. 마지막 날에는 누구든지 탑돌이를 할 수 있도록 탓루앙 앞마당을 개방했다. 참, 저녁 7시 경에는 탓루앙에서 불꽃놀이가 있었다.  https://laostudy.tistory.com/374 분 탓루앙 (ບຸນທາດຫຼວງ, 탓루앙 축제)http.. 2024. 11. 16.
ບ້ານ ບ້ານ 반반 반반(ບ້ານ ບ້ານ)은 원래 아이스크림을 파는 브랜드다. 하지만 싸판텅에 오프라인 매장(반반 과일가게, ຕະຫຼາດໝາກໄມ້ ບ້ານບ້ານ)도 가지고 있다.  반반 아이스크림 페이스북의 소개 페이지에는 아래와 같이 적혀있다."Extremely delicious homemade ice cream using carefully sourced local ingredients. Comes in 5 thoughtfully selected flavors, made from the heart."  반반 과일가게(ຕະຫຼາດໝາກໄມ້ ບ້ານບ້ານ)인 싸판텅 매장에도, 로컬에서 구한 재로로 상품화한 것들을 판매한다. 라오스의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고, 판매하는데 무던히 애를 쓰는 회사라는 느낌이 든다. 한국.. 2024. 11. 9.
Mala HotPot Buffet 마라 핫팟 코로나19 이후, 중국과 고속철도가 이어지면서 중국사람들이 라오스에 많이 들어오게 됐다. 그러면서 중국 음식점이 많이 생겼는데, 그 중에서도 마라(Mala)와 관련된 음식점이 많이 생겼다.  마라핫팟은 이전에도 있었던 음식점이지만, 근래에 분점을 내면서 접근성이 많이 좋아졌다. 특히나 핫팟의 특성상 물을 끓여야 해서 더운데, 시원한 에어컨 밑에서 먹을 수 있다게 너무 좋다. 다른 마라를 파는 가게에 비해 크고 깨끗하고, 뷔페여서, 회식을 위한 장소로는 그만이다.  💰 가격: - 뷔페, 성인 209,000낍/인 (2024.08.19 빡싼 지하 점)  마라핫팟 홍까이께우(HongKaiKaew) 점 (1호점)📍 위치: https://maps.app.goo.gl/4K5XwukKTF4wMAT19 Mala Ho.. 2024. 11. 9.
2024.10-11 야시장 스케치 2014.11.29 유독 털옷과 짧은 치마를 많이 본것 같다. 11월은 분탓루앙이 있는 시기여서, 야시장에는 사람이 보통때보다 많지는 않다. 2024.11.29 금 저녁 2024. 11. 9.
분까틴 (ບຸນກະຖິນ, ບຸນພະທາດ) 분까틴(ບຸນກະຖິນ)은 라오스의 전통 불교 행사로, 우안거(雨安居)가 끝난 후 스님들에게 공양을 올리는 의식이다. 우안거는 스님들이 3개월 동안 사찰에 머물며 수행하는 기간으로, 이 기간이 끝나면 신도들은 스님들에게 옷과 생활 필수품을 시주하며 그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공덕을 쌓는다. 이러한 행사는 라오스 전역의 사찰에서 열리며, 지역 사회의 결속을 강화하고 불교 신앙을 재확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다. 분까틴을 통해 1년동안 지내며 헤어진 옷을 새 옷으로 바꾸어 입고, 분탓루앙을 맞이한다. 까틴(ກະຖິນ)이라는 단어의 의미원문: ຄຳວ່າ ກະຖິນ ເປັນພາສາ ບາລີ ໃນຫນັງສືສາສນະ ພິທີສະບັບກົມການສາສນາໃຫ້ຄວາມຫມາຍວ່າ ກະຖິນ ແປວ່າ ຂອບໄມ້ ຫລື.. 2024. 11. 9.
돈다발과 꽃다발 최근 라오스에서는 대학교 졸업식 때 꽃다발 대신 돈다발을 선물하는 풍경이 흔해지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졸업식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선물은 다채로운 꽃다발이었지만, 2020년 이후,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경제가 불안정해지면서 돈다발이 점점 대세로 자리 잡았다.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제 상황이 어려워지고, 라오스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생활비가 오르면서 실용적인 선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렇게 현실적인 이유에서 돈다발이 인기를 얻게 된 것으로 보인다. 돈다발은 실용적이라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꽃다발이 가지고 있는 정서적 의미를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졸업식에 꽃을 선물하는 행위는 단순히 아름다운 것을 주고받는 것을 넘어, 축하의 마.. 2024.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