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종교,의식,토속신앙25 왓 씨쌍원 (ວັດສີສັງວອນ) '왓 씨쌍원'은 라오스의 3대 문학 작품 중 하나인 '쌍씬싸이'에 대한 조형물이 있는 것으로 유명한 절이다. Vat Sisangvone ວັດສີສັງວອນ https://goo.gl/maps/9Yb3gkjVGznVupCc7 Vat Sisangvone · 라오스 비엔티안 불교사찰 www.google.com 나가, 인어, 씬싸이, 꿈판, 코끼리, 낀나리, 지옥, 2022. 5. 5. 토속신앙, 신당 (ຫໍຜີບ້ານ, 허피반) 분피쏜 (ເທສະການບຸນຜີໂຊນ) - 싸이냐부리 토속신앙 ເມືອງປາກລາຍ 시골에 가면 동네마다 뜬금 없네라고 생각되는 곳에 신당 (ຫໍຜີບ້ານ 허피반)이 하나씩 있다. 텅 빈 건물이며, 안 쪽에 음료라던지 무언가 섬기기 위한 물건을 가져다 놓았네, 하는 곳은 어김없이 신당이다. 2022. 5. 3. 명주실 보호 라오스인들은 명주실이 보호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좋은 일이나 나쁜 일이 일어났을 때, 혹은 미리 이러한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명주실로 건물을 두르거나, 서로 연결한 후 스님을 불러 분을 한다. 농대의 경우, 1년에 한 번정도 분(ບຸນ)을 한다. 5월이나 6월 중 손없는 날을 잡아서 스님을 모시고 와서 행사를 한다. 좋은 것은 들어오고 나쁜것은 내 쫓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손 없는 날 (라오스어로 완디, ວັນດີ)에는 영이 마음데로 돌아다닐 수 있는 날이라고 믿는다. 시골을 돌아다니다 보면 명주실을 동네 전체에 둘러 친 모습을 볼 수 있다. 나쁜일이 일어났을 때, 명주실로 동네를 묶어서 나쁜 귀신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라고 한다. 보통 이런경우, 마을을 둘러 명주실을 쳐 놓고, 아무.. 2022. 5. 2. 부앗 (ງານບວດ)과 승려 '부앗(ບວດ)'은 머리를 깎고 스님이 되는 의식이다.전통적으로 모든 남성은 결혼 전에, 가능하면 나이든 후에 한 번은 승려 또는 수도자로 출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출가 기간은 그리 길지 않아 3 개월 정도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속가(세상의 삶)와 종교의 지식을 얻기 위해 수년을 승가(僧迦, Sangha)에서 보낸다. 모든 테라바다 문서를 기록한 팔리 언어의 학습은 종교훈련의 기본 요소이다. 수도승으로서 승려가 되려는 사람은 227개의 수도원 계율을 지켜야 한다. 20세 이하의 수도승은 75개의 계율에 순종해야 하고, 평신도는 5개의 금기를 지켜야 한다. 소수의 여자, 특히 나이든 사람이 여승이 되며 그들은 명상을 하고, 속죄의 삶을 살지만 승려가 행하는 종교의식을 주관하지는 않는다. 승려들은 세상.. 2022. 5. 2. 왓 씨므앙 (ວັດສີເມືອງ) 왓씨므앙은 위앙짠 내에 있는 중요 절 중 하나이다. 무엇이든지 새 것을 사면, 이 곳으로 가서 불공을 드리고 명주실로 새 것을 묶는다. 그것이 차가 될수도 있고, 오토바이가 될 수도 있다. 이 곳에는 락므앙도 있으며, 예전에는 이 곳을 지키며 떠나지 않는 오래된 새도 있다. 수도 위앙짠을 비껴 흐르는 메콩강 근처에 자리잡은 씨므앙 사원은 도시를 수호하는 영으로 알려진 ‘냐매 씨므앙’ (씨므앙 부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라오스에서 가장 큰 축제 중의 하나인 분탓루앙의 핵심 행사인 가두행진이 이 씨므앙 사원에서 시작되어 탓루앙까지 이어질 만큼 라오인들에게 중요한 사원이다. 1563년에 처음 건축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1509년 포티싸랏 (Phothisarath) 왕의 통치 기간에 세워졌다는 주장도 .. 2022. 5. 1. 불교 용품 돈 나무 대중 불교에서, 이 나무들은 다음 붓다인 미륵이 태어날 그 도시 [케투마티, Ketumati]의 네 변두리들에서 피어나는 네 그루의 나무들을 상징한다고 한다. 이 나무들은 온갖 종류의 맛있는 과일들을 엄청난 양으로 생산할 것이다... 공덕 쌓기 의식들에서 볼 수 있는 돈나무들 또한 이 상징주의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돈나무들은 루앙파방의 라오족 종교적 의식들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다양한 피(ຜີ)를 섬기는 의식들과 죽은 가족들을 기리기 위한 기념의식들 또한 포함된다. / "인간의 소원을 충족시켜 주는 나무들"인 칼파브릭싸(kalpa vrska)를 상징한다 The spirit of the place, 4장 번역본 p298 불교상징물 보리수나무 모형 불교 상징물에는 법륜, 보리수, 부처 .. 2022. 5. 1. 라오스의 불교와 절 절과 공동체절은 공동체의 배움의 중심지 또는 체제 밖 배움의 중심으로 공동체의 직업 훈련 장소가 되고, 여러 가지 종교적 의식을 주관하는 만남의 장소다.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지켜왔던 전통적 행사를 포함하여,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모든 기념일을 주관한다. 특별히 농촌지역 공동체의 모든 사람들은 절과의 유대가 강하다. 절은 공동체의 신앙심과 믿음의 중심지이다. 그 외에 절은 공동체 사람들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돌보는 장소이며, 공동체의 재물이 모이는 중심지이다. 절은 공동체와 매우 밀접하며, 중심지의 역할을 한다. 승려는 다른 사람에게 전문지식을 전수할 의무가 있는 스승이자 그 지역의 지도자다. 그래서 제자가 된 사람은 자녀나 제자가 되기 원하는 사람이다. 같은 방법으로 승려에게 전수받은 사람은 .. 2022. 4. 30. 기원, 미신, 공양 Last update 2023.05.27 https://laostudy.tistory.com/136 싼파품 (ສານພະພູມ, ຫໍ່ຜີ, 신주단지) 라오스 전통적인 집에는 '싼파품(ສານພະພູມ)'이라고하는 신주단지가 짚 앞에 있다. 집의 안녕을 비는 의미가 있는 것 같다. 귀신이 집에 들어와서 해코지를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집 앞 laostudy.tistory.com https://laostudy.tistory.com/410 토속신앙, 신당 (ຫໍຜີບ້ານ, 허피반) 분피쏜 (ເທສະການບຸນຜີໂຊນ) - 싸이냐부리 토속신앙 ເມືອງປາກລາຍ 시골에 가면 동네마다 뜬금 없네라고 생각되는 곳에 신당 (ຫໍຜີບ້ານ 허피반)이 하나씩 있다 laostudy.tistory.com https:.. 2022. 4. 29. 부적 라오스에도 부적이 있다. 모양은 거의 같은 모양인 것 같다. # 부적, 태국 부적, 라오스 부적, 2022. 4. 29. 탁발, 탁밧(ທັກບາດ), 딱밧(ຕັກບາດ) 새벽이면 라오스 어느곳이나 탁발을 볼 수 있다. 정성껏 준비해 온 음식을 스님들에게 나누어 보시한다. 이를 라오어로 탓밧(ທັກບາດ) 혹은 딱밧(ຕັກບາດ)이라고 한다. 라오스의 스님은 이 음식으로 하루 식사를 하는데, 탁밧으로 들어온 음식은 고기를 포함하여 주는데로 다 먹을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공양하는 음식이 거의 정해져 있다보니(요즘은 밥과 인스턴트 음식이 많다) 음식의 영양적인 면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딱밧은 '완씬(음력 그믐과 보름)' 등의 날에 절에 가서 하는 딱밧이 있고, 평일 아침에 길에 줄지어 지나가는 스님에게 하는 딱밧이 있다. 땃밧으로 유명하고 관광상품화 되어 있는 곳은 루앙파방 새벽 딱밧이다. https://laostudy.tistory.com/823 루앙파방 .. 2022. 4. 28. '완씬(ວັນສິນ)'과 '막뱅(ໝາກເບັງ)' 라오스는 음력으로 한 달에 두 번 완씬(ວັນສິນ)이 있다. 완씬 전날에는 길거리에서 막뱅(ໝາກເບັງ)이라고 하는 바나나 잎으로 만든, 절에서 공양하는 것을 판다. 길거리에 많기 때문에, 막뱅을 팔면, '내일이 완씬이구나.'하고 생각한다. 완씬에는 노동자는 일을 하지 않는다. 완씬에 일하면 다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2022. 4. 28. 싼파품 (ສານພະພູມ, ຫໍ່ຜີ, 신주단지) 라오스 전통적인 집에는 '싼파품(ສານພະພູມ 혹은 허피 ຫໍ່ຜີ)'이라고하는 신주단지가 짚 앞에 있다. 한국의 성황당이나 서낭당과 비슷한 개념인 것 같다. 집의 안녕을 비는 의미가 있을 것 같다. 귀신이 집에 들어와서 해코지를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집 앞에 정성들여 음식을 가져다 놓는다. 그러면 그 곳에 거하면서 집을 지켜준다고 한다. 형편에 따라 나무로 만든 것 부터 거창하게 만든 것 까지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싼파품(ສານພະພູມ)이란?싼파품은 라오스어로 '땅의 신' 또는 '집의 신'을 모시는 사당입니다. 태국에서는 '싼프라품(ศาลพระภูมิ)'이라고 불리며, 라오스와 태국의 문화적 유사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싼파품은 보통 집이나 건물의 입구 근처, 사람들이.. 2022. 4. 27. 이전 1 2 3 다음