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
-
분반(ບຸນບ້ານ) - 마을 잔치 / 마을 축제
분반(ບຸນບ້ານ)이란?'분(ບຸນ)'은 라오스어로 '축제', '덕', '공덕' 등을 의미하고, '반(ບ້ານ)'은 '마을'을 뜻합니다. 따라서 분반은 직역하자면 '마을 축제'라고 할 수 있지만, 그 의미는 훨씬 포괄적입니다. 단순히 먹고 마시는 잔치를 넘어,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고 공동체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중요한 의례적인 행사입니다.분반의 주요 특징:마을 공동체의 중심 행사: 분반은 특정 개인이나 가족이 주최하는 것이 아니라, 마을 전체가 함께 준비하고 참여하는 행사입니다. 마을 사람들은 음식 준비, 장식, 행사 진행 등 각자의 역할을 맡아 협력합니다.종교적인 의미: 대부분의 분반은 마을의 수호신이나 불교와 관련된 의례를 포함합니다. 사원(왓)에서 불교 의식이 거행되거나, 마을의 중요한 장소..
2025.05.04
-
타이느아(ໄທເໜືອ, Thaineau) 족
분포 지역과 인구현재 타이느아(ໄທເໜືອ)족은 퐁쌀리도의 녓우(ຍອດອູ)지역. 루앙남타도의 씽(ສິງ) 지역. 버깨오도의 똔펑(ຕົ້ນເຜີ້ງ) 지역에 정착하여 거주하고 있다. 이 외에도 타이느아족은 베트남과 중국에도 남아 있다. 라오스에는 모두 14,148명이고 그 중에 여성이 7,100명이며, 라오스 전체인구의 0.2%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타이느아(ໄທເໜືອ)족은 라오스에서 수세기 동안 거주해온 종족으로, 중국 남부지역에서 여러 기간, 다른 여러 통로로 이주해 왔다. 베트남의 라이쩌우(Lai Châu)와 썬라(Sơn La)성을 통해서 라오스로 이주해 왔고 몇몇 그룹은 중국 남부에서 이주해왔다. 이 종족은 자신들을 ‘타이느아’라고 부르는데 다른 종족도 그렇게 부르며 현재 공식적으로 부..
2025.04.27
-
따이(ໄຕ, Tai) 족
분포 지역과 인구라오스에 있는 따이(ໄຕ)족은 북부 지역에서 아래로 버리캄싸이도에 이르는 모든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후아판도의 모든 지역. 퐁쌀리도의 쌈판 (ສໍາພັນ), 마이(ໃໝ່) 지역. 루앙남타도의 씽(ສິງ), 렁(ລອງ), 루앙남타 지역. 우돔싸이도의 응아(ງາ), 빡뱅(ປາກແບງ), 싸이(ໄຊ) 지역. 위앙짠도의 프앙(ເຟືອງ)믄(ໝື່ນ), 왕위앙(ວັງວຽງ), 까씨(ກາສີ) 지역. 버깨오도의 후와이싸이(ຫ້ວຍ ຊາຍ)빡타(ປາກທາ) 지역. 캄무완도의 쿤캄(ຄູນຄໍາ), 나까이(ນາກາຍ) 지역. 버리캄싸이도의 싸이짬펀(ໄຊຈໍາພອນ), 빡싼(ປາກຊັນ), 빡까딩(ປາກກະດິງ), 타파밧(ທ່າ ພະບາດ), 위앙텅(ວຽງທອງ) 지역. 수도위앙짠(ນະຄອນຫຼວງວ..
2025.04.27
-
쌕(ແຊກ, Xeak) 족
분포 지역과 인구쌕(ແຊກ)족은 라오스 중부 버리캄싸이도와 캄무완도의 2개 도에 분포하고 있는데, 버리캄싸이도의 캄껏(ຄໍາເກີດ) 지역. 캄무완도의 나까이(ນາກາຍ), 뇸말랏 (ຍົມມະລາດ), 타캑(ທ່າແຂກ), 힌분(ຫີນບູນ)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쌕족의 총 인구는 3,841명이고 그 중에서 여성은 1,973명으로, 라오스 전체 인구의 0.1%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쌕족은 17세기에 베트남의 응에안(Nghệ An)성을 통과하여 북부지역에서라오스로 이주해 들어왔다. 쌕족의 일부는 초기 주거 정착지에서 다른 여러 지역으로 양식을 구하러 갔다. 일부는 중국으로 들어갔고 일부는 라오스-베트남 접경지역에 주거지를 설치하였고 므앙 ‘밤(ບໍ້າ)’ 이라고 알려진 주도(州都)가 된 큰 마..
2025.04.27
-
라오(ລາວ, Lao) 족
분포 지역과 인구오늘날 라오족은 라오스 전국의 각 도에 분포하여 거주하고 있다. 라오스외에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에도 있다. 라오족은 라오스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종족인데 총 3,427,665명이고 그 중에 여성은 1,716,221명으로, 라오스 전체 인구의 53.2%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라오족은 이 땅에 오랜 기간 거주해온 종족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그 기원을 알타이 산맥 근처로 보며, 이곳에서부터 이동하여 두 부류로 나뉘었다고 한다. 한 부류는 중국 서남부인 운남성의 ‘난’ 지역에 ‘난짜오 왕국’을 세우고 자리를 잡았다. 그 곳에서 몽골족과 한족에 밀려 남하하였고 각 지역에 정착하여 왕국을 이루었는데, 미얀마의 샨족, 태국의 타이족 그리고 라오스의 라오족을 같은 계열의 한 종족으로 ..
2025.04.27
-
르(ລື້, Lue) 족
분포 지역과 인구오늘날 라오스에 사는 르(ລື້)족은 위앙짠도를 포함해서 북부 모든 도에 거주한다. 퐁쌀리도의 녓우(ຍອດອູ), 분느아(ບຸນເໜືອ), 분따이(ບຸນໃຕ້) 지역. 루앙남타도의 모든지역. 우돔싸이도의 모든지역. 버깨오도의 후와이사이(ຫ້ວຍ ຊາຍ), 똔펑(ຕົ້ນຜີ້ງ), 파우돔(ຜາອຸດົມ), 빡타(ປາກທາ) 지역. 싸이냐부리도의 컵 (ຄອບ), 씨앙헌(ຊຽງຮອນ), 피앙(ພຽງ), 싸이냐부리 지역. 루앙파방도의 난 (ນານ), 쩜펫(ຈອມເພັດ), 루앙파방, 빡우(ປາກອູ), 남박(ນໍ້າບາກ) 지역과 위앙짠도 일부에서 거주하고 있다. 라오스 외에도 르족은 베트남, 중국, 미얀마에도 있다. 라오스에 르족 인구는 총 126,229명이고 그 중에 여성이 63,284..
2025.04.27
-
양(ຢັ້ງ, Yang) 족
분포 지역과 인구양(ຢັ້ງ)족은 퐁쌀리도, 우돔싸이도, 루앙남타도 및 버깨오도에 정착한지 여러 세기가 되었다. 퐁쌀리도의 녓우(ຍອດອູ), 쿠아(ຂວາ), 분따이(ບຸນໃຕ້) 지역.루앙남타도의 위앙푸캄(ວຽງພູຄໍາ) 지역. 우돔싸이도의 나머(ນາໝໍ້), 빡뱅 (ປາກແບງ), 라(ຫຼາ)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라오스 양족의 인구는 총 5,843명이고 그 중에 여성은 2,848명으로 라오스 전체 인구의 0.1%에 해당한다. 이 외에 베트남과 중국에도 아직 남아 있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양족(ຢັ້ງ)은 라오스에서 오랫동안 삶을 영위해 온 한 종족 중 하나이다. 그들은 중국남부에서 탈출하여 이주해 들어왔다. 베트남의 라오까이(Lào Cai)성, 썬라(Sơn La)성, 라이쩌우(Lai C..
2025.04.27
-
푸타이(ຜູ້ໄທ, Phouthay) 족
분포 지역과 인구오늘날 푸타이(ຜູ້ໄທ)족은 버리캄싸이(ບໍລິຄໍາໄຊ)도의 캄껏(ຄໍາເກີດ) 지역. 캄무완도의 타캑(ທ່າແຂກ), 나까이(ນາກາຍ), 뇸마랏(ຍົມມະລາດ), 넝복(ໜອງບົກ), 쎄방파이(ເຊບັ້ງໄຟ), 싸이부아텅(ໄຊບົວທອງ) 지역. 싸완나켓(ສະຫວັນນະເຂດ)도의 모든 지역. 쌀라완(ສາລະວັນ)도의 와삐(ວາປີ), 라오응암(ເລົ່າງາມ) 지역. 짬빠싹(ຈໍາປາສັກ)도의 싸나쏨분(ຊະນະສົມບູນ) 지역에 거주한다. 라오스의 푸타이족 인구는 218,108명이고 그중 여성은 111,213명으로, 라오스 전체 인구의 3.4%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푸타이(따이 또는 타이)족은 역사와 기원이 라오-따이(ລາວ-ໄຕ) 언어군 내 다른 종족과 ..
2025.04.27
-
뉴완(ຍວນ, Ngouan) 족
분포 지역과 인구오늘날 뉴완(ຍວນ)족은 라오스 북부의 모든 도에 분포하고 있다. 루앙남타(ຫຼວງນໍ້າທາ)도의 루앙남타 지역. 버깨오(ບໍ່ແກ້ວ)도의 후와이싸이(ຫ້ວຍຊາຍ) 지역. 싸이냐부리(ໄຊຍະບູລີ)도의 싸이냐부리, 피앙(ພຽງ), 홍싸(ຫົງສາ), 씨앙헌 (ຊຽງຮອນ) 지역. 루앙파방(ຫຼວງພະບາງ)도의 난(ນານ), 빡우(ປາກອູ), 루앙파방, 남박(ນໍ້າບາກ) 지역. 위앙짠(ວຽງຈັນ)도의 까씨(ກາສີ)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이외에도 뉴완족은 태국 북부에도 있다.라오스에 있는 뉴완족 총 인구는 27,779명으로 이 중 여성은 14,024명으로, 라오스 총 인구의 0.4%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뉴완족(ຍວນ)의 역사적 배경은 라오-따이(ລາວ-ໄຕ) 언어..
2025.04.27
-
이우미안(ອິວມຽນ, Iumien) 족
분포 지역과 인구이우미안(ອິວມຽນ)족은 대부분 북부의 날씨가 선선한 고산 지역에서부터 수도 위앙짠까지 분포하고 있다. 퐁쌀리(ຜົ້ງສາລີ)도의 녓우(ຍອດອູ), 마이 (ໃໝ່), 분느아(ບຸນເໜືອ), 쌈판(ສໍາພັນ) 지역. 우돔싸이(ອຸດົມໄຊ)도의 나머(ນາໝໍ້) 지역. 루앙남타(ຫຼວງນໍ້າທາ)도의 씽(ສິງ), 루앙남타(ຫຼວງນໍ້າທາ), 렁(ເມືອງລອງ) 지역. 버깨오(ບໍ່ແກ້ວ)도의 후와이싸이(ຫ້ວຍຊາຍ) 지역. 후아판(ຫົວພັນ)도의 씨앙커(ຊຽງຄໍ້), 위앙싸이(ວຽງໄຊ), 쌈느아(ຊໍາເໜືອ), 위앙텅(ວຽງທອງ), 앳(ແອດ), 히암(ຮຽມ) 지역. 싸이냐부리(ໄຊຍະບູລີ)도의 싸이냐부리 지역. 위앙짠(ວຽງຈັນ)도의 왕위앙(ວັງວ..
2025.04.27
-
몽(ມົ້ງ, Hmong) 족
분포 지역과 인구현재 몽족은 라오스 북부 여러 지역과 캄무완(ຄຳມ່ວນ)도에 분포하고 있다.캄무완도의 타캑(ທ່າແຂກ) 지역. 수도(ນະຄອນຫຼວງ)의 싸이타니(ໄຊທານີ), 나싸이텅(ນາຊາຍທອງ), 빡응음(ປາກງື່ມ) 지역. 버리캄싸이(ບໍລິຄໍາໄຊ)도의 위앙텅 (ວຽງທອງ), 캄껏(ຄໍາເກີດ), 버리칸(ບໍລິຄັນ), 빡까딩(ປາກກະດິງ), 빡싼(ປາກຊັນ) 지역. 싸이냐부리(ໄຊຍະບູລີ)도의 응언(ເງີນ), 싸이냐부리, 컵(ຄອບ), 씨앙헌(ຊຽງ ຮອນ),홍싸(ຫົງສາ) 지역. 퐁쌀리(ຜົ້ງສາລີ)도의 마이(ໃໝ່), 쿠아(ຂວາ), 쌈판(ສໍາ ພັນ) 지역. 루앙남타(ຫຼວງນໍ້າທາ)도의 위앙푸캄(ວຽງພູຄໍາ), 렁(ລອງ), 씽(ສິງ),..
2025.04.27
-
브루(ບຣູ, Brou) 족
분포 지역과 인구라오스 브루족은 싸완나켓도 동쪽, 쎄뽄(ເຊໂປນ) 지역에 대부분이 거주하고,다른 지역과 캄무완도에서도 살고 있다. 이외에 베트남 중부의 꽝찌(Quảng Trị), 꽝남(Quảng Nam), 트아티엔-후에(Thừa Thiên-Huế)에 살고 있고, 위 지역의 남쪽인 다클락(Đắk Lắk)에도 산다.라오스에서의 인구는 약 64,000명이이고 베트남에 약 50,000명이 있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브루족은 태국, 라오스, 베트남에 살고 있는 종족으로 ‘숲 속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브루(Bru)족과 캄보디아 북쪽과 라오스 앗따쁘도와 짬빠싹도에 살고 있는 브라우(Brao)족과 혼동하기도 한다. 사실 이들은 다른 종족이며 브루족은 캄보디아에 살고 있지않다.브루..
2025.04.27
-
쁘라이(ໄປຣ, Pray) 족
분포 지역과 인구쁘라이(ໄປຣ)족은 싸이냐부리(ໄຊຍະບູລີ)도의 서쪽 지역과 태국의 북동쪽에 거주한다. 루앙파방(ລວງພະບາງ)도의 난(ນານ), 쩜팻(ຈອມເພັດ) 지역. 싸이냐부리(ໄຊຍະບູລີ)도의 싸이싸탄(ໄຊສະຖານ), 싸이냐부리(ໄຊຍະບູລີ), 씨앙헌(ຊຽງຮອນ),피앙(ພຽງ), 컨(ຄອນ), 홍싸(ຫົງສາ) 지역이 이 종족의 거주지다. 라오스에 있는 쁘라이족은 인구가 총 28,732명이고 그 중에 여성은 14,473명이며, 라오스 전체 인구의 0.4%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컨삐앗(ຄອນປຽດ) 마을의 부이장인 룽나(ລຸງນາ)와 마을연합회(ແນວໂຮມບ້ານ) 대표인 느앙(ທ່ານ ເນືອງ), 그리고 싸이냐부리(ມ.ໄຊຍາບູລີ)의 마을 연합회 대표인룽..
2025.04.27
-
오이(ໂອຍ, Oy) 족
분포 지역과 인구오이(ໂອຍ)족은 앗따쁘도의 싸이쎗타(ໄຊເສດຖາ), 싸막키싸이(ສະມັກຄີໄຊ), 싸남싸이(ສະໜາມໄຊ) 지역, 짬빠싹도의 빡썽(ປາກຊ່ອງ) 지역에 거주한다. 이 외에 캄보디아의 까째(ກະແຈະ), 씨앙뜨랭(ຊຽງແຕຼງ, Stung Treng)과 태국의 이싼 (ອີສານ) 지역에도 있다. 라오스에 거주하는 오이족의 인구는 총 23,513명이고 그 중에 여성은 11,876명으로, 라오스 전체 인구의 0.4%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앗따쁘도의 노년층 사람들의 추정에 따르면 앗따쁘도에는 20개의 오이족 마을이 있다. 현재 그들 나름대로의 이주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전에 넝쌔(ໜອງແສ)에 정착했던 이들이 루앙파방, 항아리평원, 롱평원 (ທົ່ງຫລົງ),..
2025.04.27
-
애(ແຢະ, Yae) 족
분포 지역과 인구애(ແຢະ)족은 현재 쎄껑도의 닥쯩(ດາກຈຶງ) 지역. 앗따쁘(ອັດຕະປື)도의 싼싸이(ຊານໄຊ) 지역. 버리캄싸이(ບໍລິຄໍາໄຊ)도의 캄껏(ຄໍາເກີດ)에 거주한다. 라오스에 거주하는 애족보다 더 많은 애족이 베트남의 꽝남(Quảng Nam)성과 다낭(Đà Nẵng)시에 살고 있다. 라오스 내 애족의 총 인구는 11,452명이고 그 중에 여성은 5,782명으로, 라오스 전체 인구의 0.2%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애족은 라오스의 고유한 민족성을 갖고 있는 종족이다. 고대 '컴(ຂອມ)왕국' 때부터 쎄껑도의 닥쯩 지역에 정착했던 이들이 수세기가 흐르는 동안일부는 베트남의 꽝남성와 다낭시 지역에 자리 잡았고, 또 다른 일부 무리는 앗따쁘도의 싼싸이군 왕딱(ວັງຕັກ) 지..
2025.04.27
-
탠(ແທ່ນ, Thaen) 족
분포 지역과 인구현재 탠(ແທ່ນ)족은 루앙파방도의 위앙캄(ວຽງຄຳ) 지역의 싸(ສາ), 응이우(ງີ້ວ) 마을과, 싸남산(ພູສະໜາມ) 지역에 거주한다. 탠족의 인구는 총 828명이고, 그 중에 여성은 429명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라오스에 거주하는 탠족은 19세기에 미얀마로부터 이주하였다. 전쟁을 피하고 안전한 생활 터전과 농사를 위한 경작지가 필요한 이들을 이끌고 라오스로 이주한 무리의 대표는 낭 앙랑(ນ. ອາງລາງ)이었다. 이들은 스스로를 탠(ແທ່ນ)이라고 불렀고, 다른 종족이 이 종족을 부르는 이름도, 그리고 라오스 정부가 이들에게 부여한 공식 명칭도 역시 탠(ແທ່ນ)이다. 탠족의 직업본래 탠족은 찹쌀 농사를 주업으로 하며, 대부분 밭농사를 짓고, 쌀을 심은 뒤 가족들의 식단에 오..
2025.04.27
-
어두(ເອີດູ, Erdou) 족
분포 지역과 인구현재 어두족(ເອີດູ)은 씨앙쿠왕(ຊຽງຂວາງ)도 쿤(ຄູນ) 지역의 썽(ຊ່ອງ), 캅(ຄາບ),탠푼(ແທ່ນພູນ) 마을에 거주한다. 이 외에도 베트남 응에안(Nghệ An)성의 뜨엉즈엉(Tương Dương) 지역에 살고 있다. 어두족의 총 인구는 총 602명이고, 그 중에 여성은 302명 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현재 라오스에 거주하고 있는 어두족(ເອີດູ)은 베트남 응에안(Nghệ An)성의 뜨엉즈엉(Tương Dương) 지역에서 이주하여 왔다. 베트남을 탈출하여 라오스로 올 때 무리를 이끈 이들은 '리묵(ລີມຸກ)'과 '옹뚠(ອົງຕຸນ)'이었다.이들이 국경을 넘어왔던 이유는 그 당시 많은 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전염병 때문이었다. 두 사람은 결심하고 쭘쯔아(ຈຸ້ມເຈ..
2025.04.27
-
브라오(ເບລົາ, Brao) 족
분포 지역과 인구현재 브라오(ເບລົາ)족은 라오스 남부인 짬빠싹도의 바찌양짤런쑥(ບາຈຽງ ຈະເລີນສຸກ), 빡썽(ປາກຊ່ອງ), 콩(ໂຂງ) 지역, 앗따쁘도의 싼싸이(ຊານໄຊ) 싸이쎗타(ໄຊເສດຖາ), 싸막키싸이(ສາມັກຄີໄຊ), 싸남싸이(ສະຫນາມໄຊ), 푸웡(ພູວົງ) 지역에 거주한다. 브라오족의 총 인구는 26,010명이고 그중 여성이 13,171명으로, 라오스 전체 인구의 0,4%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브라오(ເບຣົາ)족은 오래 전부터 라오스의 썽(ຊ່ອງ) 마을에 정착한 종족 중 하나다. 그들의 이주 역사나 발원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다. 앗따쁘의 브라오족 원로들의 정보에 의하면 브라오족은 북쪽 씨앙쿠앙의 항아리 평원과 또 다른 지역으로부터 이주하여 까돗(ກາໂດ..
2025.04.27
-
쩽(ເຈັງ, Cheng) 족
분포 지역과 인구쩽(ເຈັງ)족은 앗따쁘도의 싸남싸이(ສະໜາມໄຊ), 싸이쎗타(ໄຊເສດຖາ) 지역에 정착하여 거주하고 있다.쩽족의 총 인구는 총 8,688명이고 이 중에 여성은 4,435명이며, 라오스 전체 인구의 0.1%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학자들의 고찰과 쩽족의 증언에 의하면 이 쩽족은 아주 오래 전에 라오스의 앗따쁘도에 정착한 종족 중 하나이다. 혹자는 쩽족의 발원지가 앗따쁘라고 말한다. 쩽족은 앗따쁘에서 수세기에 걸쳐 살았는데 이들은 다른 도나 접경 국가에 거주하지 않고 오직 앗따쁘에서만 살고 있다. 이들은 과거에 밀림에서부터 라오스-베트남 국경 근처의 짜농리얏산(ພູ ຈະນົງຣຽດ)에 이르는 곳에서 밭농사를 지었다. 현재는 앗따쁘의 싼싸이 (ຊານໄຊ), 싸이쎗타(ໄຊ..
2025.04.27
-
하락(ຮ່າຣັກ, Harak) 족
분포 지역과 인구하락(ຮາຣັກ)족은 짬빠싹도의 빡썽(ປາກຊອງ) 지역. 쌀라완도의 라오응안(ເລົ່າ ງານ) 지역. 쎄껑도의 라만(ລະມານ), 타땡(ທ່າແຕງ) 지역. 앗따쁘도의 싸막키싸이(ສາມັກຄີໄຊ), 싼싸이(ຊານໄຊ) 지역에 거주한다. 하락족의 인구는 총 25,430명이고 이 중 여성은 12,964명이며, 라오스 전체 인구의 0.4%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하락족은 수백 년 전에 쎄껑도의 라만(ລະມານ) 지역과 앗따쁘의 싼싸이 (ຊານໄຊ) 지역으로 이주해 정착한 많은 종족 중 하나이다. 1975년 이후 하락족은 화전을 통한 찹쌀 농사를 그만두고, 쌀라완도의 라오응안(ເລົ່າງານ)과 바찌양짤런쑥(ບາຈຽງຈະເລີນສຸກ) 지역, 짬빠싹도의 빡썽(ປາກຊອງ) 지역..
2025.04.27
-
라멧(ລະເມດ, Lamed) 족
분포 지역과 인구현재 라멧(ລະເມດ)족은 루앙남타도의 위양푸카(ວຽງພູຄາ), 나래(ນາແລ) 지역, 버깨오도의 파우돔(ຜາອຸດົມ) 지역, 우돔싸이도의 싸이(ໄຊ)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라멧족 인구는 총 22,383명이고 이 중 여성은 11,591명이며, 전체 인구의 0.3%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라멧족은 라오스 민족 안에 있는 50개의 종족 중 하나이다. 이들은 끔무 (ກຶມມຸ)족과 같은 시기에 라오스 땅으로 들어와 거주하기 시작했다. 라멧족의 이동에 대해서는 그들이 언제 라오스로 왔는지, 어디를 통해서 라오스로 들어왔는지, 또 누가 그들을 이끌고 왔는지에 대한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다만 언어학적 측면과 문화적인 측면에 비추어 본다면 그들은 아주 오래 전부터 이 땅에 거주하고 있..
2025.04.27
-
라위(ລະວີ, Lavy) 족
분포 지역과 인구라위(ລະວີ)족은 오래전부터 쎄껑도의 라맘(ລະມາມ) 지역, 라위 계곡 주변, 퐝댕(ຝັງແດງ), 람판(ລໍາພັນ), 라위너이(ລະວີນ້ອຍ) 마을에서 거주하고 있다. 라위족 인구는 총 1,215명이고 이 중 여성은 556명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예전에 씨암(ສະຫຍາມ, 옛 태국)은 라오스를 침략해 들어왔다. 라위족은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뜨리양(ຕຣຽງ)족과 닥(ດາກ)지역에 거주했었다. 씨암은 라위족을 씨암 지역으로 데려 갔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라위족은 라위(ລະວີ) 계곡이 있는 라오스의 쎄껑도 라맘(ລະມາມ)지역으로 돌아왔다. 그들은 유랑하던 시절이 있었으나 마침내 라위 계곡으로 와 정착하게 되었다. 라위족들은 스스로를 ‘라위족’이라고 명명했고, 지금까지 ..
2025.04.27
-
으루(ຢຣຸ, Yrou) 족
분포 지역과 인구으루(ຢຣຸ)족은 현재 짬빠싹도의 빡썽(ປາກຊອງ), 바찌양짜런쑥(ບາຈຽງຈະເລີນ ສຸກ), 빠툼펀(ປະທຸມພອນ) 지역, 쌀라완도의 라오응암(ເລົ່າງາມ) 지역, 쎄껑도의타땡(ທ່າແຕງ) 지역, 앗따쁘도의 싸남싸이(ສະໜາມໄຊ), 싸막키싸이(ສາມັກຄີໄຊ),핫싸이담(ຫາດຊາຍດໍາ)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으루족의 총 인구는 56,411명이고 이 중 여성은 28,932명이다. 라오스 전체 인구의 0.9%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짬빠싹도 빡썽지역과 앗따쁘도 싸남싸이 지역의 장로들의 말에 따르면, 으루족이 처음 정착한 곳은 따남떰벅산(ພູຕະນໍາເຕີມເບີກ)과 까후와이산(ພູ ກະຮວຍ), 그리고 와이산(ພູຫວາຍ)이었다. 이후에 전쟁으로 인해 자연 환경..
2025.04.27
-
마껑(ມະກອງ, Makong) 족
분포지역과 인구마껑(ມະກອງ)족은 캄무완도의 나까이(ນາກາຍ), 뇸마랏(ຍົມມະລາດ), 마하싸이 (ມາຫາໄຊ), 타캑(ທ່າແຂກ), 넝복(ໜອງບົກ), 쎄방파이(ເຊບັ້ງໄຟ), 부아라파(ບົວ ລະພາ) 지역. 싸완나켓도의 우툼펀(ອຸທຸມພອນ), 앗사팡텅(ອາດສະພັງທອງ), 타파란싸이(ທ່າພະລານໄຊ), 핀(ພິນ), 쎄뽄(ເຊໂປນ), 넝(ນອງ) 지역에 정착해 있다. 마껑족은 베트남에도 있는데, 이들은 ‘브루-번끼어우(Bru-Vân Kiều)’라고 부른다. 라오스에 있는 마껑족은 총 163,285명이고 이 중 82,672명이 여성이다. 라오스 전체 인구 대비 2.5%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마껑족은 라오스의 민족성을 가지고 있는 종족 중 하나이다. 이들은 ‘브루(..
2025.04.27
-
머이(ມ້ອຍ, Moy) 족
분포 지역과 인구오래 전부터 머이(ມ້ອຍ)족이 라오스에서 거주하는 지역은 후와판(ຫົວພັນ)도 쌈느아(ຊໍາເໜືອ) 지역의 던 마을(ບ້ານດອນ) 이다. 라오스에서 오직 이 곳에서만 거주한다. 이 외에 머이족은 베트남 북부의 호아빈(Hòa Bình)성, 타인호아(Thanh Hóa)성에 거주한다. 라오스에 있는 머이족은 총 789명이고, 여성은 368명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머이족은 베트남 북부 타인호아(Thanh Hóa)성 후와므앙 지역의 후와마 마을에서 1707~1708년에 이주해 왔다. 쌈(ຊໍາ) 강줄기를 따라 나영 마을 (ບ້ານ ນາເຢິງ)에서 1년, 왓빠만 마을(ບ້ານ ວັດປະມານ)에서 3년, 통나합마이 마을(ບ້ານ ທົ່ງນາຮາບໄໝ່)에서 3~4년을 보내며 이곳까지 ..
2025.04.27
-
펑(ຜ້ອງ, Phong) 족
분포 지역과 인구펑(ຜ້ອງ)족은 후와판(ຫົວພັນ)도 쌈느아(ຊໍາເໜືອ) 지역의 푸싸러이(ຜູສະເຫຼີຍ)와후와므앙(ຫົວເມືອງ) 지역의 빠카(ປ່າຄາ), 씨앙쿠왕(ຊຽງຂວາງ)도 넝해(ໜອງ ແຮດ) 지역의 버꺼(ບໍ່ກໍ), 버니아(ບໍ່ເຍຍ)와 캄(ຄໍາ) 지역의 펑쌈(ເຜີ້ງຊາມ), 위앙짠(ວຽງຈັນ)도의 힌흡(ຫີນເຫີບ) 지역에 살고 있다. 펑족의 인구는 총 30,696명으로 이 중 여성은 15,226명이고, 라오스 전체 인구 대비 0.5%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펑족의 기원은 미얀마와 중국의 국경 쪽에서부터 이주해 옴으로 시작되었다. 메콩강 지류인 우뻥강(ແມ່ນໍ້າອູ່ປ່ອງ) 주위의 길을 따라 이동하였다. 이들은 처음에 쌍(ຊາງ) 지역에 있는 넝캉 주..
2025.04.27
-
빠꼬(ປະໂກະ, Pacoh) 족
분포 지역과 인구현재 대부분의 빠꼬(ປະໂກະ)족은 쌀라완도의 싸무와이(ສະໝ້ວຍ), 따오이 (ຕະໂອ້ຍ) 지역에 살고 있다. 이 외에도 빠꼬족은 베트남에도 거주하고 있다.라오스에 있는 빠꼬족은 총 22,640명이고, 이 중 여성은 11,426명이며, 라오스 전체 인구의 0.4%에 해당한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라오스에 있는 빠꼬족은 베트남의 트아티엔-후에(Thừa Thiên–Huế)성의아르아이(A Lưới)와 꽝찌(Quảng Trị)성의 흐엉호아(Hướng Hóa) 지역에서 매우 큰 산맥을 넘어 이동해 쌀라완도 싸무와이(ສະໝ້ວຍ)에 있는 아뚝(ອາຕຸກ), 아댕(ອາແດງ), 꾸와러(ກົວລໍ), 그리고 따오이(ຕະໂອ້ຍ)에 있는 따후왁, 빠응안(ເຂດຕະຮວກ, ປະງານ)지역에 정착했다...
2025.04.26
-
빗(ບິດ, Bid) 족
분포 지역과 인구빗(ບິດ)족은 대부분 라오스의 북부, 곧 퐁쌀리(ຜົ້ງສາລີ)도의 분느아(ບຸນເໜືອ),분따이(ບຸນໃຕ), 쿠와(ຂວາ) 지역. 우돔싸이(ອຸດົມໄຊ)도의 나머(ນາໝໍ້) 지역. 루앙남타(ຫຼວງນໍ້າທາ)도의 루앙남타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빗족의 인구는 총 2,372명이고, 그 중 여성이 1,157명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빗족은 라오스의 민족성을 가진 종족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5세기 이후부터 이 지역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끔무족과 라멧족의 이동 시기와 동일하다. 전해오는 전설에 따르면 끔무족과 빗족은 한 뱃속에서 나온형제지간이었다. 하지만 코끼리와 고슴도치의 고기를 나눌 때, 오해가 생겨서 서로 갈라졌다. 동생(빗족)은 숲으로 들어가서 폭포의 소리, 나무..
2025.04.26
-
따오이(ຕະໂອ້ຍ, Ta-oy) 족
분포 지역과 인구따오이(ຕະໂອ້ຍ)족은 쌀라완(ສະລະວັນ)도의 따오이(ຕະໂອ້ຍ), 쌀라완, 라오응암(ເລົ່າງາມ), 싸므아이(ສະມວຍ) 지역, 싸완나켓(ສະຫວັນນະເຂດ)도의 넝(ນອງ) 지역, 짬빠싹(ຈຳປາສັກ)도의 바찌앙짜른쑥(ບາຈຽງຈະເລີນສຸກ), 빡썽(ປາກຊອງ) 지역,쎄껑(ເຊກອງ)도의 타땡(ທ່າແຕງ) 지역과 앗따쁘(ອັດຕະປື)도에 정착하여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이 외에도 따오이족은 베트남에도 거주하고 있다. 라오스에 거주하는 따오이족 인구는 45,991명이며, 그 중에서 여성은 23,102명이다. 라오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7%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따오이족은 수백 년 전에 라오스로 이주하여 정착한 후 삶을 살아온 민족 중 하나이다..
2025.04.26
-
뜨리앙(ຕຣຽງ, Trieng) 족
분포 지역과 인구현재 뜨리앙(ຕຣຽງ)족은 쎄껑(ເຊກອງ)도의 닥쯩(ດາກຈຶງ), 타땡(ທ່າແຕງ), 라남(ລະນາມ) 지역. 앗따쁘(ອັກຕະປື)도의 싼싸이(ຊານໄຊ), 싸막키싸이(ສາມັກຄີໄຊ) 지역. 짬빠싹(ຈຳປາສັກ)도의 빡썽(ປາກຊ່ອງ) 지역에 밀집하여 정착해 있다. 이 외에 베트남에도 있다. 라오스에 거주하는 뜨리앙족 인구는 38,407명이며, 그 중에서 여성은 19,427명이다. 라오스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6%이다. 역사와 이름의 유래뜨리앙족은 라오스의 민족성(ວົງຄະນາຍາດແຫ່ງຊາດລາວ)을 가지고 있는 한 민족이다. 예전에는 베트남 트아티엔-후에(Thừa Thiên-Huế)성의 남양 지역과 꽝남(Quảng Nam)성의 닥래, 그리고 빠리아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