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 떡볶이 뷔페 낀덕(Kin Tok, ກິນຕ໋ອກ) 꼭꼭무브(KOKKOK Move) 캠컹 식당: 땀무아(ຕຳມົ້ວ), 팻우던(ເພັດອຸດອນ) 식당 2025.03 국경없는 수의사회 라오스지부 수의료 봉사활동 아마존 컨셉 바 (Café Amazon Concept Bar / Concept Store) 이전다음 인기글 MIXUE (믹쑤/믹쉐 아이스크림 가게) 얼마전에 새로 생긴 씨험의 아이스크림 가게다. 젊은이들인 많이 몰리는 맛집인 것 같다. 정말 사람이 많이 온다. 직원들 옷을 보니, 한자가 써 있는 걸로 봐서는 중국 프랜차이즈인 것 같다. 아이스크림이 정말 달다. ^^;;; (2022.07.23) 라오스에서 이전부터 선점하고 있던 아이스크림 가계인 DQ하고 비교해 보면, DQ가 훨씬 진하고 가격이 비싸다. 라오스에서는 싼게 먹히는지 DQ는 별로 확장을 못하고 있지만 Mixue는 엄청난 확장력을 보이고 있다. 요즘 믹쑤 아이스크림 가게가 동네마다 세워지고 있는 것 같다. (2023.09.28) 라오인들은 보통 '믹쑤'라고 하는데, 직원에게 이름을 물어보니 '믹씨아'라고 부른다고 했다(라오스어로 '쑤에'라는 단어를 표현할 수 없다. 최선의 표현이 씨아 ເ.. 2022.07.23 국립대, 동독대(ດົງໂດກ, 제1 국립대학교) 라오스의 국립대학교 (ມະຫາວິທະຍາໄລແຫ່ງຊາດ)2015년도에 전국적으로 52,491명의 학생들이 고등학교 졸업고사에 통과하고 대학입학시험을 치렀다. 4개 종합대학교에서 신입생 8,100명을 선발하였다. 수도 위앙짠의 라오 국립대학교(NUOL)에 5천명, 루앙파방 수파누웡 대학교와 싸완나켓 대학교에 각각 1천명, 짬빠싹 대학교에 990명이 등록했다. 이제는 양적인 성장이 아니라 자질과 경쟁력을 갖춘 졸업생을 배출하고자 교육체육부의 국가교육혁신에 따라 입학생 수를 줄였다. NUOL 입학생 중에는 공무원 포함 신입생 1/5이 정부 장학금을 받았다. 3,900명은 학사과정이고 1천명은 연계과정 그리고 나머지는 대학원 과정에 진학했다. 싸완나켓 대학교는 2009년 3월 27일 설치 허가되어 10월 1.. 2022.06.07 2024년 라오스 삐마이(새해) 물축제 라오스를 포함한 인도차이나 반도 지역은 4월 중순(주로 4월 14일~16일), 건기 막바지 때에 새해 축제를 한다. 라오스는 삐마이(ປີໃໝ່)라고 부르며, 태국은 쏭크란(เทศกาลสงกรานต์) 이라고 부른다. 이때는 시기 상으로 1년 중에 가장 더울 때여서, 더위로 인해 힘들지 않도록 서로에게 물을 뿌려주며 축복해 주는 새해 행사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런 축제를 통해 시원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비가오고 우기가 시작된다. ຮີດທີ່5 분삐마이 ບຸນປີໃໝ່, 분쏭깐 ບຸນສົງການ 라오스어로 ‘삐마이’는 ‘새 해’라는 뜻이다. 새 해 의식은 보통 4 월 13 일부터 15일까지 3일 동안 이어진다, 연휴 첫날은 집 안팎을 청소한다. 둘째날은 온 가족이 편히 쉬는 .. 2024.04.16 부다파크 - 비슈누의 10화신 제 1 화신 마치야(Matsya): 물고기 화신 마츠야는 힌두 신화 비슈누의 최초의 화신(아바타르)이였다. 전설에 따 르면 훗날에 “마누”라 알려진 고대 드라비다의 왕 사티야브라타 만트리 는 그의 손을 강에서 씻고 있었다. 그 때 작은 물고기가 와서 그에게 살려달라고 애원하였다. 그는 그것을 병에 담았는데 그섯이 곧 커져서 탱크로 옮겼다가 강에서 바다로 다시 옮겼다. 고기는 다시 그에게 대홍수가 한 주 내에 발생하고 모든 생명을 파괴할 것이다라고 경고하였다. 마누는 그리하여 배를 만들고 홍수가 발생하자 고기가 배를 산 정상으로 견인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살아 남고 그는 다시 지구에 삶을 새로이 세웠다. 이 사티야브라타 또는 마누에 의해 다스려진 드라비다의 왕국은 원래 더 큰 드라비다인 마다가스카르 동 아.. 2022.05.07 국제빈곤선 라오스와 같은 개발도상국의 취약 계층을 설명할 때, 국제 빈곤선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다음과 같은 국제 빈곤선을 사용한다:절대 빈곤선 (Extreme Poverty Line): 하루 $1.90 이하로 사는 사람들을 절대 빈곤층으로 정의한다. 이 기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중저소득 국가 빈곤선 (Lower Middle Income Poverty Line): 하루 $3.20 이하로 사는 사람들을 빈곤층으로 간주한다. 이 기준은 중저소득 국가의 생활 수준을 반영한다.중상소득 국가 빈곤선 (Upper Middle Income Poverty Line): 하루 $5.50 이하로 사는 사람들을 빈곤층으로 정의한다. 이 기준은 중상소득 국가의 생.. 2024.08.07 차로 라오스에서 태국으로 넘어가기 2024.05.19 라오스에서 태국으로 넘어갈 때, 태국의 입국 신고서를 쓰지 않았다. 아마도 없어진 듯 하다. 2022.12.2(금) 라오스의 국경일이자 3일 연휴의 시작날이다. 그래서 그런지 라오스에터 태국으로 넘어가는 사람들이 무척이나 많았다. 국경이 개방된 후에 라오스도 점차 시스템을 갖춰 가는 것 같이 보였다. 우선 차로 타날랭 국경에 도착하면, 도장찍는 부스나 경찰 부스로 가서 출입국 신고서를 달라고하여 여권 수 많큼 받는다. 출입국 신고서를 쓴 후, 아래 왼쪽 사진의 도장찍는 부스로 가서 여권과 차량 여권(노란색 책)에 도장을 받는다. 그리고 아래 오른쪽 부스로 가서 차량여권에 있는 바코드를 사용하여 차량통과 관련 세금을 낸다. (바코드 작업은 아래쪽 글을 참조)그리고 (1)여권, (2)차.. 2022.07.04 떡볶이 뷔페 낀덕(Kin Tok, ກິນຕ໋ອກ) 라오스에 떡볶이 뷔페 집이 생겼다길래 다녀왔다. 태국에는 '두끼'라는 떡볶이 뷔페가 있는데, 참 맛있었던 기억이 있다. 낀떡이 정확히 언제 오픈을 했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아마 2025년 2월쯤에 한 것 같다. 위치의 경우, 구글맵에 표시되어 있는 곳이 정확하지 않아서, 차로 찾아간다면 구글지도에 표시된 곳에 낀떡 식당이 없어서, 유턴을 해서 멀리멀리 다시 돌아와야 한다. 정확히는 동독대 건너편 고기(KOKI) 식당에서 롯데리아 사이에 있는데, 낀떡 옆에는 모미쭈 음료 파는 곳과 사진관이 있다. 정확한 위치는 아래와 같다. https://maps.app.goo.gl/s92W1zpRGoeDf2po8 18°01'59.2"N 102°38'18.0"E · 18.033111, 102.638333 www.goo.. 2025.03.16 Sinouk Coffee (시눅 커피) 시눅 커피는 라오스를 대표하는 커피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창업자 시눅은 프랑스에서 30년간 생활하다가 1994년 라오스로 돌아와서, 남부 지역인 빡새를 중심으로 시눅 커피를 창업하였다. 시눅커피는 라오스 남부 볼라웬 고원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시눅 커피는 라오스 전역에 여러 매장이 있으며, 매장과 마트 등에서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판매하고 있다. https://sinouk-coffee.com/sinouk-coffee-brand/our-story/ Story of Sinouk Coffee : Learn More About Our Company Story - About UsSinouk Coffee’s company story details its evolution since 1994, an.. 2024.08.03 비앙비앙 마라탕(Biang Biang Malatang) 보통 마라탕을 전문적으로 하는 식당은 뷔페가 많아서 폭식을 하게 되는데, 이 곳은 자기가 먹고 싶은 만큼 먹고, 먹은 만큼 지불하는 곳이라서 다른 곳 보다는 부담 없이 갈 수 있는 곳이다. 마라탕(탕)과 마라쌍궈(볶음) 두 가지 음식을 하는 곳이다. 먹고 싶은 음식을 골라 담아 카운터에 가지고 가면 마라탕(탕)으로 먹을건지 마라상궈(볶음)로 먹을건지를 물어본다. 둘중 하나를 선택히면 무게를 재서 가격을 말해주고, 돈을 내면 고른 음식을 안으로 가져가서 요리해 준다. 재료를 어떻게 고르든 맛있게 잘 요리를 해 준다. 탕보다는 쌍궈가 좀 매운편이다. 두명이 먹으면 간단한 음료 포함해서 약 15만킵 정도. 마라가 먹고 싶으면 가끔 가는 곳이다. (2024년 3월 기준) 저녁 7시면 문을 닫기 위해 직원들이 안.. 2024.03.06 탓루앙 (소개) 라오스의 탓(ທາດ, stupas)은 대부분의 탑이 가진 뾰죽한 탑 모양의 첨탑과 함께 주름 살 없는 연꽃 봉오리를 나타내는 four-corned 모양의 특유한 곡선을 보인다. 위 앙짠에 있는 탓루앙이 이 형태의 모형이라고 여겨진다. 높은 봉우리의 지붕은 삼세와 일곱가지 깨달음의 불교 교리에 맞춰 홀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졌다. 지붕의 끝은 네 귀퉁이에 위에서 건물로 떨어지는 악령을 잡는다고 이야기되는 주로 긴 손가락 닮은 갈고리를 가진 반복되는 불꽃 주제를 띈 형상이다. 중앙 지붕 능선 위의 우산 모양의 첨탑에는 흔히 메루산을 묘사하는 2단으로 정렬된 작은 나가(부처를 보호한 뱀)가 있다. 큐! 라오스 (2019) 라오스 지역연구, p54 오픈시간: 연중무휴 8:00~17:00입장료: 외국인 30,00.. 2022.05.14 라오스의 의복 - 전통 치마 씬(ສິ້ນ) 의복과 단장 (ການນຸ່ງຖື-ການແຕ່ງກາຍ)라오스 사람들은 의복과 단장에 대한 오래된 문화가 있으며, 지금은 현대에 맞게 개선되었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다른 나라와 같이 머리를 짧게 하고, 바지와 셔츠를 입는다. 여성은 보통 자신 스스로 치장을 하는데, 특히 라오족은 밑단이 있는 씬(ສິ້ນ)을 입는다. 각각의 민족마다 입는 치마와 윗옷의 모양과 색은 다르다. 각각의 중요한 행사마다 입는 옷도 다르다. 딱밧(ຕັກບາດ) 행사, 결혼식, 축복의식(ງານມົງຄົນ) 등의 행사에서, 남성은 비단을 수 놓은 파띠아오(ຜ້າຕ່ຽວ)* 바지와 목이 둥근 흰색의 긴 팔옷을 입는다. 아름다운 색이 들어간 파비앙(ຜ້າບ່ຽງ)**을 두르면 매우 멋지다. 가죽으로 허리를 조이고, 흰색 양말을 신고 가죽 신.. 2022.05.13 패션플룻 (막넛, ໝາກໜອດ) 패션플룻(Passion Fruit)을 칭하는 라오어로는 ‘막넛(ໝາກໜອດ)’ 태국어로는 ‘싸오와럿(เสาวรส)’ 이라고 함. 개구리 알처럼 생겼음. ㅎㅎ 2022.05.10 개 장사 & 개고기 대로변에서 개고기를 파는 집들도 있다. 생 개를 1kg에 3만낍에 매입해서, 고기 100g을 2만낍에 판매한다. (2022.10.27 by 조나단)개고기 집 간판은 '개고기 집'이라고 쓰지 않고, 아래 사진과 같이 '11 51 91'과 같이 숫자를 이용하고 있다. 숫자는 복권에서 개를 의미하는 숫자로, 아마도 개를 직접적으로 먹는다는 표현을 쓰기는 좀 사회적으로 좋지 않다고 느끼기 때문인 듯 하다. https://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1562 [오박사의 라오스 이야기_2] 개고기 식당, 암호 숫자로 표현 - 문화뉴스[문화뉴스 오정수 교수] 아시아에서 개고기를 먹는 문화권으로는 중국, 한국,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이 있다고 한다. 그.. 2022.05.04 로고스 대학교(Logos College, ສະຖາບັນ ພາສາຕ່າງປະເທດ ໂລໂກສ) 로고스 대학의 정식 명칭은 Logos Institute of Foreign Language로 '로고스 외국어 대학교' 정도로 번역하면 될 것 같다. 예전에 로고스는 언어, 컴퓨터 학원이었으나, 현재는 발전하여 대학교가 되었다. 처음에는 3년제 전문대학교였고, 2022년에 4년제 정식 대학(ສະຖາບັນ)으로 승격이 되었다. 개발도상국이 늘 그러하듯이, 언어만 잘해도 좋은 일자리를 구할 수 있으며, 외국으로 유학이나 일을 하러 갈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언어 학습에 대한 needs가 많다. 그러한 붐을 타고 로고스 외국어 대학교는 타 대학보다는 인기있는 학교가 되어가고 있다. 가르치는 과목은 한국어, 영어, 중국어다. 4월이 되면, 로고스 대학교에서 축제가 열린다. 한국에 비하면 .. 2022.05.03 라오스의 민족(종족) 보통 종족들은 크게 라오룸(ລາວລຸ່ມ, 저지대 강가에 사는 종족), 라오텅(ລາວເທິງ, 중간지대에 사는 종족) 그리고 라오쑹(ລາວສູງ, 고지대에 사는 종족)으로 구분되었으나, 이는 사는 지역과 논농사 및 밭농사 등 각 농산물 생산 체계에 따라 나눈 것임*. 그러나 지도자인 까이썬 폼위한(ໄກສອນ ພົມວິຫານ, 1920~1992)이 이 분류법이 비과학적인 본질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하여**, 1981년 종족회의에서 라오스 정부는 공식적으로 이 같은 3가지 종족 집단의 분류를 폐지하고 대신 4종류의 언어군, 즉 중국-티베트(ຈີນ-ທິເບດ), 먼-크메르(ມອນ-ຂະແມ), 몽-이우미안(ມົ້ງ-ອິວມ້ຽນ), 라오-따이(ລາວ-ໄຕ)로 종족들을 구분하는 방식을 채택함. 이는 많은 농산물 생.. 2022.05.02 2024.12 몽족 설 (분낀찌앙, ບຸນກິນຈຽງ) - 비엔티안, 라오스 https://laostudy.tistory.com/506 몽족 설 (분낀찌앙, ບຸນກິນຈຽງ)분낀찌앙은 몽족의 가장 중요한 전통 명절이다. ‘낀찌앙’은 라오스 불교력으로 1월이란 뜻이며, 이 때에 해당하는 그 해의 11~12월에 모든 추수를 마친 후에 지역 별로 날을 laostudy.tistory.com 수도 비엔티안에서는 해마다 12월이 되면, 큰 공터를 빌려서 몽족 설인 분낀찌앙을 한다. 몽족 의상도 해마다 패션이 있을테니, 해마다 방문하여 패션의 흐름을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참고로 2016년 므앙문의 분낀찌앙과 분낀찌앙의 대략적인 내용은 위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행사장의 위치는 아래와 같다. > https://maps.app.goo.gl/8uKovDxKuXQ5U9hf7 몽족 설축.. 2024.12.29 농업 - 쪽파, Spring onion https://laostudy.tistory.com/1016 신선 채소 일반라오스는 동남아시아의 다른 나라보다 농촌의 비중이 크다. 전체 인구의 4분의 3 이상이 농촌 지역에 거주하며 생존을 위해 농업과 천연 자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고용 인력의 70% 이상이 농업laostudy.tistory.com 쪽파 관련라오스의 취약점인 쪽파 육종(Spring onion breeding), 종자 생산 및 증식, 수확 후 저장, 종자 품질 보증 분야는 라오스에서 해결되지 않은 미개척 분야입니다. (1) 농가 현장에서 쪽파의 다양성이 확인되지 않고 사용되지 않으며, (2)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여 종자와 구근의 가격이 비싸고, (3) 종자와 구근은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병해충과 기상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 2024.12.19 돈다발과 꽃다발 최근 라오스에서는 대학교 졸업식 때 꽃다발 대신 돈다발을 선물하는 풍경이 흔해지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졸업식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선물은 다채로운 꽃다발이었지만, 2020년 이후,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경제가 불안정해지면서 돈다발이 점점 대세로 자리 잡았다.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제 상황이 어려워지고, 라오스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생활비가 오르면서 실용적인 선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렇게 현실적인 이유에서 돈다발이 인기를 얻게 된 것으로 보인다. 돈다발은 실용적이라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꽃다발이 가지고 있는 정서적 의미를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졸업식에 꽃을 선물하는 행위는 단순히 아름다운 것을 주고받는 것을 넘어, 축하의 마.. 2024.11.09 태국-라오스 철도 태국 라오스 철도가 2024년 7월 19일에 개통이 되었다. 이제 태국의 수도인 방콕에서 라오스 수도인 비엔티안까지 기차로 올 수 있게 되었다. 🚅 개통 뉴스 https://www.nvp.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2320 태국-라오스 철도, 7월 19일에 개통 - 뉴스비전e태국과 라오스를 잇는 국경철도는 19일 개통되며 첫 열차는 이날 밤 태국 방콕을 출발해 라오스 비엔티안까지 출국 수속을 포함해 약 11시간 동안 달릴 예정이다.태국 국가철도국은 7일 타이로www.nvp.co.kr 📍 위치: https://maps.app.goo.gl/7r1cQwEwWHwwjjFJ9 Vientiane-Tai Railway Station · RS2, Nonvai Village, .. 2024.08.18 라오스 부처님 오신날 (위싸카부싸, ວິສາຂະບູຊາ) 한국의 부처님 오신날은 사월 초파일인 음력 4월 8일이다. 하지만 라오스는 여기에서 일주일 후인 음력 4월15일에 부처님 오신날을 지낸다. 이 날은 한국과는 다르게 공휴일은 아니다. 그래서 생각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절에 가지는 않고, 불심이 좋은 사람들만 절에 가는 편이다. 이날은 절에가서 스님의 설법을 듣는다. 일반 절에서 특별한 행사를 하지는 않는 것 같다. 라오스인들은 부처님이 태어난 날, 해탈한 날, 열반에 들어간 날(돌아가신 날)이 모두 같은 날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더욱 특별한 날로 생각하는 것 같다. 완위싸카부싸(ວັນວິສາຂາບູຊາ)는 라오 힛 씹성 중 ຮີດທີ່6 이다. https://laostudy.tistory.com/584 라오 힛 씹썽(ຮີດສີບສອງ, 12 가지 불교.. 2024.05.2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